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합성
조립
혼합
콤플렉스
구성
d라이브러리
"
복합
"(으)로 총 1,370건 검색되었습니다.
현대 물리학과 동양사상의 만남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않는다. 비록 쿼크와 같은 실체를 인정한다 하더라도 그것은 이미 한 무리를 이루고 있는
복합
입자를 의미한다. 질소원자에 알파선을 쬐면 그것이 산소원자와 수소원자로 변한다. 양성자가 중성자의 베타붕괴에 의해 만들어지는가 하면 이 붕괴에서는 약한 상호작용과정에 의해 중성자가 전자와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상대적인 비교만이 가능할 뿐이다. 밤하늘 관측은 단순한 공해도 아니고 광공해라는
복합
적인 현상에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3일 동안 전국 11곳을 동시 관측구체적인 관측에 들어가서 제일 중요한 것은 지역을 선정하는 문제였다. 우선 5대 도시를 포함시켜야 한다는 데는 이의가 없었으나 나머지는 ... ...
PART2 볍씨 개량 도전 1백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방지하고 노동력과 생산비를 절감하는 것도 주요한 개량목표다. 다시 말해 병과 해충에
복합
저항성을 가진 볍씨가 요구된다.농지의 이용률을 늘리고 생산비를 절감하기 위하여 모심은 후 1백10일 내외에 수확할 수 있으면서 수량도 떨어지지 않는 볍씨를 개량하는 것도 중요하다. 이를 흔히 ... ...
「대기오염 측정 전국 별자리관측」을 마치며 "잃어버린 밤하늘을 되찾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되겠지요.이혁 별관측은 대기오염에 직접 영향을 받는다기 보다는 광해와 어우러져
복합
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오염 정도를 수치화하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지역을 세분하면 전국적인 광공해지도는 나올 수 있을 것입니다.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에 대한 해답도 나올 수 있구요 ... ...
PART4 쌀육종 연구의 메카 IRRI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상당히 병충해에 강한 IR36이 육성되었으며 또한 이 품종은 불량토양과 가뭄에 강한
복합
내재해성인 품종이라고 볼 수 있다.이어 다음 해에는 수리안전답, 천수답, 물이 아주 깊은 논 밭에서 재배하는 벼의 유전자원 연구 및 특수생리장해 연구를 강화하였다. 1979년에는 넓은 범위의 농업기후와 ... ...
카나리아군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화산지형인 제주도와 울릉도 등 두 화산섬의 특징들이
복합
된 듯한 형태를 보여주고 있다.세계의 화산대라고 하면 신생대 제4기인 2백만년 전부터 생성된 환(環)태평양화산대와 알프스-히말라야화산대가 대표적이다. 대부분의 화산지형이 이곳에 집중되어 있는데 ... ...
계면(界面)공학, 왜 각광받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라켓이나 골프채 등에 사용되는 각종 신소재들은 플라스틱에 강력한 탄소섬유를 섞은
복합
재료로 이들 각 소재간의 계면현상이 특성을 좌우한다.계면공학이라는 것은 우리 일상생활 어디서나 쉽게 찾아볼 수 있고 상품들을 생산하는 제조공정에 응용되는 범용기술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한 ... ...
1. 텔레파시의 비밀 밝혀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도출된다.나불거리는 뇌파의 신호를 단순히 시간에 대한 전위의 변동이나 구성주파수의
복합
으로만 봐서는 안된다. 여러가지 가능한 변수들이 역동적으로 급변하는 위상공간(phase space)에서의 움직임으로 봐야 한다. 한 순간의 뇌파가 아니라 거시적인 흐름의 역동으로 파악할 때 뇌파는 쓸모없는 ... ...
3. 알파파와 바이오피드백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의미있는 치료효과를 발견할 수 없었다. 연구진들은 "
복합
적인 치료방법이 통증과 같이
복합
적인 원인을 지닌 문제들을 치료하는데 더 효과적이다"고 제안했다.강박적 사고장애를 보이는 신경증 환자를 알파피드백훈련을 통해 치료해 보려는 시도도 있었다. 이때 다수의 환자들이 효험을 봤다고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어느 정도의 밝기를 가져 그 밝기보다 어두운 별은 보이지 않게 되는 두가지 현상의
복합
효과다.그렇다면 '도시에 먼지가 없다면 어떻게 될까'하는 의문을 가지는 독자도 있을 것이다. 같은 장소, 같은 지상의 조건이라도 별이 상대적으로 잘 보이는 날도 있는데 이것은 대기중의 먼지가 적은 날인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