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대폰으로 TV 보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샐러리맨 K씨는 오늘 집으로 가는 발걸음이 무척 바쁘다. TV 드라마 ‘올인’에서 주인공이 세계포커대회 결승에 참가하는 놓칠 수 없는 장면이 방영되 ... 더욱 각광받으리라
전
망된다. IT강국의 면모를 또한번 보여준 초소형 모바일 튜너가 앞으로
전
세계 시장에서 펼칠 활약을 기대해보자 ... ...
머리가 편안해야 장수한다 베개의 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인공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사실 외에는 라텍스와 성질이 거의 비슷하다.이와 같은 베개는
전
체가 하나로 이뤄져있기 때문에 보통 천 베개처럼 내용물이 한쪽으로 쏠리는 일이 없다. 소재 자체가 고탄성인데다가 촘촘한 구조로 돼 있어 뛰어난 충격흡수 능력과 탄력을 자랑한다. 눌린 후에는 서서히 ... ...
집에서 만드는 우유팩 오븐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어느날 모험이와 슬기가 학교에서 돌아와보니 집에 아무도 없었다. 아직 꽃샘추위가 가시지 않아 날씨도 쌀쌀했고 체육시간에 운동을 많이 했기 ... 오븐은 빵이 다 구워지면 자동으로
전
원이 차단된다.하지만 소시지를 구울 때는 수분이 완
전
히 없어지지 않기 때문에 계속 익히면 타버린다 ... ...
가장 멀리 있는 블랙홀 무게 밝혀져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연구결과는 우주의 역사 동안 블랙홀과 은하 사이의 진화를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전
망이다. 에딘버러 천문연구원의 로스 맥루어는 “퀘이사는 우주에서 형성된 첫번째 육중한 천체”라며 “거대한 블랙홀이 희귀하지만 우주 형성 초기단계에 있었다는 사실이 입증됐다”고 평가했다 ... ...
미국이 준비한 첫 인터넷
전
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미생물의 일종으로 크립토스포리디움, 지아디아와 같은 기생성 원생동물은 수인성
전
염병의 원인이 된다물이 흐린 정도를 나타내는 탁도의 단위 정수를 거친 수돗물의 탁도는 00 ... ...
2 살상력 못지 않은 환경재앙 유발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마치 컴퓨터 게임을 보고 있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이라크
전
보도를 시청하다 보면, 세계 각지에서 벌어지는 반
전
시위의 물결을 만나게 된다. 그런데 자 ... 존재하던 모든 것을 한번에 파괴할 수 있다. 소중한 지구의 환경은 평화와 함께 할 때만이 온
전
히 지켜질 수 있다는 얘기다 ... ...
가가린은 세계 최초 우주인 아니다?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1961년 4월 12일 옛소련은 세상을 놀라게 하는 사실을 발표했다. 유리 가가린 우주비행사가 지구궤도를 한바퀴 돈 후 무사히 귀환했다는 것이다. 라이벌 국가인 미국은 약 10 ... 컬럼비아호 사고에서 봤듯이 유인 우주개발은 우주비행사들의 희생 위에서 발
전
하고 있음이 명백한 사실이다 ... ...
제11회 천체사진공모
전
당선작 학암포의 저녁 무렵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한국천문연구원(원장 조세형)과 동아사이언스(대표 김두희)가 주최하고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회장 이태형)가 후원하는 제11회 천체사진공모
전
의 당선작이 ... www.kao.re.kr)과 동아사이언스(www. 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 함께 공개되고, 시상식은 4월 중에 대
전
천문연구원에서 열릴 예정이다 ... ...
2 노벨상으로 알아보는 이중나선 그 후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DNA의 이중나선 구조가 밝혀진지 올해로 50주년이 된다. 더욱이 올해는 인간이 가진 DNA의 30억쌍 염기 정보를 모두 밝히는 인간게놈프로젝트가 완료될 ... 바른 시기 바른 장소에서 바른 인연을 맺어 바른 문제를 찾아 열심히 정진할 때 과학은 커다란발
전
을 이룬다는 교훈을 새삼 일깨워 준다 ... ...
5 분자생물학 만능시대 극복하는 통합생물학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분야의 연구자들까지 포함하는 연구소를 설립했다. 원래 그 어느 대학보다 생물학 분야
전
반에 걸쳐 상당히 균형잡힌 연구진을 갖추고 있던 하버드대도 정식 학과는 아니더라도 통합생물학 그룹을 따로 만들어 본격적으로 연구에 뛰어들었다.국내에서도 통합생물학을 향한 움직임이 일고 있다. 그 ... ...
이전
1087
1088
1089
1090
1091
1092
1093
1094
10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