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d라이브러리
"
정도
"(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속담 속의 날씨 베스트 10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①아침 무지개는 비가 올 징조다무지개는 하늘에 떠있는 빗방울에 햇빛이 반사와 굴절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 눈에 들어오는 현상이다. 아침에는 태양이 동쪽에 있으므 ... 전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해무리나 달무리 후에 비오는 확률은 보통 60-70%
정도
로 정확도가 상당히 높다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나오는 빨간색 빛 사이의 각도는 42도, 보라색 빛은 40도로 빨간색이 보라색 빛보다 2도
정도
아래에 있다. 우리가 보는 무지개의 빨간색이 위로 나타나는 이유다(그림5).쌍무지개를 보는 것은 보통의 무지개를 보는 것보다 훨씬 어렵다. 그러나 사실 우리가 보는 무지개의 대부분은 쌍무지개다. 다만 ... ...
인간 유전자에 특허 매겨진다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넘어 내장기관까지 특허의 대상이 될 것이라면 과연 지나친 상상일까. 특허 제도가 어느
정도
까지 ‘생명에 대한 소유’를 보장하는게 타당할지 진지하게 따져봐야 한다.특허 생쥐 한마리에 수억달러 가치 - 1988년 탄생한 '하버드 마우스'가 최초살아있는 동물에게 특허를 부여한다면 어떨까. ... ...
지진 예측할 수 없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더 많아진 것은 아닌가20세기 들어 규모 7.0 이상의 강진은 전 세계적으로 매년 20회
정도
발생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978년부터 본격적인 지진관측이 이루어진 이후 매년 20-30회의 지진이 관측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물에 피해를 줄 수 있는 규모 5.0 이상의 지진은 금세기 들어 3회 발생한 ... ...
인터넷PC 꼼꼼 분석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사용법 역시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아직까지 리눅스는 일반 소비자들이 쓸 수 있을
정도
로 대중화되지는 않았다.대기업들의 인터넷 국민PC인터넷PC가 바람을 탈 것으로 보이자, 인터넷PC 선정에 참여하지 않은 대기업들의 공세가 만만찮다. 현실적으로 가격을 맞출 수 없고, 가격이 낮춰지면 이에 ... ...
99년 영광의 수상자 : 생리·의학상-군터 블로벨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과정을 연구하던 중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다. 새로이 합성된 단백질 끝에 대략 10개
정도
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진 ‘신호 펩티드’(signal peptide)가 반드시 존재했다. 이 신호 펩티드가 먼저 소포체 안으로 들어오고, 여기에 붙은 단백질이 함께 딸려들어오는 방식이었다. 즉 신호 펩티드는 특정 ... ...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온통 얼음이었고 바람은 세차게 불었다. 저기압 하에 있어서인지 체감온도가 영하 20℃
정도
됐다.7월 16일 설룡호는 힘겹게 북위 71도의 한 정점에 도착했다. 폴리냐라고 불리는 곳으로 호수와 같이 해빙 가운데 구멍이 뻥 뚫려 있었다. 이곳에서는 전형적인, 해빙 주변에서 발생하는 식물플랑크톤의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설명이다. 이때 일본 열도의 북단과 남단은 각각 반시계방향과 시계방향으로 50도
정도
회전했다. 이 모습이 마치 부채를 펼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해서 이름이 붙여졌다. 오토후리 교수가 평소 즐겨 찾던 술집의 문이 양쪽으로 밀고 들어가는 형태였는데, 어느날 이 문을 보고 힌트를 얻었다고 해서 ... ...
스페이스 셔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많이 든다고 생각한 것이다. 완전 재사용 우주선은 1파운드를 쏘아올리는데 1천달러
정도
드는게 목표다.현재 미국이 개발하는 재사용 우주선은 2가지. 마하 8(1만km/시)의 속도를 지닌 X-34는 엔터프라이즈호나 러시아의 부란(러시아어로 ‘폭풍설’이란 뜻. 1988년 단 한번 무인시험비행)처럼 비행기에 ... ...
태교는 과학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그리고 태아의 심박동이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했다.태아의 심박동수는 1분에 1백40회
정도
인데, 출산이 가까워질수록 그 수가 다소 불규칙해진다. 예를 들어 1분에 1백38회였다가 1백40회나 1백43회로 계속 바뀐다. 태아의 심장 기능이 정상적으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런 현상이다 ... ...
이전
1092
1093
1094
1095
1096
1097
1098
1099
11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