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도
밀집 상태
비중
에너지밀도
에너지
에네르기
빽빽함
뉴스
"
밀도
"(으)로 총 1,40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배터리 핵심소재 리튬 vs 코발트, 누가 더 귀한 몸?
2018.03.20
원 보태(?) 새 걸 사기로 한 것이다. 무게 1kg도 안 되는 이 노트북에는 72Wh 대용량의 초고
밀도
배터리가 들어있다는데 한 번 충전에 20시간 가까이 쓰는 것 같다. 정말 놀라운 발전이다. 며칠에 한 번 충전을 할 때면 자판 아래 배터리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상상해본다. 어댑터 플러그를 콘센트에 ... ...
KIST, 차세대 양자점 태양전지 출력전압 떨어지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9
대해선 알려진 바 없었다. KIST-MIT 공동연구팀은 양자역학 이론 중 하나인 ‘범
밀도
함수론’ 계산법과 흡광 및 발광 실험측정기를 활용했다. 그 결과 양자점 물질에 존재하는 특정 공공결함이 큰 전압손실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양자점 전압 손실 원인으로 황화납 양자점 ... ...
산불 잡는 폭탄...드론이 쏜 ‘소화탄’에 반경 8m 불 꺼져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90% 이상이 사람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강원도와 경상도 등 산간 지역은 인구
밀도
가 낮은 대신, 산불이 한 번 나면 불길이 삽시간에 번져 대형 산불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스티븐 호킹은 어떤 업적을 남겼나
2018.03.15
특이점에서 탄생했음을 수학적으로 증명한 논문이다. 특이점은 블랙홀 중심부에 에너지
밀도
가 무한대로 커지는 지점으로 천재 수학자 로저 펜로즈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가 제안했다. 이형목 한국천문연구원장은 “대폭발 이론은 전에도 존재했지만, 그 시작이 선이나 면이 아니라 점에서 ... ...
태초 특이점,블랙홀 이론...스티븐 호킹이 남긴 학문적 업적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많은 우주론 연구자의 마음을 심란케 만들었다. 빅뱅우주론에서 태초는 무한대의
밀도
와 온도를 가진 특이점을 가지고 있다. 1966년 호킹과 이론물리학자 로저 펜로즈는 특이점이 존재한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했다. 여기서 특이점이란 물리학의 모든 법칙이 전혀 맞지 않는 시공간으로 블랙홀 ... ...
스티븐 호킹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 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위원회로서도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을 주기는 곤란할 겁니다. 호킹 박사는
밀도
가 무한한 '특이점'은 충분히 있을 수 있는 현상이란 점을 수학적으로 증명, 오늘날 빅뱅 이론의 정착에 기여했습니다. 이를 통해 우주의 시작이 있었으니 종말도 있으리란 사실을 제시하며 우주에 대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 시대를 풍미한 과학자 스티븐 호킹을 기리며...
2018.03.14
단계가 있었음을 뜻하기 때문이다. 호킹은 “수축하던 우주가 높지만 유한한 어떤
밀도
에 이르러 다시 팽창하기 시작했는가?”라는 물음에 대한 답을 찾았고 이해 저명한 이론물리학자 로저 펜로즈가 증명한 특이점(singularity)에 주목했다. 특이점은 죽음을 맞이하는 별이 특정 반지름까지 수축하면 ... ...
시간과 우주 수수께끼 풀러...스티븐 호킹 박사 별로 떠나다
2018.03.14
이론을 접목하며 우주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개척했다. 그는 블랙홀의 중심에 있는
밀도
가 무한대인 점을 말하는 ‘특이점’(singularity)을 우주 전체에 적용, 우주가 팽창하고 일반상대성 이론이 참이라면 이 우주 전체가 하나의 특이점에서 탄생했어야 한다는 이론을 수학적으로 증명하는 논문을 ... ...
블랙팬서, 비브라늄 슈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18.03.09
운동에너지를 흡수하는 방식으로 방탄복을 착용한 사람을 보호한다. 철보다 부피당
밀도
가 작지만 강한 화학결합 덕분에 더 강한 힘을 견딜 수 있어 같은 무게의 철보다 강도가 5배나 크다. 비브라늄으로 만든 수트를 입은 블랙팬서(가운데). 뒤로 블랙팬서가 몰고 다니는 전투기가 보인다. 이 ... ...
청소년이 늦잠을 자더라도 깨우지 말아야 하는 이유
2018.03.06
그리고 이듬해 마침내 조현병 환자의 뇌에서 고차원적 인지를 담당하는 부분의 시냅스
밀도
가 낮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그리고 1999년 제이 기드 박사의 청소년 뇌 MRI 연구결과까지 나오면서 마침내 학계의 주목을 받게 된다. 1983년 가지치기 가설이 나오고 30여 년이 지나는 사이 이를 지지하는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