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집회
회합
위원회
모임
소사이어티
협회
단체
d라이브러리
"
학회
"(으)로 총 1,863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이컵이 남긴 탄소발자국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그리고 3일 동안 일교차가 평소보다 1℃ 더 컸다는 사실을 발견해 2002년 5월 미국기상
학회
에 발표했다.그는 이 결과를 ‘지구흐리기’(global deeming, 인간이 만든 먼지 같은 입자가 태양빛을 차단해 지구의 온도를 낮추는 현상)의 증거로 해석했지만 학계에서는 의견이 분분했다.하지만 이 연구의 ... ...
무한속도의 비밀은 '칩'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ISSCC)에서 주목을 받았다. ISSCC는 ‘황의 법칙’이 무어의 법칙을 뒤엎은
학회
로 새로운 IT 기술의 데뷔 무대이기도 하다. 김 교수는 3차원 디스플레이를 실시간으로 재생하도록 돕는 칩을 설계해 ‘하이라이트 논문’으로 선정됐다.김 교수팀은 3차원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3차원 그래픽의 용량을 ... ...
시력 9.0의 진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하지만 안경 없이 바라보는 세상은 뿌옇게 흐려 있어 답답하기 그지없다.2006년 대한안과
학회
의 조사 결과 우리나라 초등학생의 절반 가량이 근시로 나타났을 정도로 요즘 주위에서 눈 좋은 사람을 찾기 힘들다. 그런데 태국의 원주민 모겐족은 시력이 9.0이라고 한다. 과연 시력 9.0이 현실적으로 ... ...
나노부터 우주까지 빛으로 길이 잰다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올해 목표를 점검해보니 모두 완수했다. 그동안 출원한 특허가 42건, 국내외 저널이나
학회
에 발표한 논문은 300건에 이를 정도다.기업과 활발히 협력해 기술을 상용화하는데도 성공했다. 2003년 반도체 최종 외관 검사기를 개발해 국내 기업이 상용화할 수 있게 기술이전을 했고 2004년에는 세계적인 ... ...
국내 마이크로프로세서 설계 권위자 박성배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1200명의 전문가 앞에서 발표했던 것. 이 논문은 ISSCC 우수논문으로 선정돼 미국전자전기
학회
(IEEE)에서 발행하는 ‘저널 오브 솔리드스테이트 서키츠’(JSSC) 특별판에 실렸다. 미래 혁명의 중심 CPU그는 초등학교 3학년 때 월간지 ‘새소년’의 연재만화에서 로봇에 전자두뇌를 집어넣는 장면을 처음 ... ...
그녀에게 자꾸만 끌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07년 10호
받았고 현재 오스틴 텍사스대에서 심리학을 가르치고 있다. 인간행동과 진화심리학
학회
의 의장으로도 활동했다. 짝짓기전략, 성(性)간 갈등, 세력과 지위 같은 주제를 활발히 연구 중이며 저서로는 ‘위험한 열정 질투’ ‘마음의 기원’ ‘이웃집 살인마’ 등이 있다.나를 바꾼 과학책 철학의 ... ...
우주왕복선의 열손상 대처법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검사법 1901년 독일 의사 G 켈링이 광학렌즈를 부착한 내시경으로 개의 복강을 관찰하여
학회
에 발표했고 10년에는 스웨덴 외과의사 H C 야코베우스가 복수 환자의 진단에 복강경을 사용한 후 점차 임상적으로 보급되었다복강경 검사는 복강경을 복강에 삽입하기 전에 먼저 기복(氣腹)을 한다 계자 ... ...
미래 과학자 하나로 묶는 여름 축제
과학동아
l
2007년 09호
뉴턴을 비롯해 세계적인 과학자를 배출한 왕립
학회
, 산업혁명의 시작을 상징하는 스팀엔진에서 최첨단 우주로켓에 이르는 전시물로 가득한 런던과학박물관, 3000만점의 동식물 표본을 보관하고 있는 국립자연사박물관….유럽 과학기술의 본고장인 영국 런던에 지난 7월 25일 전 세계 50여 개국 250명의 ... ...
태양계 기원 밝힐 탐사선'돈'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의해 보급되었다열에 의한 광학적 성질의 변화에 관한 연구 등도 있다1870년 프랑스광물
학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다폭발의 한 형태 폭발 반응이 진행되는 속도가 음속을 초월하는 현상을 말한다폭약은 열역학적으로 매우 불안정한 물질이어서 폭약의 한 점에 열 · 충격 등 어떤 외적 에너지를 주어 ... ...
2. 세포의 달콤살벌한 하루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최근 발표됐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재릿 베리 박사와 필립 그린랜드 박사가 ‘역
학회
보’(Annals of Epidemiology) 7월호에서 수줍음이 많아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 않는 남성은 외향적이고 사교성이 좋은 남성에 비해 심혈관질환 위험이 50% 높다고 밝힌 것.사실 우리가 생명을 유지하는 이유는 심장에 있는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