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과학] 15분 만에 뚝딱 완성되는 음압병실 있다? 없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개발됐어. 무슨 얘기냐고? 새로운 음압병실, 저렴한데 금방 만들 수도 있다고?! 지난 1월, 카이스트 산업디자인학과 남택진 교수팀은 신속하게 설치해 사용할 수 있는 이동형 음압병동을 개발해 발표했어요. 음압병동은 ‘음압(negative pressure)’이라는 이름처럼 병실 안의 기압을 주변보다 낮게 ... ...
- 역대 최대 규모 북극 탐험 1년간의 기록... 북극 해빙을 헤쳐 나가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전 지구의 해빙 기록을 통해 전례없는 최근의 북극 해빙 감소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지난 15년간 측정한 해빙 두께 데이터는 해빙의 물질수지(특정 계에서 물질이 들어온 양과 나가거나 축적되는 양이 균형을 이뤄야 한다는 개념)에 대한 이해를 도왔다. 이는 매년 얼마나 많은 얼음이 성장하거나 ... ...
- [여섯 번째 대멸종]의 시작? 하나둘 사라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손실이 돌이킬 수 없는 상태에 이르면 인간도 위태롭다”고 경고했답니다.한편, 지난 12월 11일 세계자연보전연맹(IUCN)도 2020년에 전 세계에서 31종이 멸종했고, 3만 5765종이 멸종위기종에 추가됐다고 발표했어요. IUCN은 2~5년마다 멸종위기에 빠진 동·식물 개체 수와 서식지 상태를 조사해 보고서를 ... ...
- [과학뉴스] 우주에서 가장 오래된 블랙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지난 1월,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스튜어드천문대의 연구자들이 이끄는 공동 연구팀이 지금까지 관측된 것 중 가장 오래된 블랙홀을 발견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칠레와 하와이에 있는 망원경으로 새로운 퀘이사 ‘J0313-1806’을 관측했어요. ‘퀘이사’는 중심의 초거대 질량 블랙홀이 주변의 ... ...
- 코로나19로 바뀐 세상, 코로나19가 바꿀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현상이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변이와 관련돼 있을 것으로 추정합니다.지금까지 코로나19가 지난 1년 동안 우리의 삶을 어떻게 바꿨고, 앞으로는 또 어떻게 변할지 다양한 통계 자료를 통해 알아봤습니다. 이처럼 데이터를 이용해 과거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한다면 어떤 변화도 충분히 대비할 수 있지 ... ...
- [통합과학 교과서] 갑자기 찾아온 추위가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물은 계속 지구에서 돌고 돈답니다. # 통합과학 넓히기전국이 꽁꽁 얼었어요! 지난 1월 6일 서울에는 3년 만에 한파 경보가 내려졌어요. 아침 최저기온이 전날보다 15℃ 이상 낮아져서 평년값(최근 30년간 평균)보다 기온이 3℃ 이상 낮을 때, 혹은 아침 최저 기온이 영하 15℃ 이하로 이틀 이상 ... ...
- [쇼킹 사이언스] 2000년간 보존된 인간의 뇌, 그 비결은 유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아우구스투스를 숭배하던 시설인 ‘콜레지움 아우구스탈리움’의 관리인으로 추정돼요. 지난 2018년 연구팀은 유해의 두개골을 분석하기 시작했고, 두개골 안에서 검은빛이 나는 유리 물질을 발견했지요. 연구팀은 두개골 안의 유리 물질을 남성의 뇌가 변한 것으로 추정하고 전자 현미경으로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설의 나무 방패를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충돌한 흔적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어요.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팀이 지난해 1월부터 경상남도 합천군에 있는 7km 직경의 그릇 모양 지형인 적중-초계분지를 현장 조사한 결과였지요. 비밀은 땅속에 있었어요. 연구팀은 땅속 142m 깊이를 시추 조사하고,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했어요. ... ...
- 예술이 된 우주 / 이달의 천체사진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토성의 최근접 시기는 60년 후랍니다! 과학동아천문대 SNS와 함께 방구석 우주 여행! 지난 12월 20일, 목성-토성 최근접 온라인 라이브 방송 잘 보셨나요? 과학동아천문대는 여러분들과 더 가까워지기 위해 2021년부터 온라인클래스를 진행해요. 이달의 우주 행사 소개에서부터 천문 강연 등 다채로운 ... ...
- [기획] 그래프, 확률, 벡터까지 더해 램지 수 범위 좁혔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김재훈 KAIST 수리과학과 교수님은 “이 증명은 알고 보면 매우 간단하고 자연스러운데 지난 70년간 아무도 생각해내지 못한 것”이라며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것이지만 누군가 생각해낸 이후엔 너무나 자연스러운 것이 바로 혁신”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수학의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