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뉴스
"
교수
"(으)로 총 2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달 앞으로 다가온 수능, '30일 수면 관리' 어떻게
연합뉴스
l
2020.11.02
도움이 되지 않는다. 글 하나하나에 신경 쓰다 보면 불안만 더 커지기 때문이다. 정
교수
는 "30일 만이라도 되도록 스마트폰은 멀리하는 게 바람직하다"며 "특히 침대에 누워 스마트폰을 만지는 버릇은 숙면을 방해하므로 수능 전까지만이라도 참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시험이 한 달 남은 만큼 ... ...
AI 기술 교류의 장…'삼성 AI포럼 2020' 온라인 개최
연합뉴스
l
2020.11.02
문제를 만들고 정답을 찾아내 학습하는 방식이다. 이어 미국 스탠포드대 첼시 핀
교수
는 '대칭 현상을 발견하기 위한 신속한 적응(Few-Shot Adaptation to Uncovering Symmetries)'을 주제로,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함돈희 펠로우는 '두뇌의 재구성(Reconstruction of the brain)'을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이외에 구글 ... ...
아시아가 코로나19 '선방'한 이유 살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20.11.02
패러독스’의 민낯이 여실히 드러났다는 평가도 나왔다. 이쾅흥 도쿄대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는 “일본은 코로나19가 유행하자 지하철역에 휴머노이드 로봇을 투입할 만큼 기술이 발전한 나라이지만, 동시에 공공기관이 코로나19 확진자 숫자를 팩스로 받는 ‘한코(도장) 문화’가 공존한다”며 ... ...
우주방사선 측정하고 연소실험하고...로켓·위성 넘어 스포트라이트 받는 우주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20.11.02
가운데 우주환경에서의 화재는 우주탐사에 나서는 우주인들의 안전과 직결된다. 박
교수
는 “러시아가 운용한 우주정거장 ‘미르’에서도 화재가 발생한 적 있는 것처럼 무중력 환경에 놓이는 우주선에는 지구 대기와 달리 산소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화재가 발생할 개연성이 매우 높다”며 ... ...
과학기술자문회의 제3기 심의위원에 이도현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11.01
정책경험, 산·학·연 구성 비율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이
교수
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교수
는 앞으로 과학기술 주요 정책 및 연구개발(R&D) 예산의 배분과 조정에 대한 심의업무를 수행한다. ... ...
의학 발전 이바지하고도 기억되지 않은 여성 암세포, 70년 만에 보상받는다
2020.11.01
생명과학의 판도를 바꾸는 다양한 연구에 이바지했다. 암세포 연구자인 이현숙 서울대
교수
는 지난달 동아사이언스와 인터뷰에서 “잘 자라고 오랜 연구로 정보가 축적돼 신뢰성이 높아 지금도 가장 많이 사용되는 세포주”라며 “헬라 없는 분자세포생물학 실험실은 상상하기 힘들다”고 ... ...
[표지로 읽는 과학] '학술 식민주의'에서 독립한 아프리카 게놈 지도
동아사이언스
l
2020.10.31
프로젝트다. NIH와 영국의 의료비영리재단인 웰컴재단 등이 주 기증자다. 롬바드
교수
는 “중요한 것은 이러한 대형 연구가 이제 아프리카에서 나올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 ...
항암제 치료 효과 사람마다 왜 달라...AI로 효과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RNA는 세포 내 단백질 발현에 관여하는 유전물질이다. 김상욱 포스텍 생명과학과
교수
와 공정호 생명과학과 석박통합과정생은 인공지능(AI) 기술인 머신러닝으로 암세포에서 항암제에 반응하는 전사체를 선별해 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 ...
울산과기원, 양자 연구·소자 개발 전담할 연구소 개소
연합뉴스
l
2020.10.30
위해 울산과기원에서 18명
교수
진이 참여한다. 연구소장을 맡은 김대식 물리학과 특훈
교수
는 "기초 연구 수준의 근본적인 발견에서 시작해 실제 상용화된 디바이스를 개발하는 것까지 완전 주기를 달성하는 것이 연구소 목표"라며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연구 브랜드를 만들 기반이 될 것"이라고 ... ...
단백질 접는 '스위치'로 다양한 나노 건축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올해 8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에 표지논문으로 발표하기도 했다. 최
교수
는 “다양한 형태와 특성을 가진 나노소재를 만드는 ‘튜불린 나노공학’의 기반이 되는 분자스위치는 알츠하이머병 등 뇌질화의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도 쓰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미국 ... ...
이전
1087
1088
1089
1090
1091
1092
1093
1094
109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