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팀"(으)로 총 2,719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개발해 ‘나노스케일’ 2016년 11월 17일자에 발표했다(doi:10.1039/C6NR07664E).연구팀은 생체분자가 손상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플라즈마를 조사해 미세유체칩을 만들었다. 또 생체분자를 이용해 물질을 측정할 때 전하량의 변화뿐만 아니라 질량 변화도 동시에 측정해 정확도를 높였다. 마지막으로 실리콘 ... ...
- [Future] 걸음을 선물하는 제2의 다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장애물을 통과하는 종목도 있었는데, 한국의 공경철 서강대 기계공학과 교수팀이 리워크 팀 등에 이어 동메달을 차지하기도 했다.Bionic Leg다리와 관련한 또다른 미래 기술은 의족이다. 의족의 역사는 3000~4000년 됐지만, 최근 큰 변화를 겪고 있다. 무게가 가벼워졌다는 것이다. 재료공학의 발달로, ... ...
- [Origin] 지루한 기본맛? 반전의 향료 바닐라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글루코사이드로 바꾸면서 바닐라 향이 난다는 것을 발견했다(DOI:10.1038/ncomms5037).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 변형 효모를 이용해 바닐린을 생산할 수 있었다. 식물유전학자들은 이 같은 연구를 통해 바닐린을 더 많이 만드는 새로운 바닐라 난초 품종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많은 과학자들이 ... ...
- [Culture] 우주의 다른 이름은 게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나. 정체불명의 거대 질량체가 궤도 스테이션 주변에 출현했다!- 분석 :가. 탐사팀이 최근 스캔한 외계 종족의 문건에 중요한 기밀이 담겨 있음나. 자체 방어 시스템 활성화 및 정체불명의 거대 질량체 접근은 이와 관련됨* 수정된 퀘스트 목표1. 궤도 스테이션이 중앙 서버로 최근 업로드한 데이터 ... ...
- Part 1. 파르테논 신전, 대표적인 오해수학동아 l2017년 02호
- 파르테논 신전의 가로·세로비는 정수비인 9:4라고 이야기했어요.파르테논 신전 복원팀이 여러 인터뷰를 통해 파르테논 신전의 가로·세로비는 9:4가 맞다고 밝히면서 파르테논 신전의 황금비 논란은 끝을 맺었어요. 사실 파르테논 신전은 외관뿐만 아니라 내부의 가로·세로비도 9:4예요. 기둥 중심의 ... ...
- [과학뉴스] 다이아몬드에서 지구 맨틀을 보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150~200km 깊이에서 만들어지는 일반 다이아몬드에서는 이런 광물이 발견되지 않았다.연구팀은 “앞으로 거대 희귀 다이아몬드를 활용해 지구 내부의 거동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사이언스’ 2016년 12월 16일자에 발표됐다 ... ...
- [Future] 뉴욕 월드 메이커 페어를 가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전시하고, 이를 이용한 메이커들의 작품을 선보였다. ‘서드 럼블’이라는 이름의 팀은 인텔 에디슨 보드를 장착한 턴테이블로 디제잉을 선보였다. 인텔의 리얼센스 카메라를 이용해 스캔한 뒤 다시 3D 프린터를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제작 스타트업 루미도 참여했다.특히 사람들의 관심을 끈 것은 ... ...
- [과학뉴스] 영하에서 얼음은 한 층씩 녹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얼음 표면에 적외선을 쏜 뒤 온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했다.그 결과 연구팀은 영하 38℃에서 이미 얼음 표면의 분자 층 하나가 준 액체로 변해 있는 것을 발견했다. 서서히 온도를 높이자 영하 16℃에서 두번째 분자 층이 준 액체로 변했다. 온도가 높아지면 얼음표면이 조금씩 지속적으로 ... ...
- Part 2. 지구 속이 궁금해? 직접 파 보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분석 중이에요.낮에 활동하는 팀과 밤에 활동하는 팀으로 나뉘는데, 저는 밤에 활동하는 팀이었어요. 저녁 10시쯤부터 하루 일과가 시작되죠. 보통 3시간에 한 번씩 해저지각이 시추공에서 채취되어 올라와요. 이 샘플을 분석한 뒤, 다른 과학자들과 토론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게 주요 업무랍니다. ... ...
- [Issue] 미래지진을 찾아 바다 밑을 들추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3분 의 1은 일본, 중국, 인도, 호주, 브라질, 인도네시아 그리고 한국에서 모인 다국적 팀이었다. 20대 중반의 대학원생부터 은퇴한 70대 교수까지 있었고, 고생물학, 퇴적학, 구조지질학, 지구물리학, 수리지질학, 해양지질학, 지구화학, 암석역학 등 전공도 다양했다. 시추선에 두 번째 승선하는 나에겐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