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 인터뷰] 문어는 회전대칭 구조!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전문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온라인 판에 공개됐습니다.이스라엘 히브리대
신경
생물학과 가이 레비 교수팀은 문어의 한 종류인 왜문어 한 마리를 장애물이 있는 수조 안에 풀어 놓았습니다. 그리고 문어가 장애물을 넘는 모습을 관찰했습니다.관찰 결과, 문어는 어느 방향으로든 고개를 ... ...
[지식] 할머니와 엄마의 수학시간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참 답답하다.교실은 이미 졸업파티 분위기다. 선생님도 크게
신경
쓰지 않는 눈치다. 하지만 내 마음은 편치 않다. 내년이면 교과서가 또 바뀌기 때문이다. 벌써 3번째다.초등학교까진 언니랑 똑같은 교과서로 공부했다. 그런데 중학교에 올라오니 2007년에 새롭게 만들어진 ... ...
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구분할 수 없는 가상현실 세계가 도래하면 세상은 어떻게 바뀔까. 커즈와일은 “
신경
계 내의 가 상현실이 해상도와 신뢰도 면에서 실제 세계와 다를 바 없게 되면 우리의 경험은 점차 가상으로 옮겨갈 것”이라고 예측했다. 현실보다 가상에서 더 큰 자유 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가상현실에서 ... ...
금연 성패, 답은 정해져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담배 값이 크게 오르면서 금연을 결심한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지난 4월 담배 판매량은 가격을 올리기 전보다 24%밖에 안 줄었다. 금연에 성공한 사람이 많 ... 뇌섬엽과 뇌의 다른 부위 간 연결고리를 찾아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연구 결과는 ‘
신경
심리약학지’ 5월 13일자에 실렸다 ... ...
물고기 떼 한 입에 호로록~ 고래, 비결이 뭐니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수염고래과 고래의 입과 혀에서 턱 밑 주머니를 만들 수 있는 독특한
신경
을 발견했다.
신경
은 신축성이 좋은 콜라겐 등의 물질로 둘러싸여 있었고, 원래 길이의 2배 정도까지 늘어날 수 있다. 연구 결과는 ‘커런트 바이올로지’ 5월 4일자에 실렸다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바로 반응속도 때문이다. 우리 눈으로 빛이 들어와 망막에 맺히면 전기화학적 신호가 시
신경
을 타고 뇌의 시각중추로 전달된다. 여 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0.02초(20ms)다. 고개를 홱 돌 리면 뇌가 바뀐 시각정보를 인지할 때까지 이 정도 시 간이 걸린다. 한편 귀 속의 세반고리관에서도 몸의 위 치가 ... ...
“스파이더맨이 제일 그리기 어려웠어요”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먼저 작업을 제안했는데 반응이 좋아서 함께 일하게 됐다.Q 캐릭터를 그릴 때 특별히
신경
쓰는 점은?A 특징이다. 캐릭터는 우리말 뜻으로 특징이기 때문에 각 캐릭터의 특징을 어떻게 강조할 수 있을지 고민한다. 예를 들어 헐크는 힘쓰는 일이 많은 캐릭터다. 그러다 보니 얼굴을 그릴 때도 작은 ... ...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세요. 노벨상이 따라옵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 호르몬을 분비하거나,
신경
세포가 시냅스라는 연결 부위에서
신경
전달물질을 내보낼 때 '어떻게 물질을 원하는 목적지로 정확하게 보낼 수 있는가'가 당시 그의 가장 큰 의문이었다.답은 실험실에서 키우던 효모에서 우연히 발견했다. 1978년 5월, 그는 한밤중에 연구실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병원 정신과에서 마음이 아픈 환자를 돌보는 한편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정신장애의
신경
인류학적 원인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parkhanson@gmail.com 유전자 속에 '녹색갈증'이 각인돼 있다미국 하버드대 생물학과 교수 에드워드 윌슨은 모든 인류에게 바이오필리아, 다시 말해 '녹색갈증'이 있다고 ... ...
[과학뉴스] 위험감수 vs 안정지향, 도파민이 결정
과학동아
l
2015년 05호
보인 것이다. 연구팀은 위험을 감수하도록 만드는
신경
세포 2개를 새롭게 알아냈다. 이
신경
세포들은 식량 변화를 감지했을 때 활성화돼 도파민 방출을 유도했다. 살라사니 교수는 “도파민과 위험감수 행동과의 관계를 정확히 규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도파민의 불균형으로 생기는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