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변
환경
둘레
근처
외주
원주
가장자리
d라이브러리
"
주위
"(으)로 총 3,171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꺼풀 벗긴 메디컬일러스트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콩테(연필 모양의 크레용)와 목탄으로 얼굴 근육을 생생히 그려낸 것이다. 특히 눈
주위
근육(눈둘레근)의 움직임을 재현했다.놀람과 공포가 엄습해 외마디 비명을 지르는 극적인 장면에서는 눈이 커지고 아래턱이 내려간다. 표정을 담당하는 얼굴 근육 대부분은 눈과 입 주변에 있는데, 특히 ... ...
발견 400주년 목성 4대 위성과 그 형제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1989년 10월 발사돼 6년이 넘는 여행 끝에 1995년 12월 목성에 도착한 뒤 2003년까지 목성
주위
를 돌며 2003년 9월 목성과 충돌해 사라질 때까지 목성 대기에서 암모니아 구름을 처음으로 관측했고, 이오의 화산활동과 유로파의 얼음층 아래에 바다가 존재할 가능성을 확인했다.약 8년 동안 35차례나 목성을 ... ...
정신줄 놓다 에 대한 3가지 고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있는 것이 아닌 것처럼…. 편집자 주 ‘정신줄 놓다’, ‘뚜껑 열린다’처럼 우리
주위
에는 말이 안 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주 쓰는 관용어들이 많다. 과연 과학적으로도 말이 안 될까. 매달 생활 속 다양한 관용어들을 찾아 과학적으로 속 시원히 해결할 계획이다. 궁금한 관용어가 있다면 ymkim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실제로 연구한 과학자가 있다.2001년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코리칸스키 교수팀은 태양
주위
를 도는 소행성을 지구 근처로 끌고 올 수만 있다면, 태양계 중력에 변화가 생겨 지구를 태양에서 먼쪽으로 조금씩 밀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기술이 성공을 거두려면 지름이 약 100㎞인 ... ...
1969 vs 2020 달을 향해 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표면의 성분을 연구했다. 찬드라얀1호2008년 10월 22일 발사된 찬드라얀1호는 2년 동안 달
주위
를 돌면서 달 표면의 3차원 지도를 작성할 계획이다. 또한 보조 탐사선을 내려보내 흙을 분석하고 희귀 자원도 찾는다. 인도는 미국의 컨스틀레이션 프로그램과 비슷한 시기인 2020년쯤 달에 우주인을 보낼 ... ...
달나라 탐험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위해서는 행성이 태양에 가까울 때 빨리 움직이고 멀 때 천천히 움직여야 합니다.달
주위
를 도는 대포알도 마찬가지로 케플러 제2법칙을 따릅니다. 따라서 달에 가까울수록 속도가 빠르고 멀수록 속도가 느려집니다. 대포알이 달에서 가장 먼 원월점으로 다가가고 있는 중이므로 대포알의 속도가 ... ...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생물학과 베라 고부노바 교수팀은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세포가 접촉에 민감해
주위
에 세포가 가까이 있을 경우 세포분열을 멈추는 게 암이 생기지 않는 이유라고‘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에 발표했다.보통 암세포는 옆에 다른 세포가 있건 없건 세포분열을 왕성히 해 세포가 빽빽이 뭉쳐 있는 ... ...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10배 더 무거운 물체가 매달려도 끄떡없다. 여러 겹의 강철을 꼰 선을 섬유 소재의 심
주위
로 칭칭 감아 로프를 만들기 때문이다. 다만 초고속 엘리베이터는 일반 엘리베이터에 비해 로프와 카의 무게가 더 무겁다. 버즈두바이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는 로프 무게만 20t이다. 물론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 ...
살아 있는 지구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매우 높은 구간이 도넛 모양으로 지구를 감싸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마치 막대자석
주위
에 늘어선 쇳가루처럼 지구 자기장에 의해 붙잡힌 태양의 하전 입자들이 동그랗게 지구를 감싸고 있는 모습이 최초로 확인된 순간이었다. 이것은 당시 실험을 설계한 미국 존스홉킨스 대학의 핵물리학자인 ... ...
소리의 속력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초음속이라 하며, 비행체가 공기 중에서 마하 1을 넘는 초음속으로 비행하면 비행체
주위
의 공기에는 충격파(shock wave)가 생성된다.소리의 속력은 고체에서 더 빠르다?소리와 빛은 모두 파동이지만, 파동을 구분하는 몇 가지 기준으로 볼 때 소리와 빛은 서로 많이 다르다. 빛은 횡파지만 소리는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