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우주 날씨] 보름달아, 내 소원을 들어줘!수학동아 l2021년 02호
- 때문이죠. 따라서 운 좋게 어느 해 정월 대보름에 일 년 중 가장 큰 보름달이 떴어도 다음 해에는 그렇지 않을 수 있어요. 올해의 가장 큰 보름달은 정월 대보름이 아닌 4월 27일에 볼 수 있답니다 ... ...
- [코로나19 업데이트] 불안한 겨울에서 회복의 일상으로 코로나 블루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비대면 인터뷰를 마치며 코로나 블루에 슬기롭게 대처하기 위해 독자들에게 다음 세 가지 마음가짐을 갖기를 당부했다. 첫째, 언젠가 이 시기는 끝난다. 코로나19는 누구도 예측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니 내가 바꿀 수 없는 일까지 고려하려 하면 나만 힘들다. 지금 현재, ‘코로나 시대’에 ... ...
- [KAIST 50년] 86학번-21학번 KAIST 캠퍼스 평행이론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카이마루’에서 점심을 먹었다. 내 ‘원픽’은 ‘뚝배기’ 식당의 순두부찌개다. 다음은 인사동(인문사회과학부동의 준말)에서 중국어 수업이 있다. KAIST는 자전거 길이 잘 돼 있어 자전거와 전동킥보드를 타는 학생이 많다. 하지만 걷기 운동을 하기에도 좋은 학교이기에 나는 주로 걸어다닌다 ... ...
- [방구석 과학×음악 콘서트]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수열과 달리 개미수열은 간단하고 직관적인 논리로 구성돼 처음 접하는 사람도 쉽게 다음 항에 들어갈 숫자를 구할 수 있기 때문이죠. 수열에 관심이 많은 안 작곡가는 피보나치 수열을 이용한 곡을 만들기도 했습니다.곡을 작곡하면서 어려운 점은 무엇이었냐는 질문에 안 작곡가는 곡을 쓰기 위해 ... ...
- [Dr. 소의 과학 영상 읽어줌] 라면을 직접 만드는 고생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다른 친구가 여러분에게 과학 영상을 소개해 줄 예정이소! 누구인지 궁금하지 않소? 다음 호를 기대해 주소! ●라면을 직접 만드는 고생 조회수 : 446만 회채널명 : 승우아빠 (구독자 : 119만 명) 여러분의 첫 요리는 무엇이었나요? 대부분의 청소년들처럼, 저 역시 ‘라면’이 제 인생 첫 ... ...
- [2021년 흰 소의 해] 스마트 헬‘소’케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평소보다 활동량이 증가하고, 다른 소에 올라타는 행동을 보인다. 만약 이 시기를 놓치면 다음 번식일까지 약 21일을 기다려야 한다. 하지만 이런 소의 행동을 매번 눈으로 확인하기는 힘들다. 이때 다리의 움직임이 두드러지는 부위에 장치를 채워두면 평소 움직임과 비교해서 소의 번식기를 쉽게 ... ...
- 태양계 비밀 품은 50억km의 비행, 하야부사2의 귀환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구역(A, B, C 챔버)으로 나눠 보관됐는데, 각 구역 입구에 붙은 일부 암석 알갱이들이었다.다음날에는 A 챔버가 개봉됐다. 하야부사2의 첫 번째 터치다운 때 채집한 시료가 이곳에 모였다. 곧 B, C 챔버도 개봉할 예정이다. 아직 총 몇 그램의 시료가 담겨있는지도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0.1~1g 정도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화. 꿈에 그리던 수석 졸업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방망이요? 그건 왜요?”“내기에서 방망이를 걸었는데, 그만 져버렸지 뭐야. 다음에 왔을 때 다시 따야 할 것 같아.”“그게 무슨 소리예요? 전에 내기에서 져서 나한테 뺏겼잖아요? 이제 내 거라고요!”“아, 맞다! 깜빡했네? 아이고, 큰일이다. 이런 이런, 도망쳐야겠다. 프로보, 우주선 발진*시켜 ... ...
- [수콤달콤 놀이연구소] 도전! 10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가운데 더미에서 카드를 다시 한 장 뒤집습니다. ➏ 아무도 10을 만들지 못했을 땐 다음 사람이 가운데 더미의 카드를 한 장 뒤집습니다. ➐ 가운데 더미가 비면 게임이 끝나고, 획득한 카드가 많은 사람이 승리 ... ...
- 단백질 구조 50년 수수께끼 풀었다, 구글 인공지능 알파폴드2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경우가 많다. 이런 단백질의 원리와 성질 변화를 성공적으로 예측하는 일은 알파폴드2의 다음 과제로 남아 있다. 알파폴드2의 등장이 다른 구조 예측 AI의 출현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한다. 아무도 신대륙을 찾지 못했던 때와 탐험가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15세기 말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한 이후의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