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민중
서민
군중
백성
집단
민생
국민
d라이브러리
"
대중
"(으)로 총 1,760건 검색되었습니다.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고안된 새로운 도시형 자전거도 많이 보급돼야 한다고 얘기한다. 이렇게 되면 자가용>
대중
교통>자전거>도보 순서로 돼있는 현재의 교통이용 우선순위가 반대로 바뀌어 환경오염과 교통난을 없앨 수 있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본다.좀더 구체적으로 시도되고 있는 생태복원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않은 분야를 탐구하려는 열정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그는 평소 과학적 성과의
대중
화를 주창하는 과학자로 유명하다. 이 때문인지 지난 4월 아시아태평양이론물리센터(APCTP) 소장 취임차 한국을 방문했을 때도 국내에서 전개되고 있는 ‘사이언스코리아’운동에 관심을 표명하고 적극적인 ... ...
마지막 순간 선택의 문을 바꿔라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순간의 선택이 평생을 좌우한다’ 를 잊지 않게 해줬다. 1991년 9월 어느 일요일, 미국의
대중
잡지인 ‘퍼레이드’ 에 이 프로그램을 연상하게 하는 문제가 실렸다.사건은 마릴린 보스 사반트(Marilyn vos Savant, ‘vos savant’ 는 ‘당신의 학자’ 라는 뜻)의 칼럼 ‘마릴린에게 물어 보세요’ 에 실린 ... ...
"인간을 중심에 둔 과학만이 인류의 미래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기획∙방영됐다가 책으로 출간된 작품이다. 브로노우스키는 자신의 연구를 시각화해서
대중
들에게 전달하고 대화할 수 있는 매체인 TV를 즐겨 이용했는데, 특히 이 시리즈에는 자기 자신을 송두리째 바칠 각오를 할만큼 애정을 가졌다고 한다.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두개골을 통해 인류의 기원을 ... ...
사회적 책임 다하는 과학비평가이고 싶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 과학기술 운동을 목적으로 출발한 이 모임은 80년대 후반 과학
대중
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면서 과학도서 기획, 출판모임으로 바뀌었다.과학책하면 지금도 발행을 망설이는 출판사가 많지만, 당시는 과학책이 아예 상업성과는 거리가 먼 것으로 인식되던 시대였다. ... ...
대중
에게 다가서는 뇌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해서 흔치 않은 기회인 것 같아 왔습니다”라며 “
대중
강연회나 과학동아 같은
대중
잡지에서 실생활과 밀접한 과학을 많이 접할 수 있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덧붙였다.맨 뒷좌석에서 만난 신석균씨는 은행에서 카드시스템을 구축한다. 대학에서 소프트웨어를 전공했지만 뇌과학에도 관심이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역할이 컸던 영화 가운데 쥬라기 공원 시리즈도 빠뜨릴 수 없다. 쥬라기 공원 시리즈는
대중
을 위한 ‘공룡학술지’라 할 수 있을 만큼 최신의 공룡연구결과를 담아 왔다.특히 2편과 3편을 자문한 핵심과학자는 미국 몬타나주립대의 고생물학자인 존 호너 교수다. 호너 교수는 1970년대 말 ... ...
과학책과 연애하는 행복한 번역가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대학원에 개설된 과학커뮤니케이션 협동과정도 맡고 있다. 번역작업이 과학자와
대중
을 이어주는 일이라면, 이 일은 과학과 사회를 이어주는 것이다. 그는 앞으로 과학을 사랑하는 많은 사람들이 과학계의 다리가 되길 기대하고 있다 ... ...
과학으로 본 얼짱과 몸짱 열풍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까다로운 미에 대한 높은 안목을 갖게 됐다.
대중
매체가 인공적으로 만들어준 그 안목은
대중
매체를 접하는 동안 우리를 계속 세뇌시켜서 쉽게 사라지지도 않는다. 그 결과 불행히도 우리는 주변에 있는 아름다운 사람을 잘 인식하지 못하게 됐다. 자신의 배우자의 모습을 TV 속 연예인과 비교하면 ... ...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만드는 사람이 하겠습니까. 그 역할은 과학자들이 직접 맡아야 합니다.”황 교수는 과학
대중
화에 헌신하고 있는 서울대 최재천 교수를 소개하면서 사이언스나 네이처에 논문을 발표하는 것만큼 중요한 과학자의 일을 하고 있는 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연구 업적을 기준으로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