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행동"(으)로 총 3,33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남기지 않고 무조건 모양을 정하는 특유의 기풍을 보여줬다. 알파고의 이해되지 않는 행동은 이뿐만이 아니다. 알파고는 2국 종반에도 어처구니없는 선택을 했다. 우측 상단의 흑돌 여섯 개(알파고)와 중앙의 백돌 네 개(이세돌)를 바꿔치기 한 것. 사람들 간의 대결에서는 대악수라고 불리는, 소위 ... ...
- [Knowledge] 이타성을 향한 여정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맛에 대한 피셔의 논의는 머릿속에 없었다고 회상했다. 하긴, 책을 읽을 당시에는 이타적 행동이 자신의 박사학위 주제가 될지는 몰랐으리라. “읽고 나서 잊었다.” 해밀턴의 고백이다.에필로그57학번(?) 해밀턴으로선 아쉽게도, 피셔는 1957년 9월에 은퇴했다. 그러나 그 후에도 몇 년간 피셔는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스스로의 안위와 관련된 일이라면 크든 작든 최대한의 이익을 얻는 방향으로 행동하기 마련이죠. 이를 옳거나 그르다고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다만 확실한 건 배신이 언제나 이득을 가져다 주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설사 배신이 이득을 가져다 준다고 할지라도 사회적으로 고립된 배신자의 ... ...
- [과학뉴스] 국내 첫 ‘오랑우탄 거울실험’, 다큐로 나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거울을 보면서 평소 눈에 잘 띄지 않는 항문을 관찰하고 머리를 매만지는 등 다양한 행동을 보인다. 비닐더미와 같은 물체로 몸을 가꾸는 모습도 관찰됐다. 남 기자는 “실험결과를 보고 오랑우탄이 자의식을 가졌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면서 “동물이 단순한 자극반응기계가 아니라, 인간처럼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크면, 냄새를 맡아 처리하는 속도가 빠를 가능성이 크다”며 “복제탐지견의 인지, 분석, 행동 능력이 일반 개보다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2007년, 콜롬비아 국제공항에서 마약 단속팀의 일원으로 일하며 많은 마약을 적발해 공로 메달을 받은 마약탐지견 아가타(당시 5살)에게 24시간 ... ...
- [가상인터뷰] 침팬지도 친구를 믿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친한 친구를 더 믿는다’고 결론을 내렸어요. 또한 이 연구는 영장류들의 사회적인 행동을 분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거라고 기대하고 있지요.저는 사람과 가장 비슷한 동물이기 때문에 과학자들이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어요. 저를 연구하면 인류를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저는 ... ...
- [Knowledge] 최초로 ‘빵’ 터진 그들에게 무슨 일이?ㅋㅋ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서열이 높은 남자가 큰 소리로 말하고 웃으면서 여성에게 어필하듯, 침팬지가 크게 웃는 행동은 이성에게 어필하는 측면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웃음은 지금도 계속 진화하는 중이다. 웃음은 자연선택을 통해 진화했지만, 현대의 웃음마저 생존과 번식의 필요에 맞춰진 건 아니다. 한마디 말로 ...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세다는 것을 금방 느꼈다. 알파고는 주로 전투보다는 타협하면서 균형을 잡는 쪽으로 행동했고, 이 과정에서 상대가 조금이라도 무리를 하면 전투로 제압하는 ‘수읽기’ 능력이 탁월했다. ‘확률’에만 초점을 맞춰 수를 두는 몬테카를로 방식을 채택한 바둑 프로그램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하지만 ... ...
- [과학뉴스] 물고기는 왜 자기 알을 먹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야생 동물의 가장 중요한 생존 목표는 번식을 통한 유전자 보전이다. 그런데 어떤 종은 자신의 알이나 새끼를 먹는 행동을 한다. 식량 부족 ... 적응 행동임을 알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생태와 진화’ 1월 29일자와 ‘행동생태학및사회생물학’ 2월 3일자에 각각 발표됐다 ... ...
- 새와 공룡 너무나 닮은 우리 사이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새와 공룡의 자식사랑새와 공룡은 구애 행위뿐만 아니라 알을 낳고 새끼를 돌보는 행동도 닮았습니다. 새에게 알을 낳는 지역이 따로 정해져 있듯 공룡도 아무데서나 알을 낳지 않습니다. 알을 품는 것도 공룡과 새의 공통점입니다. 몽골에서 발견된 오비랍토르는 알을 품은 채로 죽어 화석이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