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출
표시
증정
기여
기증
공연
노출
d라이브러리
"
제시
"(으)로 총 3,14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F1에 도전장을 내다
수학동아
l
2011년 11호
뉴이 : 레드불의 회장 디트리히 마테쉬츠는 F1의 광팬입니다. 그는 연간 130억 원을
제시
하며 레드불팀을 함께 만들자고 제안했죠. 이를 받아들여 2005년부터 지금까지 일하고 있습니다.기자 : 앞으로 계획은 어떻게 되십니까.뉴이 : 현재‘F1시리즈’와 같은 비디오 게임 제작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 ...
노벨상 수상자의 4가지 비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곳에 존재하는가를 연구해 ‘체계이론(system theory)’을 발표하면서 둘을 종합하는 견해를
제시
했다. 창의성의 발현은 개인 특성뿐 아니라 개인을 둘러싼 복합적인 사회가 상호작용할 때 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문화체계안에서 개인과 사회의 적절한 융합과 시대정신에 잘 맞는 창의성의 ... ...
스스로 운전하는 똑똑한 자동차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교환과 비평이 매우 자유롭다는 것이다. 선배의 아이디어라도 가감 없는 비평과 의견을
제시
하는 분위기이다. 이런 분위기는 다른 곳에서는 쉽게 찾기 힘들다. 우리 연구실은 신입생들에게 가만히 듣고만 있지 말고 질문하라고 가르친다. 게다가 외국인 석박사 연구원들이 있어 공식 회의나 ... ...
최고의 수학도서를 추천합니다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중요한 수학 연구로 발전시킨 경우가 많다.‘10 Lessons’는 이런 면을 가장 간단하게
제시
한 책이다. 이 책은 작은 변화를 이용해 수학적인 증명을 하는 사례가 많다. 예를 들어 임의의 두 실수 a, b에 대해 (-a)(-b)=(a)(b)가 항상 성립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a)(b)+(a)(-b)+(-a)(-b)={(a)( ...
외국어 뭐하러 배우지?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이미 1940년대에 나왔다. 미국의 수학자인 워렌 위버가 1947년 자동번역이라는 가능성을
제시
했고, 몇몇 과학자들이 합류해 1948년 천공카드를 이용한 자동번역 실험을 처음 시도했다. 초기 이론은 단순했다.사전을 찾아 단어를 목적 언어의 단어로 바꾸고, 문법 특성을 고려해 어순을 조절해주는 ... ...
과학적인 미래 연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한다. 결론의 과학적인 배경을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잡다한 자료보다는 확실한 자료를
제시
해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평소 여러 분야에 대해 관심을 갖는 것이 좋다. 물론 여러 분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끝나서는 안 된다. 습득한 지식에 대해 깊게 사고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 ...
“꼼꼼한 기출분석, EBS 교재 복습”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아니라, 내용 정리에서도 출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비슷하지만 다른 형태로
제시
되는 문제도 거뜬히 풀어낼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함정 보기에 주의하자수능시험에서 출제자가 가장 고민하는 부분 중 하나는 바로 난이도 조절이다. 난이도 조절에 실패하면 학생들의 성적 분포가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1이산화탄소는 내가 맡는다지구온난화의 주범인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 고민하던 황당맨은 새로운 이산화탄소 흡수제가 개발됐다는 소 ... 제각기 다르고 실외 작업장은 날씨에 따라서도 달라 표준을 정할 수는 없지만 가이드라인은
제시
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단위원으로 삼각함수 탐구하기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이번 호에 소개하려는 ‘함수’에 관한 포트폴리오는 실제 합격생 포트폴리오의 사례를 거의 찾아보기 힘들다. 그러나 교과 과정을 탐구해 보겠다는 의지가 있다면 누구나 도 ... 중등 영재들의 수학, 과학 탐구활동을 돕고 포트폴리오를 더욱 충실하게 만들 다양한 방법을
제시
합니다 ... ...
‘다중우주’ 첫 검증, 실패로 끝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첫 시도가 불발로 끝났다.다중우주는 1895년 미국 철학자 윌리엄 제임스가 처음
제시
한 개념으로, 우리 은하를 포함한 여러 은하가 ‘버블’이라는 구조를 이루며 여러 곳에 동시에 존재한다는 가설이다. ‘평행우주’라고도 불리며 그 안은 우리 우주와는 완전히 다른 물리법칙의 지배를 받을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