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병원균
미소동식물
박테리아
미생물공업
공업
병원미생물
병원
뉴스
"
미생물
"(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치硏, 국제공인시험기관 인정 범위 44개 항목으로 확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3.27
2개로 13개 항목이 추가돼 시험 범위가 총 44개 항목으로 확대됐다. 이전에는 식품과
미생물
분야로 자격이 한정돼 있었지만 이번에 농축산물 분야로 확대되면서 농축산물 수출에도 도움을 주리란 기대다. 김치연에서 발급되는 시험성적서는 상호인정협정을 체결한 103개국 100개 시험기관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이 만든 잡종으로 산호 멸종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4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반오펜 교수 연구팀 또한 최근 호주 정부로부터 산호의
미생물
연구와 관련해 약 200백만달러(약 22억5880만원)을 지원받았다. 하지만 산호초 멸종 해결에 대한 이런 접근법은 반대에 부딪치고 있다. 생태계 교란을 이유로 실제 바다환경에 혼합종을 푸는 것은 숱한 ... ...
[과학게시판] 과학놀이 콘텐츠 공모전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3.19
구축할 계획이다. 특히 두 기관은
미생물
전체 유전체를 분석하는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미생물
을 발견하고 대사물질 분석 연구에 활용 가능성이 높은 데이터를 생산할 계획이다 ... ...
제23회 한국공학한림원 대상에 이상엽 KAIST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19.03.18
쉽게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대장균으로 만들었다. 지난해 1월에는 페트를 분해하는
미생물
의 효소 구조를 밝히고 성능을 높이기도 했다. 그의 연구는 지난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이 선정한 2018냔 10대 과학기술뉴스 연구개발 성과 부문에서 1위를 차지했다. 김종희 수석연구원은 ... ...
[개각] 과기계 정부 요직 ‘카포전’
동아사이언스
l
2019.03.08
역시 KAIST 교수 출신 임대식 본부장이 이끌고 있다. 임 본부장은 서울대
미생물
학과와 동대학원을 마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에서 생화학및분자유전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존스홉킨스 의대 연구원가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를 거쳐 2002년부터 KAIST 생명과학과에서 근무해 왔다. 2014년에는 ... ...
충치균이 대장암을 공격적으로 부추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몰려들어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잘 성장하도록 자극한 것이다. 연구를 이끈 이핑 한
미생물
학과 교수는 "아넥신에이원을 대장암의 진행 수준이나 위험도를 측정하는 바이오마커로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해 대장암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 ...
유전자 ‘다이어트’한 합성대장균으로 더 많은 단백질 생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커뮤니케이션스 조 교수는 “최소유전체
미생물
의 작동원리를 규명했다”며 “앞으로
미생물
기반 바이오 화합물 생산 산업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현재 정상 대장균의 70% 수준인 최소유전체 대장균의 게놈을 더 줄이고, 아예 처음부터 인공적으로 설계와 조립을 하는 화학합성 ... ...
'모유
미생물
'이 건강한 장내
미생물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4
생활문화에 따라 모유
미생물
군이 다르다는 뜻"이라며 "추후 지역에 따라 어떤 모유
미생물
이 우세한지, 신생아의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남극 해양 탄소순환,
미생물
에 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27
교수는 “식물플랑크톤이 번성하고 소멸하는 과정에서 생산된 유기물의 분해와 관련된
미생물
의 특성을 밝혀 지구의 탄소순환을 이해하는 기반을 마련했다”며 “남극 해양생태계에서 식물플랑크톤이 고정한 탄소를 심해로 격리하는 기술을 개발하는 등 새로운 가능성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 ...
[3·1운동 100주년]일제강점기 조선인 과학자를 찾아서
2019.02.27
연구성과들을 연표로 정리했다. ※필자소개 김근배 rootkgb@jbnu.ac.kr 서울대
미생물
학과를 졸업한 뒤 서울대 과학사 및과학철학협동과정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근현대과학사와 남북 과학기술 비교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