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른편
우측
바른쪽
바른편
오른편짝
우방
우편
d라이브러리
"
오른쪽
"(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전기회로 집중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연결하면 그 외의 저항에는 회로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그러나
오른쪽
그림에서는 이웃한 두 단자를 연결했을 때 전류가 흐를 수 있는 통로가 2개 생기고 병렬연결의 형태를 띱니다 ... ...
과학으로 읽는 ‘정의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한 사람을 살인자 버금가게 죄질이 나쁘다고 생각하는 게 인지상정이다. 그런데
오른쪽
측두정엽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는 사람은 결과적으로 살인이 일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독살 기도가 그리 큰 잘못은 아니라고 판단한다는 것. 색스 교수는 “도덕적 판단을 내릴 때는 전차 문제에서처럼 남에게 ... ...
뇌병변도 막지 못한 청년 과학자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팔’이나 ‘로봇 다리’를 만드는 게 그의 꿈이다.“저는 신경에 손상이 있어서 몸의
오른쪽
을 제대로 움직이지 못해요. 만약 기계가 두뇌에서 오는 신호를 받아 움직일 수 있다면 제가 원하는 대로 팔과 다리를 움직일 수 있지 않을까요?”이런 재활의공학은 재활운동에도 효과적이다. 팔, 다리를 ... ...
이대호 홈런, 류현진 삼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이를 보완하기 위해 던지는 팔각도를 높여 공을 놓는 지점을 높였는데 이때 머리가
오른쪽
으로 조금 넘어간다. 몸의 중심이 흔들리므로 김광현 선수는 류현진 선수에 비해 제구력이 떨어진다.김광현 투수는 밸런스가 흔들리지만 다른 부분에서 약점을 보완해 좋은 성적을 내고 있다. 그가 공을 놓는 ... ...
인류의 희로애락 품은 탈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뜨고 있는 연잎탈은 하늘을, 눈을 감고 있는 눈끔적이탈은 땅을 상징한다. 또 우창부탈의
오른쪽
으로 굽은 코는 성공을, 좌창부의 왼쪽으로 굽은 코는 실패를 상징한다.신의 얼굴부터 원혼과 역귀까지신라 산신의 탈이나 하회 서낭신의 탈은 신의 얼굴을 조각한 것이므로 신성하게 여겨진다. 신라 때 ... ...
두근두근 문구 발명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예를 들어 이 칸의
오른쪽
아래에 글자를 썼다면, 전자칠판에 글자가 나타나는 위치도
오른쪽
아래랍니다.동영상이 멈춘 이유는 선생님이 리모컨에 있는 멈춤 버튼을 펜으로 눌렀기 때문이에요.어떤가요? 전자칠판으로 교실이 확 바뀌었지요?발명노트 ➌ 불편한 점을 찾아 보자물분필은 분필에서 ... ...
야구장은 도형의 집합소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나간 홈런공은 바다에 빠진다. 미국 보스턴 레드삭스의 홈구장인 ‘펜웨이파크’는
오른쪽
담장이 0.9 ~1.5m로 아주 낮지만 왼쪽 담장은 높이가 11.3m나 된다. 거대한 높이 때문에 ‘녹색 괴물(그린 몬스터)’이라는 별명도 붙었다. 광주 무등구장도 가운데 담장 높이가 6.9m다.야구장 방향의 ... ...
긴급출동! 어린이 안전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아니겠어?자전거도 ‘차’라는 걸 명심해!방향표시등 대신 수신호!코너를 돌기 전에,
오른쪽
으로 갈 때는 오른손을, 왼쪽으로 갈 때는 왼손을 수평으로 바르게 든다.안전벨트 대신 안전모!안전모를 쓸 때는 눈썹 위에 손가락 두 개가 들어갈 공간만 남기고 이마가 덮이도록 쓴다. 또 안전모 양쪽에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왼쪽 부분이 남성적인 데에 비해 입술과 턱의
오른쪽
부분은 소녀에 가깝다. 얼굴의
오른쪽
은 여성적이고 내성적이며 왼쪽은 남성적이며 적극적이다. 윗부분은 성숙한 인물이지만 아랫부분은 어린 인물을 담고 있다.남성성과 여성성, 성숙함과 미숙함을 두루 갖춰 전 세계 사람들이 매료될 만한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관찰했더니 영락없는 보석상자다. 보석처럼 영롱한 별빛이 한눈에 쏙쏙 들어온다.
오른쪽
으로 눈걸음을 옮기면 진주성단(Pearl Cluster. NGC3766)이 빛난다. 이 별들을 꿰어 진주 목걸이를 만들고 싶은 마음이 절로 든다. 진주성단 바로 아래 붉은 색의 성운이 성단과 함께 어우러져 있다. ‘달리는 닭(Runnging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