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꿀벌이 새 여왕 뽑는 기준, 가족보다 ‘왕족’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이익을 택한 꿀벌이 진화과정에서 살아남았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플로스 바이올로지’ 7월 11일자에 실렸다. doi:10.1371/journal.pone.019912 ... ...
[과학뉴스] 독성 분석하는 인공지능 ‘라사르’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미국 연구팀이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기계학습 모델을 개발했다.토마스 하르퉁 미국 존스홉킨스대 공중보건대 교수가 이끄는 공동연 ... 동물실험보다 더 정확하고 다양한 독성 예측이 가능하다”고 말했다.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독성학’ 7월 11일자에 실렸다.doi:10.1093/toxsci/kfy15 ... ...
[Issue] 여름 바다에서 피해야 할 5대 세균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모래와 접촉한 뒤 복통을 호소하는 경우가 잦다는 연구 결과를 전염병 관련 국제
학술
지인 ‘미국 역학 저널’ 2009년 6월 18일자에 발표했다.doi:10.1093/aje/kwp152 연구팀은 미국 7개 지역의 해변을 찾은 2만7365명을 대상으로 모래를 파내거나 모래에 몸을 묻는 등 바닷가에서 모래와 직접적으로 접촉한 ... ...
[Origin] 이런, 다이아몬드 같지 않은 나노 다이아몬드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선임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지난해 이 정제 기술을 개발해 국제
학술
지 ‘카본(Carbon)’ 2월호에 발표했다.doi:10.1016/j.carbon.2017.02.040나노 다이아몬드가 합성된 직후에는 내부에 다량의 불순물이 포함돼 있어 이를 그대로 사용하면 나노 다이아몬드가 가진 장점을 온전히 활용하기 어렵다. 기존에는 ... ...
[Interview] "박쥐 같은 학문 바이오피직스로 면역항암제 개발 길 열 것"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움직임이나 동작을 추적하는 FRET 기술로 지난 20년 간 ‘네이처’ ‘셀’ 등 유수의
학술
지에 논문 200여 편을 발표했다. FRET은 ‘Fluor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의 약자로 두 종류의 형광 물질이 가까운 거리에 있을 때 공명에 의해 에너지가 전달되는 현상을 말한다.생물 분자들 사이의 거리는 수 .. ...
Par 1. 필즈상, 무엇이든 다~ 물어보세요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이 세미나에서 지도한 아버지의 제자입니다. 지금은 은퇴하고 도쿄에 머물며 다양한
학술
및 예술행사를 지원하는 활동을 합니다. 사진 찍는 걸 무척 좋아하세요. 지금 집에 도착했는데도 신발을 벗지 않고 밖에서 계속 사진을 찍고 있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2018 필즈상 ... ...
[과학뉴스] 항생제 없이 박테리아의 바이오필름 제거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국내 연구팀이 항생제와 화학물질 없이도 박테리아와 바이오필름을 제거할 수 있는 나노복합체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바이오필름은 ... “항생제 내성이 있는 슈퍼박테리아도 공격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
지 ‘나노스케일’ 7월 2일자에 게재됐다.doi:10.1039/C8NR0276 ... ...
[과학뉴스] 디스플레이 지문 인식, 은나노섬유로 해결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교수팀은 투명하고 유연해 액정에 삽입할 수 있는 지문 센서를 개발했다고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7월 3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이 센서는 지문뿐만 아니라 온도, 압력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정전식 지문 센서’다.그간 정전식 센서는 정확도가 높고 얇고 간단한 구조로 ... ...
[Culture] 20년 만에 다시 태어난 익산 미륵사지 석탑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특히 1층 내부에는 십자(十)형 통로가 형성돼 있는 등 고대건축의 실존 사례로 역사적,
학술
적 가치가 매우크다. 하지만 창건 당시 석탑의 층수 등 원형에 대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고 있다. 또 6층 일부까지 반파된 상태로 남아있던 것을 1915년 일본이 콘크리트를 덧씌운 상태로 그간 전해져 왔다.199 ... ...
하나를 가르치면 '0’을 아는 벌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좀 더 갖고 있답니다. 사람도 이해하기 힘든 수학 개념을 인지한다2018년 6월, 과학
학술
지 ‘사이언스’에 꿀벌이 0의 개념을 이해한다는 논문이 실렸습니다. 연구팀은 그림으로 수를 표현한 종이를 이용해 벌이 더 작은 수를 선택하도록 학습시켰습니다. 동그라미가 더 적은 종이로 가면 설탕물로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