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사
미항공우주국
미국항공우주국
뉴스
"
nasa
"(으)로 총 2,560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주 어딘가에 반물질로 이뤄진 반별이 있을까
2021.05.11
그러나 빛이나 중력파 같은 관측 데이터로는 물질 천체와 반물질 천체를 구분할 수 없다.
NASA
제공 ※필자소개 강석기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직접 쓴 책으로 《강석기의 ... ...
NASA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소행성 표본 싣고 23억km 지구 귀환길 올라
동아사이언스
l
2021.05.11
대비해 다시 지구를 돌다 2025년 캡슐을 재배출하는 임무도 계획해뒀다. 토머스 저버켄
NASA
과학담당 부국장은 “오시리스-렉스의 많은 업적은 탐험이 실시간으로 전개되는 대담하고 혁신적인 방식을 보여 줬다”며 “이제 우리는 후속 세대의 많은 연구자들이 태양계 비밀을 풀 수 있는 원시 ... ...
'B1051' 역사상 가장 많이 재사용한 로켓…10번 넘어 고장날 때까지 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0
회수하고 고쳐서 10번 쏘는 기록을 세웠다. 팰컨9은 스페이스X가 미항공우주국(
NASA
)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 2단 로켓으로 9개 엔진으로 이뤄졌다. 지난 2006년 개발에 착수해 2010년 6월 4일 첫 번째 버전인 팰컨9 v1.0을 최초 발사했다. 스페이스X는 팰컨9의 엔진 성능과 적재량을 늘린 v1.1, v1.2를 연이어 ... ...
민간 주도 ‘뉴스페이스’ 이끌 우주 인력 양성, 정부가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10
바뀌고 있다. 이미 미국의 스페이스X는 유인 우주 캡슐을 개발해 미국항공우주국(
NASA
)의 우주인을 태워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보내는 임무를 두 차례나 성공했다. 혁신적인 기술을 앞세워 초소형 위성으로 상업용 위성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재사용 가능한 로켓을 개발하는 등 우주 스타트업도 ... ...
화성 무인 헬기 ‘인저뉴이티’, 이번엔 새로운 착륙지에 ‘사뿐’…최초 기록 행진 계속
동아사이언스
l
2021.05.09
열을 공급하고 낮에는 비행에 필요한 전력을 정상적으로 공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NASA
는 8월까지 2~3주 간격으로 인저뉴이티의 시험 비행을 계획하고 있으며, 자세한 비행 일정과 임무는 추후 공개할 예정이다. ... ...
‘트랜스포머 로버’로 달 뒷면에 1km 전파망원경 10일 만에 설치
동아사이언스
l
2021.05.06
‘트랜스포머 로버’ 듀악셀(DuAxel). LCRT 건설에도 듀악셀이 활용될 가능성이 높다.
NASA
제공 연구팀은 수천 개의 반사 패널을 설치하는 대신 얇은 그물망 몇 가닥을 연결해 우주에서 날아오는 전파를 분화구 중앙에 모을 계획이다. 그물망 설치 작업은 JPL이 개발 중인 탐사 로버 듀악셀(DuAxel)이 ... ...
목성의 오로라가 특별한 이유
과학동아
l
2021.05.06
지구 극지방과 달리 오로라가 밝게 빛나는 목성 극지방의 모습.
NASA
제공 푸른 빛이 쉴 새 없이 반짝이는 목성의 오로라는 지구의 오로라와는 또 다른 신비로움을 연출한다. 목성의 극지에 이런 독특한 오로라가 만들어지는 이유는 미스터리로 남아있었다. 중국 홍콩대, 미국 알래스카 ... ...
중국 우주정거장 실어나른 로켓, 8~12일 '통제불능' 상태서 지구로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05
추가로 발사해 2022년 말까지 우주정거장을 구성할 계획이다. 현재 미항공우주국(
NASA
)이 운영 중인 국제우주정거장(ISS)가 2025년 이후 운영을 지속할지 여부가 불투명하다. 만약 중국이 우주정거장 구축에 성공하고 ISS가 퇴역한다면 중국의 우주정거장이 세계에서 유일한 우주정거장이 된다 ... ...
태양탐사선 '파커' 중력도움 비행 중 금성 전리층 30년만에 통과
연합뉴스
l
2021.05.04
태양 활동 주기에 따라 변하는 것을 우주선의 실측으로 직접 확인하는 기회가 됐다.
NASA
고더드 우주비행센터에 따르면 지구 안쪽에서 태양 주변을 돌며 최근접 거리를 점차 좁혀가고 있는 파커호는 지난해 7월 11일 금성에 세 번째 접근해 행성의 중력을 이용한 비행을 할 때 표면에서 833㎞ 상공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ATCG가 아니라 ZTCG로 이뤄진 바이러스
2021.05.04
론울프 누나탁스 94102 운석(사진)에 2-아미노아데닌(Z)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NASA
제공 1977년 국제학술지 ‘네이처’에는 옛 소련의 모스크바대 보리스 반유신 교수팀의 놀라운 연구결과가 실렸다. 광합성을 하는 시아노박테리아를 숙주로 삼는 바이러스인 시아노파지 S-2L의 게놈 DNA가 ATCG가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