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등장"(으)로 총 5,68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조직력으로 승부한다! 군집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로봇, 군집로봇의 등장지난 2014년 미국 하버드대학교 연구팀은 ‘킬로봇(Kilobot)’이라는 작은 로봇을 만들었어요. 킬로봇은 500원짜리 동전 크기에 막대다리가 3개 달린 작은 로봇이랍니다. 다리에 관절도 없어서 진동모터가 작동하면 그 진동을 이용해 조금씩 움직이지요. 하지만 킬로봇 1000개가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쥬라기’ 시리즈에서 가장 평화로운 장면은 목이 긴 초식공룡 브라키오사우루스가 등장할 때다. 브라키오사우루스는 긴 목을 꼿꼿하게 세워 나무 꼭대기에 달린 나뭇잎을 따먹은 뒤 소처럼 천천히 우물우물 씹어 먹는다. 하지만 이 장면 역시 과학적으로는 옥에 티다. 공룡이 무엇을 어떻게 ... ...
- [DJ CHO의 롤링수톤] 흥 부자들이 모이는 통계적 진실수학동아 l2018년 06호
- 지구 반대편에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길거리나 각종 방송에서 마스의 음악은 쉴 새 없이 등장했을 정도였으니까요. 본명은 피터 진 허난데즈. 어렸을 적 마스의 아버지는 마스가 몸집이 크고 통통한 프로레슬링선수 브루노 삼마르티노를 닮았다며 ‘브루노’라고 불렀습니다. 친구들이 마스가 이 ... ...
- [Culture] ‘팔뚝 요정’이 들려주는 팔씨름의 과학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악력이다. 영화에서도 선수들이 악력을 키우기 위해 악력기를 잡았다 펴는 장면이 종종 등장한다. 백 선수는 “기술이 올라갈수록 악력에 대한 부담이 떨어진다”며 “고장력 악력기 운동을 지나치게 하면 손목과 팔꿈치, 어깨에 오히려 무리가 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팔씨름을 할 ... ...
- [매스미디어] 용의자 X의 헌신수학동아 l2018년 06호
- 근거로 추리해 나가며 문제를 해결해 나간다. 용의자 X의 헌신 천재 수학자 이시가미의 등장유카와가 대학생일 때다. 우연히 학교 벤치에 앉아 어딘가에 몰두하고 있는 이시가미를 보고 호기심을 느낀다. 이시가미가 골똘히 풀고 있는 문제는 ‘4색 문제’. 4색 문제는 인접한 부분이 겹치지 않도록 ... ...
- 2018 아벨상 수상자 로버트 랭글랜즈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다른 분야에서 접근해 볼 수 있는 문제로 만들 수 있습니다. 랭글랜즈 프로그램이 등장한 뒤 약 50여 년 동안 아직 일부분이기는 하지만 놀라울 정도로 진전이 있었습니다. 그 결과 이전의 방법으로는 불가능 했던 정수론의 여러 난제를 해결하는 데 중요한 도구로 쓰이고 있습니다. 와일즈의 페르마 ... ...
- [Tech] KIOST 수중로봇 챌린지과학동아 l2018년 05호
- 19개 팀이 참가했다. 이들은 수중로봇에 대한 설명을 듣고 조종 훈련부터 받았다. 대회에 등장한 수중로봇은 ‘씨로버(Sea Rover) R100’. 씨로버 R100은 교육용으로 제작된 수중로봇이다. 길이 36cm, 폭 34cm, 높이 12cm로 무게는 약 5kg이다. 물속에서 최대 2노트로 움직일 수 있다. 씨로버 R100의 특징은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학습 비결’을 궁금해 했던 사람은 얼마나 있었을까.최첨단으로 불리는 과학기술이 등장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그 과정에 대한 관심은, 결과에 대한 관심에 비하면 매우 미약하다.이런 과정을 만들기 위해 땀 흘리는 과학자들의 노력을 소개한 책이 나왔다. ‘디지털이 꿈꾸는 ... ...
- 그 소원, ‘가상현실’이 이뤄 드립니다!수학동아 l2018년 05호
- Head Mounted Device)예요. 우리 눈에 가상세계를 보여주는 HMD는 1900년대 중반에 처음 등장했지만, 요즘과 비슷한 기능을 갖춘 건 2000년이 지나서예요. 사실 HMD로 보는 가상세계는 모니터로 보는 컴퓨터 게임 속 가상세계와 비슷합니다. 다른 점이 있다면 컴퓨터 게임은 마우스로 시선을 움직이고, HMD는 ... ...
- Intro. 시험장에서 쫓겨난 수학수학동아 l2018년 05호
- 신세가 될 거라곤 상상도 못했습니다. 우리는 기하입니다. 우리 기하 외에도 시험지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실생활에서 중요하게 쓰이는 수학을 만나보시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시험장에서 쫓겨난 수학Part 1. 시험장에서 쫓겨난 기하의 항변Part 2. 우리가 필수가 아니라고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