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뇌질환의 원인일까시냅스는 인접한 두 개의 뉴런 사이에 있는 구조다. 두 뉴런은 아주 작은 틈을 두고 마주 보고 있는데, 이 공간을 통해 신경전달물질을 방출하거나 흡수하며 신경 신호를 전달한다.만약 시냅스의 구조가 파괴되거나 기능이 저해되면 신경계는 제 기능을 할 수 없다. 알츠하이머 ... ...
- [섭섭박사의 마이랩@홈] 어떤 동전이든 척척 가려내지! 동전 분류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구멍은 아래쪽에 뚫어야 한다”며 “그렇게 하지 않고 큰 구멍을 나무판 위쪽에 뚫으면, 작은 동전과 큰 동전 모두 큰 구멍에 빠져버리게 돼 동전을 분류할 수 없다”는 팁을 알려주셨답니다. 알아보자! 500원이야? 500엔이야? 동전을 구분하라! 1982년, 일본은 500엔 동전을 처음으로 발행했어요. 그 ... ...
- [과학뉴스] 브레이크댄스 추는 문어 로봇은 처음이지?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비보이(B-boy)가 ‘헤드 스핀’을 돌 듯 회전해 물체를 떨어뜨리기도 한다. 스툽 교수는 “작은 소프트 로봇 여러 개가 무리지어 복잡한 작업을 수행하도록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라고 말했다. doi: 10.1126/scirobotics.abb982 ... ...
- [신 기후체제] 당신은 늙어 죽지 못할 수도 있다...지구 온도 1.5℃를 지켜라 파리협정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산업계와 시민사회 등 모든 이해관계자, 그리고 국민 개개인의 참여가 절실하다. 일상 속 작은 실천에서 시작해 지구를 살리고 인류를 지켜내는 길에 많은 국민이 참여하길 기대한다. 유연철. 30여 년간 외교부 환경협력과장, 심의관, 국제협력관, 주쿠웨이트 대사 등을 거쳐 2018년 6월부터 ... ...
- 가는 전깃줄에 꺾인 독수리 날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방향으로 진화했다. 뼈의 밀도가 포유류에 비해 훨씬 낮다. 덕분에 체중은 줄였지만 작은 충돌에도 뼈가 쉽게 손상을 입는다. 자연에서 생활할 때는 문제가 없었겠지만, 충돌할 것이 너무 많은 현대 사회에는 취약할 수밖에 없다.골절 자체도 문제였지만 더 큰 문제는 개방성 골절이라는 점이었다.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1화. 꿈에 그리던 수석 졸업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자랑스러운 표정이었고, 딱지도 뿌듯했습니다. 지나가던 다른 졸업생들이 딱지를 보고 작은 목소리로 ‘코딱지~.’ 하면서 낄낄거리는 것만 빼고요. ‘자식들, 내가 페가수스 호의 승무원이 되는 모습을 보면 그렇게 놀리지 못할걸?’그때 딱지의 머리 위로 드론 한 대가 날아왔습니다. 드론은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청주동물원에 찾아온 손님들, 붉은여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청주와 중부센터가 있는 영주는 직선거리로도 100km나 떨어진 먼 곳이라 몸집이 작은 붉은여우가 오기에는 매우 힘들어요. 아마 동물원에 있는 여우들의 냄새에 이끌려 온 것으로 추정했지요. 잠시 청주동물원을 찾았던 붉은여우는 원래의 서식 지역인 소백산으로 다시 돌아갔습니다. # 2020년 3월 ... ...
- 태양계 비밀 품은 50억km의 비행, 하야부사2의 귀환과학동아 l2021년 01호
- 개선했다. 최기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탐사연구부 책임연구원은 “특히 아주 작은 힘으로 장시간 탐사선을 가속시키는 이온엔진의 성능을 크게 개선해 장기간 안정적인 우주 비행이 가능하도록 했다”고 말했다. 그렇게 만반의 준비를 하고 하야부사2는 4년 가까운 비행 끝에 2018년 6월 소행성 ... ...
- 작은 ‘탈 것’을 위한 시과학동아 l2021년 01호
- 특정 부위에 약물을 전달하도록 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상에서 가장 작은 자동차의 레이스“친구여, 이 자동차들은 문장 끝에 오는 마침표보다도 훨씬, 훨씬, 훨씬 작답니다.”제임스 투어 미국 라이스대 화학과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자신이 만든 나노자동차에 ... ...
- [이슈1] 수학과 친해지는 진짜 쉬운 방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다양하게 많이 읽기’과 ‘수학과 친해지기’ 두 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지방의 작은 도시에서 자라던 어린 시절에 눈에 띄는 책은 모조리 읽곤 했어요. 동네 친구들 집에 있는 책을 다 읽고는 집 근처 도서관에 꽂힌 책을 가나다 순으로 모조리 읽었죠. 이런 경험 덕분에 주제나 분야에 대한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