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목
풀
식물계
식생
야채
식물체
플랜트
d라이브러리
"
식물
"(으)로 총 3,710건 검색되었습니다.
[Photo] 초록빛 납 광물 녹연석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초기 대기에는 거의 없다가 생명체를 통해 급격히 증가했고, 땅속에서는 미생물과
식물
뿌리를 통해 광물의 운명이 달라졌다. 요즘 주목받고 있는 '생명체와 광물의 상호 진화이론'이다. 사진의 초록빛 광물, 즉 납의 원료 광석인 녹연석도 이런 과정을 통해 태어난 젊은 광물이다. 중국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버린 쓰레기 리스트를 만들고 어떻게 줄일 수 있을지 고민하기’라는 숙제가 나왔다. ‘
식물
원에 가서 좋아하는 나무를 골라 그림 그리고, 앞에서 5분간 명상하기’도 있었다. 분명 이 수업은 건축학과 학생들이 듣는 수업이었다. 버클리의 여름은 사우나를 연상케 하는 한국과는 달리 건조했다.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친환경 플라스틱’이라고 해요.원래 플라스틱의 원료인 화석연료는 동물이나
식물
이 죽어 땅 속에 묻힌 뒤 아주 오랜 시간 동안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만들어져요. 그런데 이 속도가 워낙 느려서 우리가 사용할 수 있는 화석연료는 점점 줄어들고 있지요.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친환경 플라스틱을 ... ...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콜레스테롤(LDL)은 조심해야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때 동물성 지방이 많은 버터 대신
식물
성 지방으로 만든 마가린을 권했는데 실제로는 트랜스지방이 많은 마가린이 해로운 제품이었던 것이다. 송윤주 가톨릭대 식품영양학과 교수는 “지방과 단백질이 풍부한 고기는 비타민과 무기질까지 ... ...
[Info] 북극에 특이한 공생생물이 자라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큰 위협은 아니었다.
식물
및 지의류 조사도 중요한 일과 중 하나였다. 방형구를 설치해
식물
의 분포를 조사하기도 하고, 엽록소의 개수를 측정하기도 했다. 지의류도 채집했다. 지의류는 미세조류와 균류가 공생하는 독특한 생명체인데, 북극이나 남극같이 척박한 환경에서도 살 수 있는 몇 안되는 ... ...
알쏭달쏭~ 귀화
식물
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푸른 잔디밭에서 맘껏 뛰놀 수 있는 5월이에요~! 잔디에 엎드려 풀숲에 숨어 있는 토끼풀 속에서 네잎클로버를 찾는 것도 재미있을 거예요. 그런데 이 토끼풀이 ... 번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블로그(ksdsuper.blog.me)와 홈페이지에서 생태계교란야생
식물
11종을 확인해 보자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최 :
식물
에서 밝혀진 것은 없나.노 :
식물
에서도 리셋을 피하는 방법은 모른다. 대신
식물
에서는 RNA가 정자와 난자를 후성유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메커니즘이 발견됐다. 예컨대 부모세대에서 어떤 특별한 경험을 하면 정자와 난자 주변에서 생식세포의 형성을 돕는 세포들의 RNA 조성이 바뀐다. ... ...
수학으로 그리는 생명의 나뭇가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발견될 수 있었다. 멘델의 완두콩은
식물
개체들의 수학적 패턴을 활용한 결과였다.
식물
의 유전을 깨닫는 과정에서 수학의 조합론과 확률론이 더해졌다.수학 모형은 이처럼 복잡한 생물의 실제 세계에 대해 통찰을 제시해 왔다. 그리고 이런 양상은 앞으로 더 가속화될 것이다. 생물학은 현미경, ... ...
소똥부터 물방울까지! 별별발전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만드는 방법도 있어요. 태양전지 기판 재료로 보통 ‘실리콘’을 사용하지만, 최근에는
식물
의 엽록소를 이 기판으로 사용하는 방식이 등장하고 있어요. 실제로 지난 2010년 중앙대학교 장석태 교수팀은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립대학교 올린 벨레프 교수팀과 공동으로 엽록소를 섞은 물컹물컹한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유연성을 계속 연구해야 한다. 멘델이 완두콩에서 현대 유전학의 토대를 다졌듯, 어쩌면
식물
의 후성유전적 강점이 후성유전학의 새로운 시대를 열 수 있을지도 모른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