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성분
독기
발병력
병독성
뉴스
"
독성
"(으)로 총 1,426건 검색되었습니다.
휴가지에서도, 도심에서도 ‘말벌’ 조심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7.30
만다라톡신이나 호흡을 가쁘게 만드는 아세틸콜린 등도 포함돼 있답니다, 그 자체의
독성
도 중요하지만 벌독이 무서운 진짜 이유는 일부 사람에게서 강한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과민 충격’이라고 부르는데요. 심하면 소량만 들어가도 몸이 퉁퉁 붓고 그에 ... ...
스마트폰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해외 앱들
과학동아
l
2017.07.27
빌리루빈이 과다해서, 눈의 흰자위나 피부 등이 노랗게 변하는 것을 말한다. 빌리루빈은
독성
물질이기 때문에 신생아의 황달을 방치할 경우 청력장애나 뇌성마비를 일으키고, 사망에 이를 수도 있다. 빌리캠은 다양한 색의 색상 차트를 인쇄해 아기의 배 위에 올려놓고 사진을 찍으면 색상 차트와 ... ...
디즈니 캐릭터들이 2017년에 산다면?
팝뉴스
l
2017.07.26
왕자님은 신데렐라를 외면한 채 스마트폰에만 열중한다. 인어공주는 암초에 걸터앉아
독성
폐기물이 담긴 드럼통을 보면서 침울한 표정을 짓고 있다. 인간의 환경 파괴 때문에 인어 공주는 꼬리가 둘 달린 신세가 되고 말았다. 한편 라이언킹 심바와 정글북의 셰어칸 그리고 귀여운 호랑이 ... ...
[카드뉴스] 음식이 바꾼 인류 유전자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17.07.26
약한 것은 ALDH 활성 유전자 유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ALDH가 제대로 기능을 못 하면
독성
물질인 아세트알데히드가 혈액 속에 남게되는 것이죠. ALDH1은 아세트알데히드가 고농도일 경우 활성화되는데 서양인의 40% 이상에게서 잘 활성화됩니다. ALDH2는 알코올이 조금이라도 흡수되면 활성화돼 ... ...
바다에 자일렌이 유출되면?
과학동아
l
2017.07.24
지원반이 경고를 보냈다. “현 대응력에게 알림! 현재 유출되고 있는 자일렌은 고인화성
독성
물질로 현장 접근 시 바람을 등지고 30m 이상 거리를 유지하기 바람!” 인천해경서 113정이 사이렌을 울리며 빠르게 사고 해역으로 다가왔다. “금일 14시경 본 해역에서 인체에 유해하고 화재 위험이 있는 ... ...
수백 마리의 해파리, 팔라우 ‘해파리 호수’
2017.07.23
독이 없다. 호수로 변하면서 해파리를 잡아먹는 천적이 없어졌다. 그러자 진화 과정에서
독성
도 사라지고 촉수도 짧아졌다고 한다. 이제는 광합성을 하면서 태양의 움직임을 따라 이동하면서 살게 됐다. 해파리 호수가 미디어를 타고 유명해지다 보니, 관광객 수가 늘어나 이제는 호수가 망가지지 ... ...
‘녹조라떼’로 만든 신발이 있다고?
과학동아
l
2017.07.22
말했다. 하지만 “이것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다. 우리의 최종 목표는 조류가
독성
물질을 뱉기 전 정기적으로 조류를 수확해 공정절차를 줄이고, 하천의 생태계도 지켜내는 것”이라고 말했다. 울트라 3 에코는 7월부터 비보베어풋 공식 홈페이지에서 판매된다 ... ...
내 사랑하는 애완용 코브라
팝뉴스
l
2017.07.20
거대한 뱀이다. 정확히는 킹코브라다. 인도 등 아시아 지역에 사는 킹코브라는 강한
독성
과 함께 거대한 덩치로 유명하다. 최대 5.7m까지 자라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 속 킹코브라도 굉장히 크다. 그러나 평균적인 크기에 불과하다고 하다. 더 큰 킹코브라가 많다는 말이다. 그래도 다행인 것은 ... ...
수술 중 조영제+지혈=‘나노 접착제’로 한번에
동아사이언스
l
2017.07.19
할 때 진단 부위가 잘 보이도록 도와주는 약품이다. 반드시 써야 하지만 사람에 따라
독성
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있다. 지혈제 역시 시술 과정에서 생기는 출혈을 막고 손상된 조직을 연결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기존 합성고분자 접착제는 혈관처럼 미세한 부분에는 소량을 사용해야 하는데 ... ...
홍합에게 배운 튼튼한 임플란트 재료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7.13
“이 나노접착 프라이머는 사람의 치아, 뼈 등의 경조직 및 임플란트 표면에 잘 붙고
독성
이 없으면서도 강력하다”며 “생체 표면처리제나 깨지기 쉬운 현재의 치과용 수복재 등 다양한 치과재료에 사용될 경우 현대인의 치아 건강을 더 오래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