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절
귀절
절
구
글귀
문구
마디
d라이브러리
"
말마디
"(으)로 총 1,089건 검색되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이야기 이순신과 거북선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일상생활에서 필요한 온갖 정보가 컴퓨터에 입력되어 활용될 수 있다면 우리가 절약할 수 있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그것을 바라기 전에 자신이 갖고 있는 모든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습관이 필요하다.자료의 기지영어로는 Data Base라고 쓰기도 하고 Database라고 붙여서 쓰기도 한다. 그러니까 ... ...
정보의 홍수와 가뭄을 모두 해결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컴퓨터 키보드를 두둘기며 전국 도서관에 소장돼 있는 모든 도서를 검색할 수 있는 도서관 전산화의 현장을 본다 정보사회의 이면, 홍수와 가뭄 '정보 능력'은 개인, 사회 및 국가의 힘의 척도가 되었다. 전세계에서 경쟁적으로 쏟아지는 정보의 양은 실로 폭발적이다. 이 같은 정보의 폭발적 대량 ... ...
'과학동아' 로고타입 제작노트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한글은 과학적인 글자라고 한다. 그것은 문법으로나, 음성학적으로 그렇다고 사람들이 말했다. 그러나 세종대왕 창제 당시를 제외한 그 이후부터 지금까지의 한글꼴은 타자기 글자나 일부 컴퓨터 용 글자를 제외하고는 비과학적이었다. 문법적으로나 음성학적으로 한글이 과학적인 것만큼 꼴도 과 ... ...
미숙아의 딜레마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20명에 1명꼴로 미숙아가 태어나 그중 16.4%가 사망하고, 심신장애 실명 핵황달 등의 심각한 후유증을 보이고 있다. 이같은 '불행한 출생'의 원인과 문제점 치료대책은 무엇일까? 무서운 합병증들 행복한 삶의 조건으로서 건강의 중요성은 두말 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삶의 출발점에서부 ... ...
머리가 좋다는 것은 어떤것인가
과학동아
l
1986년 02호
머리가 좋은 정도를 측정한다도대체 어떤사람을 머리가 좋다고 하는 것일까. 이에 대해 정확하게 대답하기는 상당히 어렵다.또 머리가 좋은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것인가 하는 의문도 생긴다. 이 질문에 대한 가장 간단하고 흔히 쓰는 답은 학교의 시험성적일 것이다. 아마 이것도 일리 ... ...
습속으로 본 한국인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옷북방 유목민 복식에서 시작, 삼 모시 명주의 소색(素色)으로 단순화 한국의 석기시대인이 무엇을 입었느냐 하는 것은 오늘날의 고고학적 유물로는 알 수 없으나 대전 괴정동에서 나온 청동기시대의 의기(儀器)로 보아서 머리는 피발(풀어버린 머리)이나 상투였고, 옷은 엉덩이까지 덮이는 저고리 ... ...
지진·화산폭발 왜 일어나나?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2만2천여명의 인명을 앗아간 콜롬비아 '루이즈'화산1천 1백여 건물을 파괴하여 6천여명의 사상자를 낸 멕시코 지진과연 한반도는 안전한가우리가 디디고 서 있는 대지는 튼튼한가? 발로 '쿵'해봐야 전혀 끄덕없고 따라서 대지의 대 포효(지진이나 화산폭발)가 있기 전에는 대지는 영원하고 엄청난 ... ...
하이테크시대를 여는 두뇌집단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64K S램, 핵자기공명진단장치개발에 성공●90년까지 박사급 8백여명 추가유치●그룹매출액의 7% 투자계획R&D 연구개발을 의미하는 이 한마디에는 현대의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 쏟는 무한한 노력이 담겨져 있다. 눈부시게 변화하는 첨단과학기술시대에 뒤처지지 않기 위해서는 R&D야말로 결정적인 ... ...
체질인류학이란?
과학동아
l
1986년 01호
넓은의미의 인류학 가운데서 특히 생물로서의 인류를 다루는 분야가 바로 체질인류학(physical anthropology 형질인류학 혹은 자연인류학으로 부르기도 함)이다.18세기 말부터 등장한 체질인류학은 초창기에는 인종의 신체적 특징과 그 주거지 환경이나 풍속습관이 어떤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문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