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냅챗? 알고 보면 ‘數’냅챗! 아기 얼굴 만드는 비결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특징이 있죠? 이에 맞게 어떤 얼굴 사진이든 바꾸는 겁니다.이만하면 한 가지 기술로도 다
양
한 필터를 만들 수 있겠죠? 얼굴을 찾는 기술은 필터뿐 아니라 더 많은 곳에 활용될 예정입니다. 김 수석 개발자는 “PC에서는 이목구비 뿐 아니라 피부의 질감까지 포착할 수 있고 3차원 정보도 지각할 수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이뤄지기 전부터, 그리고 승인이 이뤄진 뒤에도 계속된 반대에 부딪히고 있다. 생물다
양
성을 위한 아프리카 센터(ACB·African Centre for Biodiversity) 등 환경단체는 GM 모기 방사 후 안정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 등을 이유로 강하게 저항해왔다. 마리암 마예트 ACB 총재는 “GM 모기 기술은 초기 단계에 ... ...
천 년의 기록이 밝힌 태
양
의 비밀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보였습니다. 태
양
의 흑점 활동이 기후 변화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드러난 겁니다. 태
양
흑점의 수가 늘어날 때 지구 기온이 낮아지는 거라면 언제 또 큰 추위가 올지도 알 수도 있지요 ... ...
고교급식왕, 급식의 과학적 비밀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특히 튀김은 바삭한 식감을 유지해야 하는 만큼 온도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신 영
양
사는 “오븐 요리나 튀김을 할 때는 학생들이 오는 시간을 예상해 두세 차례 나눠서 요리 한다”며 “오븐에 달린 간이 온도계 외에 별도의 탐침 온도계로 온도를 확인한다”고 말했다.홍서정
양
(2학년)은 ... ...
질소, 질식 기체 오명 벗고 인류 책임진 슈퍼 히어로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뜻의 그리스어(gennao)를 합쳐서 ‘nitrogene’으로 제안한 데서 유래했다. 한편 동
양
권에서 부르는 ‘질소(窒素)’라는 한자명은 러더퍼드가 목격했던 ‘질식시키는 기체’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질소 비료 대량생산으로 인구 증가일상생활에서 질소를 포함한 물질보다 포함하지 않은 물질의 수를 ... ...
휴
양
지파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물건을 만들 수 있을 겁니다. 예를 들어 컨베이어 벨트를 뫼비우스의 띠 모
양
으로 만들면
양
면을 다 이용하기 때문에 단면을 이용하는 기존 벨트보다 마모가 덜 될 거예요 ... ...
[동아리탐방] 인천과학예술영재학교 G.O.M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김나연
양
은 “봉사활동을 하면 보통 한 가지 역할만 맡는데, 수학 나눔 활동을 하면 다
양
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여러 학생들을 가르쳐주는 역할까지 여러 일을 할 수 있어 좋다”고 말했다. 본격 동아리 뽐내기 시간"우리 동아리는요~!" 모든 걸 동아리원 스스로 해서 평범한 듯 특별한 G.O.M의 ... ...
한국에서 가장 흔한 빨간집모기의 항변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유기물 먹이가 풍부한 낙원이다. 여기 사육실은 물고기 사료를 갈아서 주곤 한다. 물의
양
이 많을 필요도 없다. 어차피 수면부에 살기 때문에 물이 얕아도 된다. 우리 몸집이 워낙 작고 먹이도 많이 필요 없어 웅덩이가 넓을 필요도 없다. 오히려 우리의 천적이 살지 못할 만큼 아주 좁은 물웅덩이가 ... ...
왜 포항 지진은 촉발 지진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압력을 견디기 위해 넣는 액체 65만L 정도가 사라졌던 때이기도 해요. 연구단은 이 엄청난
양
의 액체가 지하 3800m 쯤에 있는 단층면 사이로 빠져나갔을 것으로 추정했어요. 단층면이 있다면 액체가 틈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을 테니까요. ●●● 증거 2 ●●●물 주입 이후, 지진이 났다?!지열발전소를 ... ...
[매스미디어] 악플의 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악플을 필터링하는 방법이나 인터넷 사용자의 댓글 연결망을 분석하는 방법 등 다
양
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악플은 시대에 따라 계속 변하고 빠르게 새로 생겨나기 때문에 기술만으로 따라가기엔 어느 정도 한계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무엇보다 중요한 건 악플을 쓰지 않는 올바른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