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시
지명
지력
지성
지능
지식
지목
d라이브러리
"
지적
"(으)로 총 2,672건 검색되었습니다.
춤추고 싶은 물리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소수 분야만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중등교육이 개선돼야 한다는
지적
도 있다. 현행 7차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이 필수가 아니라 선택이다. 고등학교 1학년 때는 필수라고 하지만 교과서 한 권에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이 한데 들어 있다. 내실을 기하기 어렵다. 2학년 때 ... ...
줄기세포의 줄기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줄기세포허브가 설립됐으니 국내 연구자들이 다른 나라의 기관에 줄기세포주를 등록해
지적
재산권이 외국으로 유출되는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황 교수를 비롯해 세계줄기세포허브 설립을 이끈 연구팀은 앞으로 세계 각국에 줄기세포허브를 구축하고 그들과 긴밀한 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할 ... ...
침팬지에게서 사람의 향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단백질을 만든다. 인간은 왜 침팬지보다 똑똑할까침팬지 게놈 분석 결과는 인간의
지적
능력이 발달해 온 과정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실마리를 제공한다. 인간의 뇌는 침팬지보다 3배 가까이 크다. 미국 워싱턴대의 워터스톤 교수팀은 언어 능력의 진화와 관련이 깊은 FOXP2라는 유전자가 사람의 ... ...
56년의 난제 다시 미궁에 빠지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밥그릇 싸움으로만 몰아 갈 것이 아니라 귀 기울여 경청해봐야 할 때라는
지적
이다. 포항공대의 한 교수도 “실제 내용보다 조금 과장된 해프닝이라 하더라도 과학계 전체에 대한 공신력을 떨어뜨릴 수 있다 는 점에서 이번 발표에 문제가 있다”면서 “연구 성과를 알리는 것 외에 다른 의도가 ... ...
4. 우주는 뻥튀기한 것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시간이란 개념은 사실 우주가 시작하기 이전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이것을 처음으로
지적
한 사람은 빅뱅이란 개념이 나오기 훨씬 전 시대의 성인(聖人) 아우구스티누스다. 그는 “시간이란 신이 창조한 우주의 특성”이라며 “우주가 시작되기 전에는 시간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말했다.찰나와 ... ...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도구로 전기를 선택했다는 사실은 속도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
했다.생존경쟁이 심해질수록 생명체는 빛과 전기의 찰나를 끊임없이 모방하고 이용하려 할 것이다. 광통신과 반도체는 38억년 동안 계속된 생명체의 진화 과정에서 가장 최근의 한 자락일 뿐이다. ‘일렉트릭 ... ...
지구온난화의 역습 카트리나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발표했다. 그리고 그 근본 원인은 지구온난화로 바다 온도가 상승했기 때문이라고
지적
했다. 해수면 온도가 0.5℃ 상승하면 태풍이나 허리케인의 위력이 약 두 배 증가한다는 것. 임마누엘 교수팀의 계산이 단순하다는 주장도 있지만 학계는 지구온난화가 태풍과 허리케인의 위력을 키우는 ... ...
떴다! 차세대 우주탐사선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첨단 기술로 보강하더라도 기본적으로 낡은 모델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 그간 전문가들의
지적
이었다.현재 록히드마틴 사를 중심으로 한 컨소시엄과 노드롭그루먼과 보잉의 연합사가 CEV 개발을 놓고 경합 중이다. NASA는 내년 3월경 한 곳을 선택할 계획이다. 2015년 달, 2020년 화성예정대로라면 CEV는 2 ... ...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주로 사용되는 동물은 주로 쥐다. 황 교수는 “쥐는 사람과 관계가 너무 멀어 문제”라고
지적
했다. 쥐에서 개발된 복제배아줄기세포 치료법을 유전자와 생리적 특성이 다른 사람에게 그대로 쓰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실험동물로는 영장류가 가장 좋지만 현재까지 영장류 복제는 성공한 적이 ... ...
도전! 판타스틱4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예전에 한번 만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정재승 교수는 두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고
지적
했다. 첫째 몸의 굴절률이 공기의 굴절률과 같아야 한다. 빛이 들어왔을 때 꺾이지 않고 통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 내 몸의 진동수가 빛의 진동수와 달라야 한다. X선은 높은 진동수로 떨기 때문에 우리 몸을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