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존"(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회수 시스템은 낙하산을 자동으로 펼쳐 로켓을 안전하게 착지시킨다”며 “기존의 5분의 1 수준으로 가볍게 제작하는 데 성공해 현재 특허 출원 중”이라고 말했다. 비행 컴퓨터 시스템과 지상 통제기는 국내 기업인 나라스페이스테크놀로지가 제작했다. 비행 컴퓨터 시스템에는 로켓의 움직임을 ... ...
- 허리 고치는 수술 로봇 ‘닥터 허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초광각 렌즈인 어안렌즈를 활용해 시야각을 140도까지 확보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는 기존 카메라(70도)에 비해 두 배가량 시야를 확대한 것이다. 이로써 훨씬 더 넓은 범위의 환부를 확인하면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카메라, 조명, 레이저까지 지름 3mm 내시경에 설치 놀라운 건 이 모든 ... ...
- [Career]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 - 암세포 하나씩 분석 생물정보학의 메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용해 새로운 개념의 치료법을 제시했다. 하지만 3세대 항암치료가 등장했다고 해서 기존의 항암치료법이 중단된 것은 아니다. 특히 ‘2세대 항암치료’로 불리는 ‘표적항암제’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암 치료법이다. 최근에는 암 치료에서 가장 큰 걸림돌로 꼽히는 암세포의 항암제 내성 ... ...
- 中 과학계가 던지는 교훈 3가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많다. 필자가 속한 연구기관 중 ‘ICFC(Beijing Innovative Center for Future Chips)’라는 연구소는 기존의 반도체칩이 아닌 인공지능(AI) 칩, 비(非)휘발성 연산칩 등 혁신적인 반도체칩을 연구하는 기관이다. 이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한 곳에 모여서 연구를 수행하며, 공통된 기술은 공유하는 동시에 본인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생성과 초신성 폭발, 은하의 생성과 진화 등을 모두 시뮬레이션에 담을 예정”이라며 “기존보다 27배 큰 규모로 세계에서 가장 넓은 우주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57만20개 코어, 연산 성능 세계 13위 누리온은 인공지능(AI) 개발과 해저로봇, 항공기의 동역학 연구, 태풍 등 자연재해 예측,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조용한 침략자, 과불화화합물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결과 PFOA 농도는 시흥에 비해 대구에서 높게 나타났습니다. 국내 다른 지역에서 보고된 기존 결과와 비교해도 가장 높은 수치였습니다. 임신부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혈액 속 과불화화합물이 태반을 거쳐 태아에게 전달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doi:10.1021/es202408a 과불화화합물이 ... ...
- 韓 문명의 뿌리는 과학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남 학예연구사는 “우리 민족은 해외의 우수한 기술을 능동적으로 받아들인 뒤, 이를 기존에 갖고 있던 기술과 융합해 자신만의 기술로 재창조했다”며 “우수한 것을 받아들여 더 우수하게 재창조하는 우리 민족의 정신은 과거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변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 ...
- 크리스마스에 솔로인 당신 ‘AI 연인’은 어떠세요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기술이 필요합니다. 장 수석연구원은 “단어와 단어 사이의 관계를 일일이 설정하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음성인식에도 딥러닝 학습법을 적용하면서 현재 AI의 음성인식 수준은 (100점 만점에) 96점 정도까지 비약적으로 발전했다”고 말했습니다. 주변에 소음이 있어도 음성을 인식하는 정확도는 ... ...
- 우리는 돌고래 추적자들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실험실이 아닌 현장에서 보내야 한다는 점 또한 연구비를 지원받는 데 걸림돌이 된다. 기존의 실험실 위주의 연구비 지원 체계에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필자를 포함한 연구팀은 2013년부터 제주 앞바다에 서식하는 남방큰돌고래 연구를 진행해 오면서 이 한계를 극복하고자 했다. 그리고 ... ...
- [프리미엄 리포트] 천리안 2A호가 뜬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양군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지궤도복합위성사업단 책임연구원은 “환경 관측은 기존 천리안 1호에서는 없던 새로운 기능”이라며 “바다 또는 대기를 통해 넘어오는 오염물질을 추적하기 용이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는 지상에서만 오염물질을 수집하고 분석해 오염물질의 기원을 가리는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