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결방법"(으)로 총 4,088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나, 실험실 돼지 남다른 돼지가 됐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평범한 돼지들이 변하기 시작했다. 어떤 돼지는 헬스트레이너 못지 않은 근육을 자랑하는 ‘근육돼지’가 됐고, 어떤 돼지는 인간의 장기를 갖는 ‘키메라돼지’가 됐다. 이들은 어떻게, 그리고 왜 변신을 거듭하게 된 것일까.지난해 7월, 학술지 ‘네이처’에 신기한 사진 하나가 실렸다. 사진 속 ... ...
- Part 3. 미토콘드리아 바꾼 ‘세 부모 아이’ 안전할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미토콘드리아와 관련이 있는 유전병의 종류는 수십 가지가 넘는다. 마땅한 치료법이 없고, 유전자를 물려준 어머니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 없다. 현재까지 이 유전병을 막는 유일한 방법은 건강한 이에게서 미토콘드리아를 기증 받는 방법뿐이다. 일명 ‘세 부모 아이’가 되는 것이다. 지난해 2월 ... ...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지난 화에서 우리는, 자연 선택이 각 개체의 포괄 적합도를 최대화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즉, 사회적 행동을 하는 개체는 자신의 자식 수(직접 적합도)뿐만 아니라, ‘그 행동을 만드는 유전자를 공유할 확률이 있는 수용자의 자식 수에 끼친 영향의 일부분(간접 적합도)’도 신경을 쓰게끔 행동한다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년 07호
- 2학기부터 중학교 1학년 수학 시간이 확 달라진다! 선생님 목소리만 들리던 조용한 교실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왁자지껄 떠드는 시간으로 바뀐다. 팀을 짜서 과제를 수행하는 프로젝트 수업이 통계 단원에 도입되기 때문이다. 과연 어떤 모습일지 미리 엿보자. 교과목 중에 가장 중요한 과목을 ... ...
- [Tech & Fun] ‘김여사’는 없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필자의 어머니는 운전을 능숙하게 한다. 얼마 전까지 “이 나이에, 여자치고는 꽤 잘한다는 칭찬을 듣는다”며 으쓱해 하곤 했다. 하지만 이런 칭찬이 ‘여성이 남성보다 운전을 못한다’는 의미를 내포한 것임을 깨닫고 난 뒤에는 ‘여자치고’라는 말은 빼자고 하신다.반대로 어떤 이들은 여성이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빅데이터는 그 자체로는 쓸모 없다. 그 속에서 어떠한 가치를 이끌어내야 의미가 있다. 여기에 수학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웨이블릿 변환 나쁜 유전자 찾는 열쇠, 웨이블릿 변환인간의 유전자 지도는 대표적인 생체 빅데이터로 질병을 예측하는 데 쓰일 수 있다. 지난 5월 10일 광주과학기술원 ... ...
- [지식] 알고 쓰면 과학, 모르고 쓰면 사기 P-value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똑같은 도구와 똑같은 방법으로 실험하면 누가 하든 똑같은 결과가 나와야 합니다. 그래야 과학적이라고 할 수 있지요. 그런데 최근 생명과학과 의학, 사회과학, 심리학에서 많은 실험이 재현되지 않아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그 원인으로 P-value가 지목되면서 몇몇 극단주의 성향의 과학자들은 연구 ... ...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우주범선은 어디 있죠?”처음엔 당황했다. 프랑스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파피용’에 등장하는 우주범선 ‘파피용’은 무려 14만4000명의 지구인을 태울 정도로 거대하다. 돛의 면적만 100만km2다(남한 면적의 10배). 이런 우주범선을 기대한 건 아니지만 지난 3월, 충남대에서 만난 우리 ... ...
- PART 3 나도 데이터과학자!수학동아 l2016년 06호
- 데이터로 튀기는 치킨데이터 분석은 데이터과학자만이 할 수 있는 일일까? 사실 마음만 먹으면 누구든지 데이터 분석을 할 수 있다. 데이터 전문가가 아닌 대학생 허성일 씨가 실생활 속 문제를 데이터 분석으로 해결한 이야기를 들어보자. 저희 아버지는 평생을 은행에서 일하다 은퇴하시고, 치킨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24차원에서 공을 촘촘히 쌓으려면?수학동아 l2016년 06호
- 과일가게 주인은 다 아는 수학 상식! 바로 케플러 추측입니다. 크기가 같은 공을 상자에 가장 많이 담으려면 피라미드 모양으로 쌓아야 한다는 것이지요. 그런데 이를 3차원이 아니라 더 큰 차원, 8차원과 24차원으로 확장하면 어떻게 될까요? 최근 우크라이나의 수학자가 이를 해결했습니다. 상상도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