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으)로 총 21,71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13번 염색체를 맡아 가장 먼저 연구를 시작했다. 13번 염색체는 당뇨, 암 등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가 꽉꽉 들어차 있어 ‘질병의 창고’로 불린다.백 교수는 “인간의 유전자 수를 2만~2만 5000개로 보고 있는데 단백질의 종류는 100만 가지 이상으로 추정한다”며 “지노믹스(유전체학)를 연구하는 데 ... ...
- 2020년 세상을 바꿀 독자선정 10대기술과학동아 l2011년 02호
- 홈페이지(http://event.dongascience.com/ds302)에서 투표하고 상품도 받아가세요. 투표에서 1등으로 선정된 분에게는 고급현미경을 드립니다. 독자 여러분이 제안해주신 기술, 정말 10년 뒤에 미래를 바꿀 수 있을까요? 독자 선정 10대 기술 중 미래에 실현될 것 같은 기술, 정말 참신하다고 ... ...
- Part 1. 왜 제퍼디 퀴즈쇼인가수학동아 l2011년 02호
- 6개의 주제가 있다. 주어진 주제는 매번 다르다. 예를 들면 영화, 올림픽, 아동도서 등의 주제가 위에 있고 그에 해당하는 문제가 난이도별로 5개씩 주어지며 상금으로 표시된다. 가장 쉬운 문제는 200달러, 어려운 문제는 1000달러다. 앞 문제를 맞힌 출연자가 주제를 고르고 상금을 선택하면 그에 ... ...
- 포항제철지곡초등학교 MIE 수업 탐방 스케치수학동아 l2011년 02호
- 대칭요소에는 회전, 반사, 동등이 있다는 것을 공부했습니다. 처음엔 삼각형, 사각형 등 평면도형의 성질을 이해하고 입체 구조인 분자 구조로 생각을 넓혀갔어요. 아직 분자에 대해서는 학교에서 배우지 않아 처음에는 갸우뚱하는 학생들도 있었지만 평면도형부터 차근히 개념을 넓혀가니까 서서히 ...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만들면 제작과 발사에 들어가는 비용은 줄겠지만, 빛의 압력을 받아 궤도를 벗어나는 등 수명이 짧아진다. 그래서 현재는 지구에서 약 150만km 떨어진 L1 포인트(라그랑주 점), 즉 지구와 태양 중력이 모두 같은 곳이 대상이 되고 있다.이 곳은 역학적으로 매우 안정돼 위치를 벗어나도 저절로 원래의 ... ...
- Intro. 한반도 바이러스 대공습!과학동아 l2011년 02호
- 피해를 주기는 했지만 이번 겨울은 그 심각성이 비교가 되지 않는다. 가축이나 닭, 오리 등을 보기 어려운 대도시 주민들은 실감하기 어렵겠지만 현재 한반도는 사실상 국가재난 상태다.2009년 봄, 혜성처럼 나타나 전 세계를 휩쓴 신종플루도 이번 겨울에 다시 찾아왔다. 다행히 많은 사람들이 백신을 ... ...
- Part 2. 숙주 특이성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설명했다. 바이러스 퇴치가 그만큼 어려운 이유다.[구제역에 걸린 소는 잇몸이 허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죽지 않더라도 허약해져 가축으로서의 상품성이 떨어진다.]바이러스 생활사구제역바이러스와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둘 다 게놈이 RNA 단일가닥으로 이뤄져 있다. RNA는 DNA에 비해 불안정한 ... ...
- 태양이 쓰고 있는 불꽃 왕관의 비밀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때 운동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뀐다거나 기체가 저항을 받을 때 생기는 온도 상승 등을 이유로 제시해 왔다.연구팀은 “플라스마는 온도가 2만~10만K 정도인데 부분에 따라서는 100만K를 넘는다”며 “플라스마가 초속 100Km의 빠른 속도로 코로나까지 솟구친다”고 밝혔다 ... ...
- ‘베프’와 나는 유전자까지 닮았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됐을 가능성이 크다.제임스 포울러 미국 캘리포니아대 교수팀은 대규모 의료 센터에 등록된 사람과 그들의 친구를 중심으로 총 5000명의 유전자 지도를 분석했다. 유전자의 개인차를 알아내는 단서인 ‘단일염기 다형성(SNP)’을 비교한 결과 친구사이에는 유전자가 비슷한 경우가 많았으며, 유전자가 ... ...
- 진공에서도 식물은 살아남는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박사팀은 이 연구 결과를 ‘우주과학발달’ 1월호에 게재했다.연구팀은 무, 양상추, 밀 등의 식물을 특수 챔버 속에서 넣고 20여 일 간 길렀다. 이후 챔버의 공기압을 대기압의 1.5%까지 낮춰 진공에 가깝게 만들어 30분 간 지속시켰다. 22℃였던 온도는 16℃까지 떨어졌다. 그나마 남아 있는 공기의 ... ...
이전1088108910901091109210931094109510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