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동"(으)로 총 5,19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태양계 경계 - 태양풍이 멈추는 곳에 다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지구 사이의 거리는 약 65억km지요. 뉴 호라이즌스호가 보낸 신호가 빛의 속도로 이동해도 미국항공우주국의 ‘심우주 통신망’에 도착하는 데에만 6시간이 걸리는 어마어마하게 먼 거리랍니다 ... ...
- [실전! 반려동물] 이구아나야, 왜 줘도 먹지를 못하니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개체의 무게에 따라 최대 24시간 동안 아무것도 먹지 못하게 해요. 방광은 조금씩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고 주변에 혈관이 적은 기관이라, 방광 결석 제거는 비교적 쉬운 수술에 속한답니다. 수술이 끝나면 이구아나는 하루 정도 수액을 맞아요. 변온동물이기 때문에 36.6℃로 수액을 데워 사용하지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동화나라가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루이 15세와 나폴레옹이 도르래를 이용해 ‘날아다니는 의자’를 만들어 궁전 내에서 이동했다는 기록도 있지만, 줄이 끊어지면 사고로 이어졌기 때문에 사람을 운반하는 용도로는 널리 쓰이지 못했어요. 그런데 미국의 발명가 엘리샤 오티스가 줄이 끊어져도 추락하지 않는 안전 장치를 개발하며 ... ...
- [과학뉴스] 스스로 움직이는 식물 ‘엘로완’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바퀴로 전송된다. 그러면 바퀴가 빛이 있는 쪽, 즉 생존에 더 적합한 장소로 식물을 이동시킨다. 식물이 바퀴를 조종하는 셈이다. 사린 연구원은 “식물은 몸 전체에 생체 전기화학적 메시지를 끊임없이 보내는 전기 활성 시스템으로, 이번 연구는 디지털 세계와 식물(자연)에 존재하는 능력이 ...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보냈다. 길이가 2m 가량인 루노호트 1호는 일주일 뒤 달 표면에 착륙해 321일 동안 10.54km를 이동한 것이다. 예정보다 3배나 더 오래 활동한 것이었다. 루노호트 1호는 2만 개의 이미지를 안테나로 전송하고 25가지 토양 분석을 수행했다. ● 1994. 01. 25 달의 남극을 찍다크레이터가 숨구멍처럼 뚫린 달의 ... ...
- Part 5. 전문가에게 물었다 제2의 달 탐사 경쟁, 한국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로버가 달릴 수 있는 도로도 있어야 한다(현재는 달 토양에서 로버가 초속 10cm로 이동한다). 하지만 건설에 필요한 재료들을 지구에서부터 달까지 옮기려면 1kg당 20억 달러(약 2조2690억 원)가 든다. 때문에 우주 강국들은 ISRU 분야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NASA를 예로 들면, 2017년 ISRU 분야 예산이 ... ...
- [큐레이터조의 수학미술관] 4차원 세계로 들어간 화가, 파블로 피카소와 큐비즘수학동아 l2019년 01호
- 믿기지 않을 겁니다. 이 멋진 작품들을 충분히 보고 싶겠지만, 시간 관계상 다음 관으로 이동합시다. 피카소의 전성기, 큐비즘 작품 역시 피카소 그림의 정수는 큐비즘 작품입니다. 피카소는 원과 원뿔, 원기둥만으로 그림을 그렸던 프랑스 화가 폴 세잔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기하학적인 ... ...
- Part 1. 변신 1 - 9000년 간 변해왔다! 가축 돼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180만 년 전인 플라이스토세 칼라브리안 시기에 춥고 건조한 기후가 이어지면서 대륙간 이동이 어려워졌지요. 이는 돼지가 가축화된 것으로 알려진 9000년 전보다도 훨씬 더 이른 시기로, 돼지가 가축화되기 전부터 이미 유럽과 아시아 멧돼지가 달라졌다는 뜻이지요. 결국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서로 ... ...
- Part 2. 日 2040년 문 밸리 건설, 지구-달 오가는 ‘달 셔틀’ 운영과학동아 l2019년 01호
- 톱니를 달았다. 길이 58cm인 몸집에 비해 바퀴 지름을 20cm로 크게 설계한 것도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다. 바퀴에서 지면과 닿는 부위의 폭은 7cm, 날개 높이는 2cm다. 요시다 교수는 “로버는 경사각이 최대 25도까지는 오르막길도 문제없다”며 “초속 10cm로 천천히 움직이면서 본인 몸집만 한 ... ...
- [Tech] 프로펠러 없이 하늘 난 비행기과학동아 l2019년 01호
- 00년 전 발명된 비행기는 그간 프로펠러 또는 터빈의 회전을 통해 대기를 가로질러 이동했다. 그러나 필자는 ‘스타워즈’ ‘스타트랙’ 그리고 ‘백투더퓨처’와 같은 SF 영화를 보며 미래의 추진시스템을 상상했다. 푸른빛이 나며, ‘휙’ 소리만 날 정도로 조용하고, 프로펠러처럼 움직이는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