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8,945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축구 선수의 팀 기여도 네트워크 분석으로 측정한다!
수학동아
l
201411
선수의 평
점
을 매기는 방식을 쓸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평가하는 사람이 주관적으로
점
수를 매기는 방식은 기준이 들쑥날쑥하다는 문제가 있다.네트워크 분석으로 축구 선수를 평가한다!2010년 루이스 아마랄 미국 노스웨스턴대 생화학과 교수팀은 축구 경기에서 선수 개개인의 기여도를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11
직접 집도한 성형수술 자료를 바탕으로 사람들이 예뻐지길 원하는 부위가 어디인지를 중
점
적으로 파악했다. 환자들은 대부분 눈 또는 코를 희망사항으로 지목했다. 두 눈 사이의 간격과 이마와 코의 길이의 비율과 같이 눈과 코 중심으로 얼굴의 비례와 대칭을 조사해 나간 마쿼트는 얼굴 곳곳에 ... ...
PART 4. 화학상
과학동아
l
201411
모여 한꺼번에 빛을 내면 회절 한계 때문에 이들을 구별할 수 없다. 하지만 고흐의
점
묘법처럼 따로따로 빛을 내도록 한 다음 이를 한데 모으면 초고해상도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베치그는 운 좋게도 미국 보건성에 있는 과학자들의 도움으로 각개격파가 가능한 형광 단백질들을 얻을 수 있었다. 20 ... ...
[과학뉴스] 노벨상 수상자는 개구쟁이?
과학동아
l
201411
기획했으며 독일의 과학전문 사진작가 볼커 스티거가 촬영했다. 이번 전시회에는 모두 52
점
의 작품이 선보인다. 전시회를 공동 주관하는 KISTEP 박영아 원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 청소년과 젊은이들이 즐거운 과학의 세계를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기대했다. 무료 ... ...
[과학뉴스] 덩치 크다고 싸움 잘하는 거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11
필요한 근육이 더 발달했다거나, 싸울 때 테스토스테론 분비가 더 활발하다거나 하는 장
점
도 있었다. 덩치 큰 새는 장거리 이동을 위해 몸에 지방을 축적하는 데 최적화돼 있지만, 작은 새는 그럴 필요가 없어 싸움에 유리했다. 이 연구는 ‘미국공공도서관학회지(PLoS ONE)’ 9월 24일자에 실렸다 ... ...
[hot science] 포스트시즌의 세가지 미신
과학동아
l
201411
사이영 상
점
수 총합이 60
점
이상 차이가 나는 팀들이 포스트 시즌에서 82번 만났다. 이 중
점
수가 높은 팀의 승률은 54%였다. 에이스를 보유한 팀이 더 높은 승률을 기록했지만 절대적으로 유리했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결과다 ... ...
[knowledge] 우주 미아 찾기 대작전
과학동아
l
201411
ISEE-3호와 최초로 교신에 성공했다. 궤도전문가들은 ISEE-3호가 다시 라그랑주
점
에 돌아갈 수 있는 방법을 계산했다. 탐사선이 달에 가장 가까워질 때 달려 있는 질소 펌프와 달의 중력을 활용하면 다시 돌아갈 수 있다는 희망적인 결과가 나왔다.17년 뒤에는 다시 돌아올까그러나 결과는 해피엔딩이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
과학동아
l
201411
나아가기까지 가시밭길이 남아 있다. 하지만 다양한 기술적 대안이 있다면 서로 장단
점
을 비교해 보며 새로운 길을 모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핵폐기물 문제는 발등의 불이고, 현재 나와 있는 어떤 해결책도 100% 만족스럽지는 않다. 핵변환이라는 새로운 기술이, 공전의 늪에 빠진 사용후핵연료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
과학동아
l
201411
연구는 결과 자체뿐만 아니라 방대한 시료를 분석한 연구 데이터를 완전히 공개했다는
점
에서 이후 연구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하지만 데이터 처리가 부정확했다는 논란도 이어졌다. 오류발견율이 1% 미만이어야 하는데,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한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 분석 과정에서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
과학동아
l
201411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를 발표할 수 있다는
점
은 학자로서는 무시하지 못할 강
점
이다.이제야 가능성을 보인 한국일본의 연이은 수상 소식에 한국이 조급증을 내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아직은 ‘체급’이 다른 게 현실이다. 세계 수준에 근접하지 못했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2010년 그래핀이 노벨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