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성
d라이브러리
"
인공위성
"(으)로 총 1,406건 검색되었습니다.
창고속의 망원경을 밖으로 끌어내자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칠판 천문학'에서 탈피해보자는 것이 이 연수의 목적이다"고 말했다.참석 교사들은
인공위성
을 통해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천문학 등 최근 천문학의 다양한 추세에 관한 강의를 들으면서 "학교 다닐 때 배운 것과 비교해 많은 차이를 느낀다"며 "앞으로 이런 기회가 자주 있었으면 좋겠다"고 입을 ... ...
보현산 천문대
과학동아
l
1995년 09호
망원경은 앞으로 변광성의 고정밀 광전관측, 퀘이사의 변광관측, 혜성 및 소행성 관측,
인공위성
관측 등을 담당할 예정이다. 물론 여기에도 고분해능의 CCD 카메라가 달려 있으며 고정밀의 광전측광기가 부착돼 있다.이제 걸음마이긴 하지만총 예산 1백25억원(도로공사비 74억원 포함)이 든 ... ...
1 TV난시청지역 완전해소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위성지구국(SNG)으로 현장 실황 중계를 시도한 바 있었다. 이 서비스는 인텔샛이라는 국제
인공위성
을 임차하여 시도한 것이지만, 무궁화위성이 올라가면 96년부터는 SNG서비스를 무궁화위성으로 전환할 계획이다.이밖에도 위성통신서비스로는 영상회의 원격강의 전자인쇄 원격진료 등 다양한 ... ...
5 전세계 단일권 이동통신 꿈꾼다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우리의 상황(수요) 등을 고려하여 방송과 통신의 혼합형으로 설계됐다.일반적으로
인공위성
을 활용영역으로 구분하면 지상 설치 장비로는 확인하기 힘든 우주관측 및 기타 우주 관련 과학적 사실을 밝히려는 우주과학 탐사용과 지구 내 기상과 자원 및 환경탐사용 과학위성, 그리고 방송 및 통신에 ... ...
무궁화호 궤도에 진입하기까지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1995년8월3일 오후 예정대로 케이프 케너베럴 제17번 발사대에서 발사될 델타2로켓은 1단 엔진에서 만드는 1백t의 추력과 6개의 추력보강 ... 드리프트 모터)를 이용하여 정지궤도의 동경 1백16° 지점을 찾는다. 그리고 몇달에 걸쳐
인공위성
의 각종 성능시험을 한 후 본격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 ...
3 서울-부산서 얼굴보며 회의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프로그램공급자가 프로그램을 지역방송국에 송출할 때 인텔샛의
인공위성
을 이용하고 있다.현재 외국위성을 빌려쓰고 있는 우리나라 방송사들이 무궁화위성을 이용하게 되면 보다 싼 가격으로 프로그램을 전송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만약 호텔이 지역방송국과 같이 ... ...
2 델타Ⅱ로켓 35년 발자취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인공위성
을 발사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추었다. 초기의 델타로켓보다 무려 17배나 무거운
인공위성
을 발사할 수 있게끔 성장한 것이다.델타2는 기본적으로 3단 구조를 하고 있다. 1단과 2단은 액체추진제 로켓이고 3단은 고체 추진제 로켓이다. 여기에 추력 보강용 고체 추진제 로켓 9개가 1단로켓의 ... ...
인공위성
실패확률 어느 정도인가
과학동아
l
1995년 08호
무중력 고진공 상태에서 일어나는 갖가지 현상들로(기체이온화, outgasing, 태양풍 등)
인공위성
은 수명 단축을 강요 받고 있다. 허블망원경 역시 3년도 안돼 최고의 하이테크 기술로 제작된 전자부품이 손상됐고 태양전지판도 심하게 훼손됐던 것이다. 그만큼 우주환경은 거칠다.인간의 우주개발사는 ... ...
4. 천문학계 새 스타로 각광
과학동아
l
1995년 07호
계획 자체가 불분명해 지지부진하고 있는 상황이다.특히 우리의 관심 수준이 로켓이나
인공위성
발사 그 자체에 머무르고 있고, 그 내용물(탑재물)을 무엇으로 채우느냐는 뒷전으로 밀려있다.현재 97년 목표로 진행되고 있는 다목적위성 계획 등을 감안해볼 때 우리도 5년 안에 우주과학분야에 대한 ... ...
2 거대타원은하 내 가장 오래된 별은 200억살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것이 밝혀졌다. 금세기 초 미국의 천문학자 허블의 관측에서부터 최근 NASA의 천문학
인공위성
코비(COBE)의 관측에 이르기까지 많은 관측증거들로 인해 빅뱅(Big Bang) 우주론은 이제 아무도 부인할 수 없는 표준우주모델이 되었다. 빅뱅우주론이 암시하는 것 가운데 가장 중요한 점은 과거 언젠가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