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글"(으)로 총 10,9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사이언스 로보틱스’과학동아 l201701
-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가 로봇공학 분야만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자매지, ‘사이언스 로보틱스’를 2016년 12월 6일 창간했다.사이언스는 미국과학진흥협회(AAAS)가 발행하는 학술지로, 의학 및 기초과학 분야에 네 개의 자매지가 있었다. AAAS가 로봇공학 분야 학술지를 창간한 것은 과학기술 분야 ... ...
- [과학뉴스] 고대 중국에서 두개골 수술을?과학동아 l201701
- 중국에서 기원전 1600년 전부터 두개골 절제술을 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금까지는 뇌 손상을 치료하기 위해 외과적 수술이 아닌 중국의 전통의학만 사용돼 왔을 거라고 알려져 있었다.미국 보스턴대 신경외과 리 호버트 교수와 에마뉴엘라 비넬로 교수팀은 ‘세계신경외과학회지’ 2016년 1 ... ...
- [과학뉴스] 인류가 만든 ‘문명’, 30조t에 달해과학동아 l201701
- 인류가 지구에 살면서 이룩한 문명(테크노스피어)의 총량이 30조t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테크노스피어는 집, 공장, 공항, 도로부터 컴퓨터 시스템, 스마트폰, CD, 심지어 쓰레기 매립지까지 모두 포함한다.영국 레스터대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그동안 지질학자들이 도시, 시골, 지하, 해 ... ...
- [과학뉴스] 새똥이 북극을 춥게 한다과학동아 l201701
- 북극 바닷새의 배설물이 여름철 북극의 온도를 낮게 유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미국 콜로라도주립대와 캐나다 댈하우지대, 토론토대 공동 연구팀은 바닷새의 배설물이 있을 때와 없을 때 북극의 대기가 받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하고, 실제 측정 결과와 비교했다.측정 결과 바닷새의 배설물이 ... ...
- [과학뉴스] 갑각류 중 가장 힘 센 동물은 누구?과학동아 l201701
- 새우와 가재, 전갈 같은 갑각류 중 힘이 가장 센 동물은 누구일까. 단단한 코코넛을 부숴 달콤한 과육을 먹고 사는 코코넛크랩(Birgus latro , 위 사진)이다.일본 오키나와 지역의 해양탐사연구소인 오키나와 츄라쉬마재단 연구팀은 코코넛크랩의 집게발이 얼마나 센지 직접 측정해, 다른 동물과 비교 ... ...
- [과학뉴스] 호박에 갇혀 있던 공룡 깃털과학동아 l201701
- 영화 ‘쥬라기공원’에서처럼 호박에 갇혀 있는 DNA로 공룡을 복원할 수 있을까. 중국과 캐나다, 영국 국제연구팀은 최근 호박에 갇힌 공룡의 꼬리 깃털을 최초로 발견해 연구 결과를 ‘커런트 바이올로지’ 2016년 12월 1일자에 발표했다.심지어 이 깃털은 거의 완전한 모양으로 보존돼있었다. 연 ... ...
- [Future] ‘윈터솔저’의 미래형 의수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701
- Movement현재 바이오닉 손 분야에서 가장 어려운 문제는 팔꿈치 윗부분이 잘린 사람을 위한 의수를 개발하는 일이다. 팔꿈치 윗부분에서 측정한 근전기 신호에는 팔꿈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신호와 손가락을 움직이기 위한 신호가 혼합돼 있다. 그래서 팔꿈치를 움직이면서 동시에 손가락을 움직이 ... ...
- [Future] 1초를 둘러싼 전쟁, 윤초과학동아 l201701
- 2017년은 365일하고도 1초가 더 있는 ‘윤초’의 해다. 한국 시간으로 2017년 1월 1일 9시에 1초가 추가된다. 윤달과 윤년은 친숙하지만, 윤초는 우리에게 아직 생소하다. 눈 깜짝할 새 지나가는 1초지만, 여기에는 많은 이야기가 숨어있다.시간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현재 인간 생활과 크게 관 ... ...
- Part 2. 3진법 시대, 회로 인프라가 필요하다과학동아 l201701
- 컴퓨터가 등장하던 1940년대부터, 아니 어쩌면 명제를 고민했던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우리는 ‘참’과 ‘거짓’으로 이뤄진 이분법 시대에 살고 있다. 세상에 많은 명제들은 0과 1로 충분히 설명이 가능했고, 컴퓨터 역시 무리 없이 약 2년마다 두 배씩 성능을 높여왔다(무어의 법칙).참과 거짓만으 ... ...
- Intro. 빅뱅마불게임과학동아 l201701
- 당신은 우주의 역사를 이해하려는 인간의 안간힘을 내려다 보는 신이 됐습니다. 웃음이 나더라도 잠시만 참고 인류의 위대한(!) 작품을 감상해 보시지요. 그 시작은 지금으로부터 꼭 90년 전인 1927년, 벨기에의 신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조르주 르메트르가 팽창하는 우주를 최초로 주장한 사건이었습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