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이
아동
아이
어린시절
시절
소아
유아
d라이브러리
"
어린
"(으)로 총 1,58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복제는 시간문제 복제양 돌리
과학동아
l
199912
성공했다.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교수팀이 젖소의 자궁세포에 들어있던 DNA를 복제해
어린
젖소를 출산시킨 것이다. 이 복제젖소의 이름은 ‘영롱이’라고 붙여졌다. 영롱이가 태어난지 두달 뒤에는 복제한우인 ‘진이’가 태어났다. 물론 둘다 암컷이다.이제 인간복제는 시간문제가 됐다. “누가 ... ...
찔레꽃은 붉지 않고 낮에 나온 달은 하현달
과학동아
l
199912
노래다. 고향과 어머니, 그리고
어린
시절을 추억케 하는 찔레꽃은 예전에는 배고픈
어린
동무들의 간식거리였다. 보릿고개를 아는 어른들은 봄에 돋아나는 연한 찔레 순의 껍질을 벗겨 먹었던 일이 그립다. “엄마 일 가는 길에 하얀 찔레꽃/ 찔레꽃 하얀 잎은 맛도 좋지/ 배고픈 날 가만히 ... ...
노벨상 받은 여성과학자 10명
과학동아
l
199911
태어났다. 아프리카에서 고고학을 연구했던 아버지를 따라 아프리카의 여러 곳에서
어린
시절을 보낸 것이 그녀에게 아프리카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갖게 했다. 흔히 여성과학자들은 남편으로 과학자를 맞기 마련이다. 그러나 그녀는 아프리카와 아랍권의 역사와 정치를 연구하는 비과학도를 ... ...
3. 우여곡절로 점철된 신약개발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911
탄생하기까지 20여년의 긴 시간이 필요했다. 연구자들의 집념
어린
노력은 물론이고 갖가지 우연과 웃지 못할 해프닝을 수없이 거친 후에야 하나의 신약이 세상에서 빛을 볼 수 있었다. 고혈압치료제에서 탈바꿈해 발기부전 치료제로 최종 개발된 비아그라의 탄생 드라마를 들여다보자.‘바늘 구멍에 ... ...
쌍안경으로 즐기는 가을 별밤
과학동아
l
199911
태어난 일곱 딸들이다. 플레이아데스와 배다른 자매들 이기도한 이들은 제우스의
어린
아들 디오니소스를 돌본 공로로 하늘로 올라가 별이 되었다고 한다. 약 1백30광년 떨어져 있는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산개성단이다. 성단 내에서 가장 눈에 띄는 별은 V자 끝에 있는 붉은 색을 띤 1등성 ... ...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10
서서히 다가가자 우리 쪽을 계속 보면서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다섯마리 중 한마리는
어린
녀석이었다. 북극곰은 겨울동안 따뜻한 시베리아, 캐나다, 알래스카 등지에서 지내다가, 여름이 되면서 녹는 해빙 주변에 형성되는 먹이(특히 물개와 바다사자 무리)를 따라 북쪽으로 계속 이동한다고 한다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10
뾰족한 얼굴에 호리호리한 몸매를 갖추기 쉽다. 또 비교적 안정된 가정에서 자라난 경우
어린
시절부터 찡그리는 일보다 미소짓고 여유로운 표정을 짓는게 습관화된다. 이때 눈, 입, 뺨과 같은 얼굴의 조직이 변화돼 성인이 되면 늘 미소짓는 표정이 얼굴에 밴다.고구마형 정수리가 사라진다물론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10
2천3백만년 전이라 하면 무작정 아득히 먼 옛날로만 느껴질 것이다. 하지만 생각해보자.
어린
시절 라디오 방송에 '장수만세'라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거기서 4세대가 동시에 사는 장수 집안이 소개된 기억이 있다. 조선시대의 건국시기는 불과 6백년 전으로 대개 20세대 내외에 해당하는 기간이라고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10
효능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흑사병이나 말라리아 같은 전염병은 물론이고
어린
아이들을 괴롭히는 홍역이나 백일해 같은 병을 막아주지는 못했다.현대 의약품은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해서 약효를 가진 성분만을 따로 분리해서 그 효능과 안전성, 그리고 부작용을 체계적으로 연구해서 ... ...
3. 유전공학으로 탄생할 21세기 신한국인
과학동아
l
199910
따 ‘흥수아이’라고 불리는 유골의 주인공은 어떤 모습일까. 4만년이나 지난 현재 한국
어린
아이의 모습과 많이 다를까.그렇지 않다. 1997년 충북대학교 고고미술학과 이융조 교수가 복원한 흥수아이의 청동상은 1백20cm 정도의 키에 좁고 긴 계란형의 머리 모양을 한 ‘평범한’ 외모를 갖췄다. 단지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