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상시
평일
뉴스
"
평소
"(으)로 총 2,073건 검색되었습니다.
요즘 뜨는 나노 기술 3가지
과학동아
l
2018.04.30
연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도전! 내가 만드는 미래 나노기술_나노영챌린지 2018
평소
아이디어로만 떠올렸던 나노기술을 실제로 구현해 볼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나노기술연구협의회는 나노기술에 대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 ... ...
[짬짜면 과학 교실] 빛이 닿아야만 나타나는 풍경
2018.04.28
보여요 거울 속의 나를 가만 바라보아요 찡그린 내 얼굴이
평소
대로 펴지자 눈물 자국 나 있는 오른뺨이 가려워요 오른손을 들어올려 오른뺨을 긁어요 그런데 거울 속 나는 반대로 움직여요 왼손을 들어올려 왼뺨을 긁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흡은 어떻게 감정을 조절할까
2018.04.24
때로 “후~” 같은 추임새도 동반된다. 이 뉴런만 골라 죽이는 약물을 처리하자 생쥐는
평소
에는 물론이고 산소부족(공기 중 산소 농도 8%) 상황에서도 한숨을 거의 쉬지 않았다. 그러나 호흡 횟수는 분당 평균 150회에서 230회로 많아진다. 즉 숨이 빨라질 뿐 깊어지지는 않는다는 말이다. ... ...
[뉴스룸]인공지능이라는 단어의 무게
동아사이언스
l
2018.04.23
얼마 전
평소
친분이 있는 인공지능(AI) 분야 교수 한 사람이 아침 일찍부터 전화를 해 왔다. 4일(현지 시간)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등 외신에서 “57명의 해외 과학자가 KAIST와 어떤 공동연구도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는데, 이를 알고 있느냐”는 내용이었다. 이 뉴스는 밤사이 일어났던 뉴스를 ... ...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
과학동아
l
2018.04.19
매운 떡볶이 4단계 도전! 대부분의 사람들은 2단계도 맵다며 고전하지만,
평소
매운맛을 즐기는 기자는 ‘매운맛 고수’만 가능하다는 4단계를 먹어보기로 했다. 김이 폴폴 나는 떡을 입에 넣는 순간, 매운맛인지 뜨거움인지 분간하기 어려운 고통이 쏟아졌다. 얼얼해진 혀를 둥글게 말고 겨우 떡을 ... ...
투명망토에 한걸음 더...'거울 대칭' 금 나노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4.19
이혜은 박사(제1저자) -사진 제공 서울대 공대 연구의 공동교신저자인 남 교수는 “
평소
뼈나 조개껍질의 성장 등 펩타이드가 무기물의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해 왔다”며 “이런 원리를 생체 모방해 자연계에 존재하나 인공적으로 만들 수 없었던 새로운 구조의 무기 나노결정을 세계 최초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위산과다 치료제, 세대교체 일어나나?
2018.04.17
필자 나이쯤 되면 위의 소식을 몇 번은 접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소화계가 약한 필자는
평소
식생활을 조심했기 때문에 40대 초반까지도 ‘무소식이 희소식’이었는데 수년 전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식사가 겹치면서 십이지장궤양과 위염에 걸려 한동안 고생했다. 그 전까지는 ... ...
두 약물 같이 쓸 때 효과-부작용 예측… ‘AI 약사’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7
조합이 많아 경우의 수가 대폭 늘어나는 경우에는 정확한 예측이 어려웠다. 또 환자의
평소
식습관이나 기존 복용약 등을 전부 다 고려하는 데도 한계가 있었다. 이 교수는 “딥DDI는 두 약물 간의 구체적인 약리작용에 대해서도 예측할 수 있다”며 “이전에는 알지 못했던 새로운 상호작용을 ... ...
영유아는 일주일만 초미세먼지에 노출돼도 폐질환 위험
동아사이언스
l
2018.04.13
약 30㎍)와 비교하면 3분의 1 수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평균 PM2.5 농도가 ㎥당
평소
보다 10㎍ 높은 20㎍만 돼도 어김없이 1주일 뒤부터 급성하기도감염 환자가 늘었다. 국내 PM2.5 환경기준에 따르면 일평균 ㎥당 16~35㎍은 ‘보통’이다. 3주 뒤에는 환자 수가 최대가 됐다. 환자의 77%는 만 0~2세 ... ...
[출동! 기자단] 가제트 로봇 팔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4.13
뒤, 70cm가 되도록 이어붙였어요. 이후 종이접기하듯 접어서 두께 4cm로 만들었지요. 그럼
평소
에는 드론이 가뿐하게 날아다니다가, 필요할 때만 로봇 팔을 길게 펼쳐서 사용할 수 있지요. 또다른 비밀은 ‘락커’에 있어요. 로봇 팔의 양쪽 모서리에 있는 락커는 팔보다 더 단단하고 두껍게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