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간"(으)로 총 7,6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건 충분히 알겠죠? 2020년은 우리의 해라고 하니 제가 더 열심히 발로 뛰며 우리와 인간의 화합을 위해 노력하려고 합니다.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도움한국생명공학연구원 실험동물자원센터 김형진 센터장, 남기환 ... ...
- 차세대 유전자 가위 '프라임 에디팅' 크리스퍼 아성 누르고 혜성처럼 등장!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염기를 치환하면 해당 유전자에 변이가 생긴 질환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실제로 인간 세포를 이용한 실험에서 베이스 에디팅 기술로 A-T 염기쌍이 G-C 염기쌍으로 변환됐고, 변환 효율이 최대 50%로 기존의 유전자 교정 기술보다 현격히 높아 학계의 관심을 받았다. doi: 10.1038/nature24644 하지만 베이스 ... ...
- 강아지 나이 계산법이 틀렸다고? 수학으로 바로잡는 반려견 나이 변환 공식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이 공식에 집어 넣어봐. 그럼 인간의 나이로 따졌을 때 몇 살인지 알 수 있을 거야. 쨘! 인간으로 환산한 나이는 대략 자연로그(ln)를 취한 강아지 나이에 16을 곱하고 31을 더한 것과 비슷해. 이때 자연로그는 실수 e를 밑으로 하는 로그야. e의 근삿값은 2.71827282…이지. 이 공식은 래브라도 ... ...
- [한페이지 뉴스] 조류인플루엔자가 사람에 감염 안 되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양을 분석했다.그 결과 연구팀은 M1 단백질의 양에서 큰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인간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M1 단백질을 정상적으로 만들어낸 반면, 조류인플루엔자A 바이러스는 M1 단백질을 충분히 만들어내지 못했다. M1 단백질은 바이러스의 두 가지 구성물인 외피와 핵을 물리적으로 ... ...
- [이달의 책] 우리는 연결될수록 강하다 외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나무를 보는 격이다. 저자는 나무 한 그루 한 그루가 어떻게 연결돼 숲을 형성하는지, 인간 한 명 한 명이 어떻게 연결돼 사회를 움직이고 변화시키는지 설명한다. 스키니진을 입은 사람 100명이 사는 세상이 있다. 그런데 어느 날 이 중 한 명이 홀연히 부츠컷 청바지를 입고 등장했다. 스키니진 99대 ... ...
- 내 과자, 놓치지 않을 거예요 !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간식을 빼앗는 골칫거리로 여겨지기도 해요. 연구를 이끈 고마스 연구원은 “갈매기도 인간의 눈치를 보고 음식을 먹으면 안 된다는 걸 느낄 수 있다”면서 “이번 연구가 갈매기와 사람 사이의 갈등을 줄여서 갈매기를 보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답니다 ... ...
- ‘똥깡통’으로 디날리산의 ‘똥사태’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자기의 똥은 스스로 치운다! 알아서 척척척, 스스로 등산객♬ 미국 알래스카주의 디날리산에 오를 미래의 산악인 어린이를 위한 노래예요. 자신의 똥 ... 세균으로 오염돼요. 실제로 연구팀은 디날리산의 빙하가 녹아 모이는 카힐트나강에서 인간 대변의 세균을 소량 발견하기도 했답니다 ... ...
- [Go! Go! 고고학자] 닭을 처음 키운 사람은 누구였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어떻게 생각할까요? 여기저기에 남아있는 귀여운 고양이 사진을 보고, 어쩌면 고양이가 인간을 길들였다고 생각하지는 않을까요? 용어정리*인장 : 특정한 문자나 무늬를 표현하기 위해 재료에 새겨 찍도록 만든 일종의 도장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탱글탱글 톡톡! 먹는 물병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의료품을 전부 다 가지고 갈 수 없다”며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필요에 따라서 인간의 장기를 출력하면 응급 상황에도 대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는 의견을 밝혔답니다. 어떻게 된 걸까?☞ 결과 : 말랑말랑, 맛있는 물방울 젤리가 완성! 한천은 이름이 조금 생소해도 젤리나 양갱 등을 ... ...
- 자율주행차 어떤 선택을 해야 할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사는 230만 명을 대상으로 얻은 답변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전 세계적으로 동물보다는 인간을, 노인보다는 아이를, 소수보다는 다수의 사람을 구한다는 답변이 많았어요. 하지만 문화에 따라 차이도 있었어요. 프랑스, 그리스, 캐나다, 영국 등 서양 문화권에서는 아이를 구한다는 답이 높았지만,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