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 순환, 중위도는 훼방꾼?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지방과 한대 지방 사이의 에너지 수송이 어려워지고 남북 방향의 기온 경도가 매우 크게
발달
할 수 있다.먼저 문제 Q1번을 풀고 답을 생각하면서 보자. 남북 방향 등압면 기울기는 고위도로 갈수록 공기 기둥이 차가워져 위축되기 때문에 발생한다. 남북 방향 같은 고도에서 기압의 차이를 비교해보자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신체 부위가 단련됐다.펜싱 선수들은 오른손잡이의 경우 오른쪽 허벅지와 왼쪽 종아리가
발달
한다. 더 빠르고 더 먼 거리의 런지를 하기 위해서다. 2012년 국제그랑프리대회 은메달리스트 구본길 선수는 양쪽 허벅지의 둘레 차가 5.5cm나 난다. 김 연구원은 “펜싱이 한쪽으로만 하는 편측운동이니만큼 ... ...
과학으로 본 다크나이트 라이즈 : 배트맨 다시 일어서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5개월만에 해낼 가능성에 대해 정 원장은 “배트맨은 일반인보다 척추 뼈 주변 근육이
발달
했을 테니 회복속도도 빨랐을 것”이라고 설명했다.놀란 감독의 배트맨 시리즈 최종편의 제목은 ‘다크나이트 라이즈(rises)’였다. 허리와 자존심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은 배트맨이 다시 일어나는(rises) 것에 ... ...
극한광으로 보는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말이 더 익숙한 시대다. 그만큼 점점 더 작은 것을 들여다보기 위한 기술의
발달
이 중요시되고 있다.“나노의 세계를 가장 먼저 자유자재로 볼 수 있는 국가가 곧 과학기술을 선도하게 될 것이다.”노 센터장은 CELA의 의의를 이렇게 강조했다. 극한광을 통해 나노세계를 자유자재로 보려는 CELA의 ... ...
2. 말은 엉덩이 힘으로 달린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정강이와 발가락)에는 근육이 별로 없다. 사람 역시 엉덩이를 이루고 있는 큰볼기근이 잘
발달
해 달릴 때 몸이 흔들려도 쓰러지지 않고 균형을 잡아준다.말과 사람의 또 다른 공통점으로는 둘 다 땀을 흘려서 체온조절을 한다는 것. 포유류 가운데 땀을 많이 흘리는 건말과 사람뿐이다. 이 역시 오랜 ... ...
9개월 아기도 언어 구별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이 생긴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뉴욕대 심리학과 연구진이 ‘
발달
심리학저널’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생후 9개월 된 유아들이 사람과 동물의 소리에서 언어와 비언어를 구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팀은 9개월 무렵 유아에게 사람과 앵무새의 언어 소리와 비언어 ... ...
말랑말랑 젤리 방탄복 나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폭탄 파편을 막는 의미가 컸다. 제2차 세계대전(1939~1945) 이후에는 석유화학공업이
발달
하면서 강화플라스틱과 나일론 등으로 총알을 막는 방탄복이 등장했다. 하지만 충분한 방탄성능을 얻기 어려운 것은 매한가지였다. 미군은 1950년 한국전쟁에서 이런 기술로 ‘M1951’ 이란 방어용 조끼를 만들어 ... ...
뇌에 상처를 주는 욕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만 6세에
발달
하기 시작해 청소년기 내내 성장한답니다. 청소년기에 전두엽이 제대로
발달
하지 못하면 이성이 본능을 통제하지 못해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기 쉬워요자가진단테스트나는 얼마나 욕쟁이?욕이나 비속어를 쓰는 일이 나쁘다는 사실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나도 모르게 습관이 되어서, ... ...
정글의 법칙 수학으로 파도타기!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수십 장 분량을 일일이 손으로 그려야 했어요. 물론 요즘은 컴퓨터 그래픽(CG) 기술이
발달
해 한결 수월해졌지만, 장면을 최대한 자연스럽게 보이려면 물을 표현한 장면과 장면을 연결하는 세밀한 수작업은 필수죠.그런데 미분방정식을 사용하면, 자연스러운 파도의 움직임을 한결 간단하게 그려낼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것이다. 거북은 어느 정도 무게가 있는 장치를 달아도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근력이
발달
해 있고 움직임이 느려 실험이 쉽기 때문이다.연구팀은 현재 거북이에서 성공한 시스템을 그대로 물고기에 적용해 연구를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여기에는 3가지 난관을 극복해야 한다. 첫번째가 자극 장치의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