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뉴스
"
분리
"(으)로 총 2,612건 검색되었습니다.
너무나 무서운 딸기
팝뉴스
l
2021.02.16
도대체 이 빨간 물체는 무엇인가. 사진 공개자에 따르면 딸기라고 한다. 여러 개로
분리
되었어야 할 딸기가 서로 뭉쳐진 상태였다는 설명이다. 사진은 해외 네티즌 사이에서 큰 화제를 모았는데 “이렇게 무서운 딸기는 본 적이 없다”며 놀라워 하는 네티즌들이 적지 않다. ※ 편집자주 ... ...
50살 맞은 KAIST...혁신과 산업 발전의 ‘담대한 발걸음’
2021.02.15
KIST)와 통합해 교명을 지금의 KAIST(한국과학기술원)로 변경했다. 1989년 6월 KIST와
분리
된 KAIST는 같은 해 7월 한국과학기술대학(KIT)과의 통합을 계기로 대덕 캠퍼스로 이전해 학부와 대학원을 모두 갖춘 ‘대덕 시대’를 열었다. 2009년 3월에는 한국정보통신대학교(ICU)와 합병하는 등 교세를 꾸준히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안전하면서도 비용과 시간을 줄이는 치료제 개발 전략
2021.02.15
더불어 치료제 개발도 필요하다. 앞서 바이러스를 극복한 환자에게서 얻은 혈청에서
분리
한 혈청치료제, 미국 길리어드 사이언스가 개발한 렘데시비르(Remdesivir, 에볼라 바이러스의 항바이러스제로 개발됐다)가 사용된 바 있다. 그러나 임상 효과가 탁월하지는 않았다. 말라리아 치료제인 클로로퀸도 ... ...
허가 받자마자 숙제 생긴 국산 항체치료제… 영국 변이엔 '효과' 남아공에 '무력'
동아사이언스
l
2021.02.14
개발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칵테일 치료제는 코로나19 완치 환자로부터 항체 수천 종을
분리
한 다음 이들을 두 종씩 함께 투여하는 방법이다. 셀트리온은 “렉키로나주 개발과 동시에 총 38개의 중화항체로 구성된 잠재적 칵테일 후보항체 풀을 확보하고 있었다”며 “이 중 32번 후보항체가 영국과 ... ...
변경,또 변경…기본계획 변경만 3차례 중이온가속기 ‘애물단지’ 전락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2.12
구축 중이다. 두 종류의 희귀동위원소 생성 방식은 온라인
분리
법(ISOL)과 비행
분리
법(IF)으로 나뉜다. ISOL은 두꺼운 표적에 가벼운 양성자 빔을 충돌시켜 저에너지 동위원소 빔 생성을, IF는 얇은 표적에 무거운 중이온 빔을 충돌시켜 고에너지 동위원소 빔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중이온가속기는 ... ...
"살아있는 화석" 실러캔스 유전자 상 자격 없어
연합뉴스
l
2021.02.10
menadoensis)에서는 L. 칼룸내와 같은 새로운 유전자가 발견되지 않아 2천230만년 전 두 종이
분리
된 이후에 새 유전자들이 형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휴즈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숙주 유전체에 전이인자가 기여하는 상당히 충격적인 사례를 제공하는 것"이라면서 "62개 유전자가 하는 역할을 ... ...
한우 세포로 만든 '배양육'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10
농수산대와 충남대는 배양시간을 줄이기 위해 한우 송아지 등심 근육에서 세포를
분리
하고 한우 유전체 빅데이터에서 성장 능력이 빠른 세포를 확보했다. 해양과기원과 성균관대, 충남대는 배양육 맛과 식감을 늘리기 위해 인체에 해가 없는 천연물 첨가제를 선별했다. 씨위드는 한우 배양육을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코로나19 키워드 'RNA'는 어떤 물질인가
2021.02.09
화이자-바이오엔테크 코로나19 백신 개발의 주역이다. 당시 과학자들은 세포에서 mRNA를
분리
해내는 방법을 알고 있었으나, 인공적으로 mRNA를 합성하는 방법은 알지 못했다. 1980년대 DNA 특정 부분을 복제‧증폭할 수 있는 유전자증폭기술(PCR)이 개발됐다. 이로써 증폭된 DNA 서열로부터 mRNA를 합성할 ... ...
성균관대팀, 차세대 태양광 소재로 마찰 직류 나노발전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2.08
때문에 교류 전류가 발생한다. 반면 연구팀이 개발한 마찰전기는 반도체 접합에서 전하
분리
원리를 따르기 때문에 마찰 방향과 무관하게 직류 전류가 발생한다. 박남규 교수는 “직류를 발생하는 마찰 발전기는 교류·직류 변환기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자기기에 응용할 경우 에너지 장치의 ... ...
[표지로 읽는 과학]북극해는 한때 담수로 차 있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06
해석된다. 연구팀은 빙붕이 댐의 역할을 하며 대서양과 북극해·북유럽해의 수역을
분리
하고 7만~6만2000년 전과 15만~13만1000년 전 두 기간에 걸쳐 이 지역을 담수로 채운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북극해와 인접한 북유럽해는 최근 두 번의 빙하기 동안 간헐적으로 바닷물이 아닌 담수로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