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능한 한
최선
최대량
d라이브러리
"
최대한
"(으)로 총 1,663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식, 치매까지 치료하는 파스의 변신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소형 반도체 칩이 부착 돼 있다. 이 칩은 인슐린이 췌장에서 자연적으로 분 비되는 것과
최대한
유사하게 방출되도록 인슐린 주 입량을 미세하게 조절한다. 크기도 기존 인슐린 패치 에 사용되는 칩의 4분의 1 수준으로 작아 패치를 피부 에 부착했을 때 눈에 잘 띄지 않는다.전극을 이용해 극성을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준비하면 유리하다. 자신 있는 특기과목을 깊이 있게 학습하고, 여타 과목 성적의 편차를
최대한
줄이도록 한다. 또한 자신의 사고를 전개할 수 있는 논술과 서술 능력이 중요하므로 틈틈이 훈련하도록 한다. 20대 박사 꿈꾼다면 도전하라 그렇다면 영재학교·과학고 진학의 장점은 무엇일까? 첫째는 ... ...
‘똑똑한 하천’ 스마트 리버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그 실체와 농도, 확산정도를 분석해 종합상황실로 알려준다. 한마디로 문제가 생길 때
최대한
빨리 사람들이 대처할 수 있도록 정확한 정보를 신속히 제공하는 하천인 셈이다.“스마트 리버 개념은 IT가 발달해 있고 강이 그리 크지 않은 우리나라가 실천에 옮기기에 딱 맞습니다. 아직까지 전세계에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시야가 잘 확보된 곳에 모닥불을 피웠다. 한 개 남은 통조림으로 허기를 달랬다. 불가에
최대한
붙어 잠을 청했다. 달이 떴는데도 은하수가 선명하게 보였다.차를 버리고 하는 노숙이 편할 리 없었다. 추위에 몸을 뒤척이다 잠에서 깼다. 달의 위치가 서쪽으로 반쯤 기울어져 있었다. 새벽 4시가 조금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생각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줄이기한정된 자원과 에너지를 생각한다면 포장을
최대한
줄이는 게 우선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게는 가볍고 두께는 얇은 포장 소재를 써야 한다. 또한 적은 재료로 포장하기 위해 용기나 상자의 모양을 연구하기도 한다.다시 쓰고 활용하고환경을 생각하는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정해서 ‘주풍’이라고 부르지.바람길을 만들려면 건물을 짓거나 도로를 낼 때 주풍을
최대한
덜 가로막도록 만들어야 해. 만약 주풍이 서쪽에서 불어온다면 건물을 남북 방향이 아닌 동서 방향으로 길게 짓는 거지. 도로도 동서 방향으로 만들어 주면 바람이 도로를 타고 움직일 수 있어. 그리고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외부와 소통하는 통로이다. 내부에서의 시야는 창문의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창문을
최대한
크게 열면 대상은 외부 풍경과 함께 한 편의 파노라마처럼 펼쳐지고, 네모난 모양으로 작게 만들면 창은 그림을 담는 액자가 된다.그렇다면 창문 대신 동그란 구멍을 여러 개 뚫으면 어떨까. 엄지와 검지 ... ...
서울대 논술 어떻게 대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그것들을 해체하고 재구성해 소재 간의 연결고리를 찾아나서야 한다. 소재들을
최대한
면밀히 분석할수록 그 연결고리는 쉽게 눈에 띈다. 이때 소재들의 인과관계에 특히 관심을 가져야 한다. 현상에 해당하는 소재를 중심으로 다른 소재들을 놓고 원인이 될 만한 가능성을 검토하는 훈련이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무서워서 도망가는 게 상책일까. 하지만 전문가들은 뛰거나 소리 지르지 말고 우선
최대한
침착하게 행동하라고 조언한다. 뛰거나 소리치면 오히려 멧돼지가 놀라면서 공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속 40km로 달려드는 멧돼지가 정면으로 들이받을 때의 힘은 1t으로 누르는 힘보다 크다. 따라서 ... ...
수학을 파는 자동판매기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어떻게, 얼마나 할 것인가를 결정해야 합니다.결정을 제대로 내려야만 한정된 자원으로
최대한
의 욕망을 이룰 수 있기 때문입니다.생산 부문의 문제는 소비 부문보다 복잡합니다. 첫째, 무엇을 얼마나 생산하느냐는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필요 없거나 넘치는 것은 생산하지 않아야 하며, 필요한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