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정상"(으)로 총 1,1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2015.03.23
- 개시 코돈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므로). 참고로 2012년 논문은 개시 코돈이 ATG로 정상인 생쥐를 대상으로 했다. 따라서 설사 생쥐 실험이 맞다고 해도 사람에서도 그렇다는 보장은 없다는 말이다. 물론 2012년 논문에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도 있다. 즉 10주 동안 운동을 한 사람은 대조군에 비해 ... ...
- 쌍둥이에 관한 오해와 진실KISTI l2015.03.10
- 동시에 난자에 들어가는 ‘다정자 수정’이 일어난다. 그러나 이렇게 만들어진 수정란은 정상적인 사람의 염색체 수인 46개보다 많아지기 때문에 아기로 자라지 못하고 자연유산이 된다. 일반적으로 엄마는 한 달에 하나의 난자를 만든다. 그러니까 이란성 쌍둥이는 한 달에 난자 두 개 이상 ... ...
- 멍 때려야 뇌가 쌩쌩해진다?!KISTI l2015.03.03
-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는 자기의식이 분명치 않은 사람들의 경우 DMN이 정상적인 활동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뜻한다. 스위스 연구진은 알츠하이머병을 앓는 환자들에게서는 DMN 활동이 거의 없으며, 사춘기의 청소년들도 DMN이 활발하지 못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DMN이 ...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IBS l2015.02.26
- 진화가 일어나죠. 그 변화의 선택 과정에서 DNA 복구 과정이 중요한데, DNA 복구 과정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에 따라 자연선택이 빨라지거나 느려진다고 합니다." ● DNA 손상과 관련된 3가지 대표 성과 명 단장이 '셀'에 발표했던 논문에 대해 얘기하고 있다. 특히 그는 이 논문에서 'DNA 손상 ...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2015.02.16
- 위). 변이 유전자를 물려받은 경우 세포가 분열하다가 암세포로 바뀌기가 쉽다(중간). 정상 세포가 분열하는 과정에 임의로 생긴 변이가 축적돼 암세포가 나오기도 한다(아래). 현대의학은 환경과 유전을 큰 비중으로 다루고 있지만 최근 임의의 변이가 더 큰 요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오면서 논쟁이 ... ...
- 눈(雪) 위의 스포츠! 스키와 스노보드 정복하기KISTI l2015.02.16
- 것일까. 눈과 플레이트 모두 고체이므로 당연히 마찰력이 생겨서 속도가 줄어드는 게 정상이 아닐까. 스키 플레이트는 중력과 마찰력이라는 두 가지의 힘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미끄러지기도 하고 멈추기도 한다. 중력은 물체를 지구 중심으로 끌어당긴다. 평평한 곳에서는 운동 방향과 직각이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2015.01.20
- 문자 입력기릍 통해 의사를 문자로 표현해 e메일을 보내고, 웹서핑도 가능하다. 정상시유발전위(SSVEP) 뇌파를 이용해 만든 문자입력 시스템의 모습 - 서울대 의대 제공 ● 휠체어, 로봇팔 조작 등 다양한 활용 가능 물론 이 방법이 환자와의 의사소통 목적으로만 쓰이지는 않는다. 연구하기에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2015.01.20
- 가능한 수준에까지 도달했다. 이미 현대 기술은 인체의 운동을 정밀하게 모방하여 정상인과 차이가 없는 팔 다리 운동을 구현한 것이다. 다만 아직도 넘어야 할 산은 많은데, 이런 의수나 의족을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또 장비 자체가 매우 고가인 것도 ...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 ①] 청각장애 없앨 ‘인공와우’2015.01.20
- 잃은 사람도 로봇 팔을 이식해 일상생활을 영위하고, 시력이나 청력을 잃은 사람도 정상인처럼 생활할 날이 멀지 않았습니다. 사이보그 기술, 일명 ‘바이오닉 기술’은 기계장치를 생체에 적용할 목적으로 다양한 융합기술을 기계(Mechanic)로 구현하는 궁극의 기술로 불립니다. 동아사이언스는 국내 ...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2015.01.19
- 100% 확신을 갖고 진단을 하고 치료법을 택하는 건 아니다. 혈중 특정단백질 수치가 10이면 정상이고 100이면 병에 걸린 것이 확실한데 30이나 50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처럼 신호와 잡음이 애매한 영역에서 최선의 선택을 하기 위해 통계학자들은 다양한 기법을 개발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 ...
이전1041051061071081091101111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