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뉴스
"
성공
"(으)로 총 10,265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데이터 부족한 희귀질환 진단, 전장유전체가 해결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진단되는 사례가 있었다"며 "불필요한 검사를 줄이면서 정확하게 질환을 규명하는 데
성공
했다"고 소개했다. 의료 선도국에선 WGS 기술이 급성질환 진단을 위한 기술로 각광받는다. 특히 급성중증신생아 진단에서 활약이 두드러진다. 미국의 신속전장유전체염기서열 분석(rWGS) 기업인 ... ...
최강 우주발사체 스페이스X '스타십' 비행
성공
은 '스뎅'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기술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기술을 이용하면 연료량 자체도 줄일 수 있어
성공
적인 비행이 가능했다"고 했다. 마찰과 에너지 손실이 적은 최적의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연료량 자체도 줄였다는 말이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진화하는 알파폴드…단백질-생체분자 상호작용 예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6.15
딥마인드가 2018년 처음 공개한 AI 도구인 알파폴드는 가장 정확한 단백질 구조 예측에
성공
하면서 과학계에 혁신을 일으켰다. 이후 여러 번의 업그레이드를 거쳐 하나의 단백질이 아닌 단백질-단백질 복합체 구조까지 예측하는 수준으로 발전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알파폴드3은 범위를 더 확장해 ... ...
[푸드테크 뜬다]③ 도축 없이 고기 먹는 시대…배양육 강점은 '안전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배양육 햄버거. 위키미디어 제공. ● 배양육 최고 장점은 ‘안전성’...식감은 부분
성공
배양육의 풍미와 식감은 가공육 기준으로 실제와 상당히 근접한 상태에 이르렀다. 홍 교수는 “소고기 스테이크 기준으로는 식감과 풍미가 많이 부족해 보이지만 다짐육이나 너비아니 같은 가공육은 상당히 ... ...
[과기원NOW] GIST, 노인·장애인 보조기기 개발 나선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3D 에어로졸 나노 프린팅 기술을 사용해 파이 형태를 가진 3D 금속 나노구조를 만드는 데
성공
했다. 광학 필터링, 초민감형 바이오 센싱, 환경 모니터링 등의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18~19일 ‘연구행정 지식잔치 in UNIST’를 개최한다. 18개 강연과 연구행정의 ... ...
접착제로도 쓰는 만능 '유기물 유리'…물만 있으면 자가치유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만드는 용액의 양을 간단히 조절하는 것만으로 렌즈의 곡률과 초점거리를 조절하는 데
성공
했다. 연구팀은 "펩타이드 유리는 기계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고 재활용이 가능하다"며 "재료공학, 광학 및 전자광학 제조 분야, 접착제와 렌즈 제조에도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사이언스게시판] 칠레와 리튬 기술협력으로 공급망 다변화 앞당긴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날리다 이색 스포츠 마케터라는 직업을 만들고 창직을 하게 된 연사의 실제
성공
사례가 소개되고 곡예비행 공연도 펼쳐질 예정이다. 권석민 국립중앙과학관 관장은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에서 꿈과 열정을 갖고 노력하면 챔피언이 되고 직업까지 가질 수 있다는 희망을 전달하는 계기가 될 것 ... ...
홀로그램 구현해 원자·분자 구조 파악하는 '초고속 카메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시뮬레이션을 통해 실험 결과를 이론적으로 분석·검증해 분자 구조를 분석하는 데
성공
했다. 홀로그램 패턴에서 표적 분자의 각 원자핵 사이의 거리와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이 제시됐다. 김동언 교수는 "여러 측정이 필요한 이전 방법보다 오히려 간단하다"며 "새로운 ... ...
파킨슨병 '줄기세포 치료'
성공
률 높인다…이식세포 사멸 원인 첫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6.12
DGIST 학제학과 융합전공 교수. DGIST 제공. 줄기세포 이식
성공
률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규명됐다. 난치성 파킨슨병 환자를 위한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에 속도를 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김태완 학제학과 융합전공 교수가 파킨슨병 치료를 위해 뇌에 ... ...
中, 12일 푸바오 공개…외교와 멸종 보호 연구 위해 오고가는 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대상으로 진행된 연구에 대해 "푸바오의 부모인 아이바오와 러바오가 쌍둥이를 낳고
성공
적으로 길렀다는 점이 독특한 점이라 그 부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됐을 것"이라고 했다. 푸바오가 중국으로 돌아간 이유도 판다 연구를 위해서다. 성 성숙이 일어나는 만 4살이 되면 종번식을 위해 중국으로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