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표준"(으)로 총 1,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2. 현대인은 왜 SF에 매달리는가과학동아 l1999년 08호
- 기계(비행기), 먼 거리까지 소리를 전하는 관(전화), 초속성으로 식물을 재배하는 토지, 표준보다 크거나 작게 만들어낸 동물과 과일(유전공학), 멀리까지 가는 강렬한 광선(레이저) 등이 있다. 실제로 이중 상당수는 수백년이 지나서 실현됐다.이처럼 근대 초기의 사상가들은 과학기술이 인류를 ... ...
- 내 PC 멀티미디어로 활용하기과학동아 l1999년 07호
- - 윈도 미디어플레이어마이크로소프트는 이상한 욕심을 가지고 있다. 그것은 바로 '내가 표준'이라는 논리. 대다수의 네티즌들이 이용하던 넷스케이프를 따라잡기 위해 자사의 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윈도98에 무료로 포함시키는 방법으로 전세를 역전시킨 마이크로소프트는, 멀티미디어 ... ...
- 은하수가 흘러넘치는 7월의 슬픈 사연들과학동아 l1999년 07호
- 7월에는 장마로 별을 보기가 쉽지 않지만 비 갠 뒤의 하늘은 어느 때보다 맑고 아름답다. 특히 7월의 맑은 하늘은 은하수의 강물이 흘러 넘 ... 공식 명칭은 B143. B는 암흑성운을 처음 발견한 버나드(Banard)의 머리 글자에서 따왔다. 표준렌즈로 쉽게 찍히며 청명한 날 쌍안경으로도 볼 수 있다 ...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과학동아 l1999년 04호
- 를 거쳐 최종 선정된 작품이 1982년 부터 일본에서 사용됐는데, 일본은 이 아이콘을 국제표준기구(ISO)의 화재방지위원회에 제출했다. 위원회는 일본안과 옛소련안을 두고 고심하다 일본안에 호감을 보였다. 그러자 1983년 영국(C)과 프랑스(D)는 자존심을 걸고 새로운 안을 제출해 일본의 독주를 ... ...
- ③ 과학기술용어과학동아 l1999년 03호
- 과학기술용어가 남한과 다른 것은 용어를 정의하거나 우리말로 바꾸는 과정과 함께, 표준말과 맞춤법의 근본적인 차이에서 기인하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겨레의 분단상태는 남북의 언어 소통과 학문 분야의 교류 발전에 담을 쌓고 있다. 이런 상태가 오랫동안 계속되면 나중에는 걷잡을 수 없는 ... ...
- 과학일화 : 철도 레일 폭의 기원과학동아 l1999년 02호
- 겪었다.기차 폭이 좁다는 불평은 충분히 이유있는 투덜거림이지만 '어쩔 수 없는' 표준의 역사를 생각한다면 꾹 참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전세계의 철도 폭을 변경하는 '대역사'를 시행할 수 없다는 말이다 ... ...
- 1. 관상 어디까지 과학인가과학동아 l1999년 02호
- 명지대 최창석 교수(전자정보통신학과)는 최근 한국인의 얼굴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표준화해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다. 범죄 피해자가 범인의 얼굴 특징을 구체적으로 진술하지 못하더라도 인상적인 느낌만으로 이 데이터베이스에서 눈, 코, 입 등을 골라내면 이를 합성해서 몽타주를 만들 수 ... ...
- 오감을 뛰어넘는 초감각 지각 ESP과학동아 l1999년 02호
- 초심리학이 등장하면서부터 대중화되었다.라인이 실험실에서 심령 연구에 사용한 표준 도구는 ESP카드이다. 1930년 듀크 대학에서 처음 사용된 이 카드는 라인의 동료인 칼 제너가 고안했으므로 한때 제너 카드(Zener card)라고 불렸다. ESP카드는 별, 십자, 네모, 원, 세줄의 파도 등 다섯가지 기호가 ... ...
- 책상 - 보면 볼수록 새로운 과학백화점과학동아 l1999년 02호
- 공산품뿐만 아니라 책에도 표시돼 있다. 이 코드 역시 EAN코드방식을 따르지만 ISBN(국제표준도서번호), ISSN(국제연속간행물번호)으로 나눠진다. 예를 들어 과학동아 표지에 붙어있는 ISSN 1228-3401이라는 번호는 한국에서 발행되는 잡지인 과학동아라는 정보를 담고 있다. 전세계 어디서라도 이 번호는 ... ...
- ② 수소 발견 이야기과학동아 l1999년 01호
- 수소의 원자모형이 해명되기 시작한지 20여년 후인 1932년 미국의 화학자 유레이는 미국 표준연구소의 워시번과 함께 수소의 동위원소(중수소)를 발견하고 그 공로로 1934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다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