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기
원인
기구
도구
근거
요인
요소
d라이브러리
"
계기
"(으)로 총 2,169건 검색되었습니다.
레일리의 아르곤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완성됐고, 왜 원소의 반응성이 족에 따라 달라지는지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계기
를 마련했다.레일리는 아르곤을 발견하고 그 성질을 규명한 공로를 인정받아 1904년 영국인으로서는 최초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레일리는레일리는 1842년 영국 에식스주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존 윌리엄 ... ...
보잉 vs 콩코드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1950년대 말 항공기술에서 급속한 발전을 이룬 프랑스와 영국에서 시작됐다. 직접적인
계기
는 초음속 전투기였다. 프랑스의 비행기 제작자 마르셀 다소가 유럽에서 처음으로 초음속 전투기 미라주(Mirage)를 제작하는데 성공했던 것이다. 비슷한 시기 영국 공군도 시속 1822 km로 비행하는데 성공했다 ... ...
폐암 토막상식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유기용제에 약한 것이 결점 인공유리 광학렌즈 간판 조명기구 광디스크기판(基板)
계기
판 인조대리석 광섬유 등에 응용분야가 넓어지고 있다염화비닐이 태양광선에 의해 백색 분말로 변하는 것이 1835년에 보고됐는데 이 분말이 PVC였다 1930년 유니온카바이드사가 최초로 공업생산했는데 당시에는 ... ...
너는 발명해라 나는 논문쓸테니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불가능한 아이디어도 있지만 논문을 통해 과학이론을 발전시켜 나가는 방법을 배우는
계기
가 됐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라퓨타 : 과학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실천한다.이번 캠프에서 과학에 ‘한 몸 던진’ 것은 비단 캠프에 참가한 학생들만이 아니다. 과학 동아리 ‘라퓨타’(LAFUTA) 소속 ... ...
5. 춤을 위한 테크노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세계 최초로 블루투스 스테레오 기능을 적용해 신세대 사이에 무선 헤드셋을 유행시킨
계기
를 만들었다. 맵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춤꾼들을 위한 디지털 악세서리도 개발되고 있다.벤처 기업 제노프릭스가 만든 픽스는 테크노 클럽이나 레이브 바에서 이색 악세서리로 애용되고 있는 디지털 ... ...
산업의 쌀을 빻는 방앗간 지기 - (주)주성엔지니어링 대표이사 황.철.주.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당시 공장의 연구원들은 ‘정말 고맙게도’ 책임을 묻지 않았다. 오히려 그 사건을
계기
로 관계가 더욱 돈독해졌고, 그가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험할 때 값비싼 장비를 기꺼이 빌려 주었다. 이 때의 경험이 황사장이 주성엔지니어링을 세계적인 반도체장비회사로 발전시키는 소중한 밑거름이 됐다.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오토메이션 여기서는 제조공정의 각 부에 계측기가 있어 이를 통해 피드백을 일으킨다
계기
에 나타나는 작업지령이 계획과 맞지 않으면 계측기가 조절기 또는 조작기계로 신호를 보내 공정을 자동적으로 조절·제어하는 것이다직접 측정하려는 대상에 접촉하거나 그 가까이서 데이타를 알아내어 ... ...
그섬에가고싶다 카나리아 제도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스페인인들이 16세기에 이 제도를 점령하면서 섬에 살던 예쁜 새를 데려다 기른 것이
계기
가 됐다.화산과 바다, 사막, 만년설을 한꺼번에 볼 수 있어 최고의 크루즈 여행지이자 생명 진화의 진행형을 엿볼 수 있는 현장이기도 하다.화산가스가 대지를 수놓다폭발 당시 분출된 화산가스는 용암을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눈과 코 부분을 오려 소지섭의 얼굴에 붙인 사진을 인터넷 유머 사이트에 올린 것이
계기
가 됐다. 특별한 그래픽처리를 하지 않았는데도 두 사진은 마치 한 사람의 얼굴을 보는 듯해 누리꾼들로부터 ‘진짜 소지섭인 줄 알았다’며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조 교수는 두 경우 모두 닮은 요인으로 눈을 ... ...
1. 꿈틀거리며 잠깨는 공룡화석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라는 정식 학명을 갖게 된 이 공룡뼈는 한반도 토종 공룡의 존재를 알리는 좋은
계기
가 됐다.임종덕 교수는 “1억 6천만년동안 지구의 지배자였던 공룡은 지구상에서 가장 번성한 현재의 새로 살아남아 우리 곁에 살아 숨쉬고 있다”고 주장한다. 임 교수는 지난 2001년 경남 고성군 남해안의 한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