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능한 한
최선
최대량
d라이브러리
"
최대한
"(으)로 총 1,663건 검색되었습니다.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시야가 잘 확보된 곳에 모닥불을 피웠다. 한 개 남은 통조림으로 허기를 달랬다. 불가에
최대한
붙어 잠을 청했다. 달이 떴는데도 은하수가 선명하게 보였다.차를 버리고 하는 노숙이 편할 리 없었다. 추위에 몸을 뒤척이다 잠에서 깼다. 달의 위치가 서쪽으로 반쯤 기울어져 있었다. 새벽 4시가 조금 ... ...
지식과 논리 갖춘 창의력이 관건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준비하면 유리하다. 자신 있는 특기과목을 깊이 있게 학습하고, 여타 과목 성적의 편차를
최대한
줄이도록 한다. 또한 자신의 사고를 전개할 수 있는 논술과 서술 능력이 중요하므로 틈틈이 훈련하도록 한다. 20대 박사 꿈꾼다면 도전하라 그렇다면 영재학교·과학고 진학의 장점은 무엇일까? 첫째는 ... ...
도전! 지구 해설가, 어린이 도슨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앗, 저기 문을 열고 누군가가 들어온다! 예쁜 꼬마손님들이야!용호 : 우리보다 어리니까
최대한
쉽게 설명해 주자. 아이들이 좋아할만한 내용으로 말이야. 훌륭한 도슨트라면 관람객의 나이에 알맞게 설명해 줄 줄 알아야 해. 그래야 관람객이 전시를 이해 할테니까.우리는 일일 어린이도슨트 체험을 ... ...
Part 2. 뼈대있는 스키 가족
수학동아
l
2010년 01호
폭이 넓고 가운데는 좁아. 이런 스키는 회전할 때 눈을 날카롭게 파고들어 회전 반지름을
최대한
줄여서 회전이 빠르게 이뤄지도록 돕지. 스키가 회전할 때 날리는 눈발이 거의 생기지 않고 칼로 그린 듯 날카로운 곡선의 흔적만 남기지.산에서 하는 알파인 스키와 달리 언덕이나 숲을 달리는 스키는 ... ...
포장이 과학을 만났을 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생각하자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어.줄이기한정된 자원과 에너지를 생각한다면 포장을
최대한
줄이는 게 우선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게는 가볍고 두께는 얇은 포장 소재를 써야 한다. 또한 적은 재료로 포장하기 위해 용기나 상자의 모양을 연구하기도 한다.다시 쓰고 활용하고환경을 생각하는 ... ...
도심에 출현한 멧돼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무서워서 도망가는 게 상책일까. 하지만 전문가들은 뛰거나 소리 지르지 말고 우선
최대한
침착하게 행동하라고 조언한다. 뛰거나 소리치면 오히려 멧돼지가 놀라면서 공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속 40km로 달려드는 멧돼지가 정면으로 들이받을 때의 힘은 1t으로 누르는 힘보다 크다. 따라서 ... ...
건물 외벽에 뚫린 3000개 구멍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외부와 소통하는 통로이다. 내부에서의 시야는 창문의 형태에 따라 결정된다. 창문을
최대한
크게 열면 대상은 외부 풍경과 함께 한 편의 파노라마처럼 펼쳐지고, 네모난 모양으로 작게 만들면 창은 그림을 담는 액자가 된다.그렇다면 창문 대신 동그란 구멍을 여러 개 뚫으면 어떨까. 엄지와 검지 ... ...
서울대 논술 어떻게 대비할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그것들을 해체하고 재구성해 소재 간의 연결고리를 찾아나서야 한다. 소재들을
최대한
면밀히 분석할수록 그 연결고리는 쉽게 눈에 띈다. 이때 소재들의 인과관계에 특히 관심을 가져야 한다. 현상에 해당하는 소재를 중심으로 다른 소재들을 놓고 원인이 될 만한 가능성을 검토하는 훈련이 ... ...
산바람 도시 탈출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정해서 ‘주풍’이라고 부르지.바람길을 만들려면 건물을 짓거나 도로를 낼 때 주풍을
최대한
덜 가로막도록 만들어야 해. 만약 주풍이 서쪽에서 불어온다면 건물을 남북 방향이 아닌 동서 방향으로 길게 짓는 거지. 도로도 동서 방향으로 만들어 주면 바람이 도로를 타고 움직일 수 있어. 그리고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발전소 위치도 처음 계획했던 지점보다 조류 특성은 조금 약하지만 진도대교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진 지금의 위치로 옮겼다. 이런 우여곡절 때문에 2005년 4월에 시작한 공사가 지난 3월에나 마무리됐다.연간 1000t의 이산화탄소 절감 효과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조류발전을 고집하는 이유가 뭘까. 박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