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작
신설
창시
창설
독창
창안
천지창조
d라이브러리
"
창조
"(으)로 총 1,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제 6공화국의 과학기술정책의 과제는?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안목에서 과제를 도출해 보면 다음의 여섯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① '모방에서
창조
로' 전환하기 위해 기초과학연구를 획기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기초과학연구원'을 조속히 설립하고 각 대학과 연계, 기초과학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게끔 해야 한다.② 정부출연 연구기관은 체제를 정립해 ... ...
컴퓨터가 바꾸어 논 대학의 모습 입학시험부터 졸업증명서까지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홍수속에서 인간과 뗄 수 없는 확고부동한 반려자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추세는 진리
창조
비판과 지식의 집합체인 대학에서도 진리탐구의 필요불가결한 도구로서 컴퓨터의 이용이 확대되기에 이르렀다.그러나 현재의 대학은 입시처리와 관리, 학술논문 연구자료 도서정보의 수집 및 처리에 많은 ... ...
「컴퓨터 문명」시대가 오고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덕이다. 컴퓨터는 일상적이고 틀에 박혀있는 번거로운 일을 도맡아 인간을 보다
창조
적인 일에 몰두할 수 있게끔 하는 것이 그 주요업무이다. 컴퓨터만 들여오면 모든 문제는 해결되는 것일까. 그러나 문제는 그렇게 간단하지만은 않다. 컴퓨터의 사용은 전화사용하는 것과는 또 다른 측면이 있으며 ... ...
기계공학은 현대문명의 견인차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우수한 기계를
창조
할 수가 없다는 이야기가 된다. 즉 하나의 우수한 기계라는 작품을
창조
하는데 위에서 말한 기계공학의 각분야의 지식이나 연구성과가 고른 수준에서 서로 유기적으로 작용하여야 하기 때문이다.이렇듯 현대의 문명이기라 할 수 있는 고급의 기계들은 상상을 초월하는 방대한 ... ...
수학은 인간이 만든 또 하나의 우주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어림잡아 5천년쯤 전에는 이미 국민학교 정도의 수학이 체계화되어 있었다. 고대문명을
창조
해낸 이집트, 바빌론, 중국, 인도 등에서는 상당한 수준의 수학이 만들어져 있었다. 수학의 역사는 언어의 그것과 평행선을 그으면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언어란 생각하는 바를 구체화시키는 ... ...
유도제어 우주비행의 핵심적 소프트웨어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세계는 조용히 우리를 기다리는 것이 아니고 우리들이 매일같이 의사를 결정함으로써
창조
되는 세계일 뿐이다"라고 말한 '제임스무린' 장군의 말처럼 끊임없이 노력하고 사고하면 우리나라도 현대과학의 총아인 항공우주공학의 선두에 나설 수 있는 날이 올 것이라고 기대한다 ... ...
젊은 과학도들이 일으키는 신선한 바람 엘리트로 자족해선 안된다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가장 민주적이어야 할 과학기술자 집단에 상명하복 체제를 강요, 과학기술의
창조
적 발전을 저해했으며 ③지배이데올로기에 의해 과학기술의 신비화와 과학기술자들의 엘리트의식이 과학기술자들의 문제해결능력을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인식아래 이 협의회는 "과학기술이 진정한 ... ...
'87 노벨 의학·생리학상 수상자 도네가와 스스무(利根川 進)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자원이 빈약한 일본에서는 많은 사람들을 키우는데 이런 정신이 필요했을지 모르지만
창조
적인 일을 하는데는 어느 정도의 낭비가 필요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그는 일본의 우수한 학생들이 대학원과정은 미국에 유학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미국의 일류대학 대학원생은 장학금을 주기 ... ...
PART 1 인류진화의 새이론 검은피부의 「이브」가 인류의 조상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윌슨'은 또한 진화의 원동력이 환경변화라는 외적요인 뿐만 아니라 고등동물의 모방·
창조
하려는 능력도 크게 작용한다는 주장을 펴 주목을 끌고 있다. 두뇌용량이 큰 포유류나 조류의 경우 두뇌의 활동이 '진화의 압력'으로 작용한다는 것. 전형적인 예가 길들여진 가축의 유전형질 변화와, ... ...
한종하 박사에게 들어본다 주입식교육, 언제까지나 계속할것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2호
시험직후 무엇이 틀렸는가를 알아내 나중에 답을 고쳐도 점수를 준다는 것. '모방'에서 '
창조
'로 넘어가려 발버둥치는 일본이 교토대의 잠재력에 주목하고 있는 것은 바로 이 때문. 자유롭고 개성을 존중하는 분위기에서만 창의력 있는 '괴물'이 자라나기 때문이다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