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새빨간 동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여기 뭔가…. 반짝이는 게 있어.”백혈구가 사라진 곳에는 작고 동그란 원판이 보석처럼 빛나고 있었어요.“채윤아, 우리 정말 중요한 아이템을 하나 얻은 것 같아.”채윤이와 수호가 기뻐하고 있을 때, 어두운 동굴 뒤쪽에서 한 남자가 이들을 지켜보고 있었어요.바로 아저씨였죠. *개념 ... ...
- [시사과학 뉴스] 선크림 어떻게 자외선 차단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원리예요. 모자를 써서 햇빛을 가리듯 피부에 크림을 발라 얇은 벽을 만든 뒤, 빛을 반사시켜 차단하는 거죠. 피부조직과 화학반응을 거의 일으키지 않아 피부 손상을 줄인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피부 위에 하얗게 층을 만드는 ‘백탁 현상’을 일으킨다는 단점도 있답니다.한편 유기자차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수 없는 물질을 가리키지요.바이러스는 매우 작아서 발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 빛을 이용하는 광학 현미경보다 더 작은 물질을 볼 수 있는 전자 현미경이 나온 뒤에야 비로소 바이러스를 관찰할 수 있었지요. 바이러스는 몸이 단백질 껍질과 그 안에 있는 유전물질로만 이루어져 스스로 살 ... ...
- [과학뉴스] 강력한 레이저를 내뿜는 개미 성운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다한 동반자 별이 방출한 기체가 백색왜성의 중력에 잡혔어요. 그리고 이 기체가 별의 빛을 증폭시켜 강력한 레이저를 내뿜게 된 거예요. 연구팀은 “일반적으로 행성상 성운은 고리 모양인데 쌍성계인 덕분에 개미 성운의 독특한 모습을 갖게 됐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 ...
- [과학뉴스] 카멜레온처럼 색 변하는 전고체 소재 개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구조다. 연구팀은 광결정에 전기 자극을 줘 광결정 구조의 간격을 조절, 반사하는 빛의 색을 변화시켰다. 전기를 이용해 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광결정 구조 연구는 이전에도 있었지만, 액체 환경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광결정 소재를 유연한 전고체 상태의 필름 형태로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환경 등을 세밀하게 관측할 수 있다. 그런가 하면 환경탑재체는 관측 지역에서 나오는 빛을 1000개 채널로 잘게 쪼개, 각각이 대기와 어떤 물질이 상호작용한 결과인지 분석한다. 대기 오염물질을 7km 간격으로 관측할 수 있다. 양군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지궤도복합위성사업단 책임연구원은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달라졌다. 결국 1975년 제15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절대 변하지 않는 물리상수인 빛의 속력(299792458m/s)을 이용해 1m를 재정의 했다. 크립톤-86 원자가 내는 복사선이 진공에서 299792458분의 1초 동안 진행한 거리를 측정해 불확도를 3×10-9 수준으로 1m를 정의한 것이다. 특히 킬로그램의 경우 지금까지 ... ...
- 지하 1100m 땅속 실험실 최초 공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실험 지하실험연구단은 중금속 몰리브덴을 이용해 극저온(영하 237도) 환경에서 빛과 온도의 변화를 동시에 측정해 중성미자 미방출 이중베타붕괴를 탐구하는 ‘AMoRE 실험’도 진행 중이다. 이중베타붕괴는 자연에 존재하는 일부 원자핵에서 두 개의 양성자가 두 개의 중성자로 바뀌는 현상으로, ... ...
- [매스미디어] 수학 잘하는 법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필요 없이 오직 이성과 논리, 약간의 필기구를 가지고 직접 말을 걸고 있는 것이다. 빛나지 않는 별들에게도.” 이 순간 도진은 자신의 솔직한 마음을 깨닫는다. 수학을 좋아하고 재미있다고 느끼는 마음 하나에 집중하고 효율성 같은 계산은 잊자고 말이다. ‘수학 잘하는 법’의 두 번째 매력은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포착해 그 항성을 공전하는 행성이 있는지 알아냈다. 또한 이 현상이 얼마나 지속되는지, 빛이 얼마만큼 감소하는지 관측해 행성의 크기와 궤도, 주기 등을 계산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에 대한 구상은 1980년대 처음 나왔다. 당시 NASA 에임스연구센터 수석연구원이었던 윌리엄 보루키 박사는 10월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