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같은시간"(으)로 총 9,560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더 큰 클라우드가 온다과학동아 l2020년 10호
- 2009년 개봉한 일본 애니메이션 ‘썸머 워즈’는 ‘OZ’라는 가상세계의 통신망으로 전 세계가 연결된 모습을 배경으로 한다. 유통, 통신, 금융 등 세상 모든 일을 OZ의 세계에서 컴퓨터, 스마트폰 등 단말기만으로 가볍게 처리한다. 그야말로 클라우드 세상이다. 오늘날 과학자와 엔지니어들이 상상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을 때는 언제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0호
- 대기의 온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태양이에요. 태양에서 오는 복사 에너지가 지구를 데우면 온도가 올라가기 시작하거든요. 그러면 하루 중 가장 기온이 높을 때는 태양이 가장 높이 떠 있는 낮 12시 아닐까요?그런데 일정한 장소에서 하루 동안의 기온 변화를 측정해보면, 가장 더운 시 ... ...
- [과학동아 X 긱블] 태풍에 우산 작살난 사람들을 위한 잇템, 에어 우산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안어려워요 | 과학동아 X 긱블 전 세계 메이커들이 긱블처럼 재미있는 것만 만드는 건 아닙니다. 누군가는 예술적인 작품을, 누군가는 실용적인 물건도 만들어 내죠. 그중 실용적인 작품들은 펀딩(투자)을 받아 실제 판매로 이어지기도 하는데요. 이렇게 펀딩을 받을 수 있는 곳 중 대표적인 ... ...
- [과동키즈] 치료에서 변호로 꿈은 변하는 것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술술읽혀요 | 나는 과학동아 키즈 치과의사, 돌연 변호사가 되다초등학교 5학년 시절 부모님이 사준 과학동아에서 실험복을 입은 연구자의 모습을 봤다. 당장 시내에 있는 실험도구 가게에서 책에서 본 물품을 사면서 과학자가 되는 미래를 꿈꿨다. 그때는 실험실에서 흰색 실험복을 입고 보 ... ...
- [나의 일본유학일기] 만화로 배운 ‘오타쿠’ 일본어 친구들 힘입어 레벨 업!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술술읽혀요 | 나의 일본 유학 일기 일본인들은 칭찬에 후한 편이다. 외국인이 일본어 인사말인 ‘오하이요’ ‘곤니치와’ 정도만 말해도 대개 ‘일본어를 참 잘한다’며 칭찬한다. 물론 일본인들이 이름을 보고 나서야 외국인인 줄 알 정도로 일본어 실력이 향상되기까지는 꽤 시간이 걸린 ... ...
- [오쌤의 수학공부법] 자꾸 아는 문제를 틀린다면?수학동아 l2020년 10호
- 여러분은 시험을 보고 나서 가장 속상할 때가 언제인가요? 저는 아는 문제를 실수로 틀렸을 때입니다. 아예 모르는 문제였다면 몰라도 당연히 맞았다고 생각한 문제를 틀리면 가슴이 찢어집니다. 아마도 이런 경험은 모든 학생이 해봤을 텐데요, 오늘은 이런 실수를 줄일 수 있는 시험 후 ‘피드백 ... ...
- [한페이지 뉴스] 소행성 베누가 돌조각을 뿌리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보통난이도 | 한 페이지 뉴스 지구에서 약 2억9000만km 떨어진 소행성 ‘베누(Bennu)’의 표면에서 10cm 이하 돌조각들이 떨어져나오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베누는 22세기 말 2700분의 1의 확률로 지구와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지름 약 490m의 소행성이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2016년 탐사선 ‘오 ... ...
- 추석 모듬전, 고소한 맛의 비결은?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안어려워요 | 추석음식 추석이면 빼놓지 않고 등장하는 요리가 있다. 잘 달궈진 팬에 넉넉히 기름을 두르고 부쳐낸 전(煎)이다. 호박전, 부추전, 동태전, 해물파전…. 들어가는 재료는 각기 다르지만 식욕을 자극하는 고소한 향과 바삭한 식감은 공통적인 매력이다. 고분자공학을 연구한 필자 ... ...
- 기발한 연료 3총사과학동아 l2020년 10호
- ◇ 보통난이도 | 2020 연료 삼총사 1st 줄기세포개구리 심장세포가 로봇을 움직이다 흔히 ‘살아있는 로봇’이라고 하면 SF 소설이나 영화에 나오는 인공지능(AI) 로봇을 떠올린다. 살아있는 인간처럼 생각하는 능력을 가진 로봇을 상상하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 진짜로 살아있는 로봇이 있다. 세 ... ...
- [특집] 클라우드 신뢰점 문제과학동아 l2020년 10호
- 클라우드는 일종의 컴퓨터다. 컴퓨터가 가진 취약함이 곧 클라우드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는 뜻이다. 완전해 보이는 클라우드의 허점은 시스템 설계, 구현 과정 등 어디서든 나타날 수 있고, 사전에 제대로 대처하지 않으면 보안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시간문제다. 세상에 완벽한 기술은 없다. 제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