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피
d라이브러리
"
혈액
"(으)로 총 1,731건 검색되었습니다.
안데스인의 피는 태평양인보다 붉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생기지 않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허파의 혈관을 확장해 허파 안에서 많은 양의
혈액
이 원활하게 흐르도록 하고 헤모글로빈이 산소를 붙잡는 능력을 향상시켜 각 조직으로 산소가 충분히 운반될 수 있도록 돕는다. 따라서 인간이 고산지대의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허파 내에 산화질소가 ... ...
에베레스트 '죽음의 고도'에서 살아남기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디아조늄염은 빛에 의해 분해되기 쉬우며, 또 가열이나 타격에 의해 격렬하게 폭발한다
혈액
형의 하나 디지틀(이산적) 신호를 아날로그(연속) 신호로 바꾸는 조작 AD변환의 역조작이며 디지틀계와 아날로그계의 연결에 필요하다디지틀 신호의 각 자릿수와 겹치는 데 대응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 ...
4백만년 전 묻힌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뇌의 장애
혈액
질환 · 내분비질환 · 유전성질환 · 골질환 등의 대사이상으로 일어난다
혈액
질환으로는 악성빈혈 · 진성적혈구증가증 · 호지킨병 · 백혈병 · 거대글로불린혈증 · 혈전성혈소판감소성 자반병(紫斑病) 등이 있고 권태감 · 현기증 · 두통 · 귀울림 · 시력장애 · 경련 · 혼수 등의 ... ...
① 나노 세계의 전투생명체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증식한 바이러스는 다른 사람으로 이동할 수 있다. 숙주의 호흡, 소화기 분비물,
혈액
과 상처 등을 통해 바이러스는 몸밖으로 나올 수 있다. 몸밖으로 배출된 바이러스가 새로운 숙주를 만나면 전염이 된다.바이러스가 전염되기 위해서는 완전한 바이러스 입자가 사람 몸으로 들어와야 한다. 우리 ... ...
딸꾹질의 기원은 올챙이의 아가미?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diving reflex) 기능, 즉 머리가 찬물에 잠기면 곧바로 심장박동이 느려져 산소가 풍부한
혈액
이 뇌와 허파에 공급됨으로써 질식이나 뇌 장애를 늦추는 기능을 가진다.수중동물처럼 다량의 눈물을 흘린다거나 세계 인구의 7%가 손가락과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의 흔적을 갖는 것도 수중 생활의 역사를 ... ...
범인 신원 밝히는 결정적 단서 DNA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크게 증가한 것이다.미국 치안당국은 살인이나 강간 같은 강력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의
혈액
을 채취해 DNA 샘플을 보관하는 ‘DNA은행’을 설립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특히 범죄발생률을 보면 살인이나 강간의 경우 같은 사람이 상습적으로 범죄를 저지를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 ...
입 속 세상 다스리는 구강청정제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증상이다. 신경조직까지 손상되면 통증이 생기고 입냄새가 심해진다.플라그에 침이나
혈액
속의 칼슘이 들어가 굳어 석회화되면 치석, 즉 ‘스케일’이 된다. 흔히 구강 건강을 위해 주기적으로 받는 스케일링 치료는 이렇게 생긴 치석을 기계적으로 제거해주는 것이다. 잇몸병 또는 풍치라고 ... ...
적외선우주 관측하는 새로운 망원경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반응시킨다 이 시험으로 응집반응(凝集反應)이 보이지 않는
혈액
이면 수혈했을 때
혈액
형에 기인하는 부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전극반응이 발생할 때 전극의 단위면적당 교환전류 구급할 때에 대비한 간이 한약방문 허 종(許琮) 등 찬(撰) 8권 목판본(木版本) 성종 20년(1489년)간 조선 9대 왕 성종이 ... ...
바빌론에서 바그다그까지 문명의 요람 이라크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원리로서 크기가 훨씬 작다 골수의 백혈구 생성조직이 무제한으로 증식하는 질환 소위
혈액
의 암(癌)이며 골수에서 유약한 세포가 계속 생성되어 건강한 사람의 경우 7,000 전후의 백혈구 수가 10여만에서 수십만에 달하게 된다 1850~1930 독일의 물리학자 실레지아의 그라이비츠에서 출생했고 베를린 ... ...
1 세상에서 가장 정교한 설계도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찰스 다윈조차 이런 생각의 벽을 뛰어넘지 못했다. 그는 두마리의 동물이 짝짓기를 하면
혈액
이 합쳐져, 이를 통해 부모의 형질이 자식에게 물려진다고 생각했다.다윈과 19세기 사람들의 생각이 잘못됐음을 지적한 사람이 멘델이었다. 그는 1856년부터 7년 동안 완두콩 교배실험을 통해 씨앗마다 어떤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