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년"(으)로 총 2,21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대한민국 의사되기!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추천서에서 학습능력을 남과 다르게 충분히 어필할 수 있다.작년 입시 상황을 보자. 2012학년도 수능에서 언어/수리(가)/외국어 영역에서 모두 만점을 받으면 표준점수는 406점이었다. 의대를 지원하는 학생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화학I과 생물II에서 만점을 받으면 68+75=143점이었다. 따라서 3개 영역에 ... ...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모두 아우르다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다녔다. 컴퓨터가 마냥 좋아서 서울대 컴퓨터공학과에 입학했다. 필자가 학부 3학년이었을 때 실제로 내가 현실 세계의 컴퓨터 동작 원리를 얼마나 알고 있는 것인지, 내가 과연 어떤 컴퓨터를 만들 수 있을지 고민을 시작했다. 학부 수업이나 두꺼운 이론 서적들은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현실적으로 ... ...
- 내장형 저전력공학과학동아 l2012년 10호
- 1 내장형 저전력공학이란?영어로 Embedded Low Power Engineering인 내장형 저전력공학은 내장형 시스템 속에서 전력소모를 최소로 만드는 공학이다. 내장형 시스템은 TV, 휴대전화 등 특정 기기 안에서 작동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내장형 저전력공학을 통해 시스템 내에서 에너지 사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 ...
- 한양대 수시 미래인재 전형 합격생 인터뷰 “진로고민은 중학교 때 시작하라”과학동아 l2012년 10호
- 군은 현재 입학사정관 전형 합격생 모임인 ‘학스(HACS)’의 대표다. 학스는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모의전형캠프’의 스텝으로 활동하기도 하고 고등학생과 함께 봉사활동을 하는 ‘한사랑 봉사활동’도 한다. 김 군은 얼마전에도 학생들과 태안으로 봉사활동을 다녀왔다. ... ...
- 마지막 관문, 토의·토론 통과하기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전략에 따라서 재원을 적절히 공급하고 그에 관련되는 수학/과학자들을 키워야 한다. 2013학년도 경기과학고 “원자력 발전소를 계속 만들어야 하는가?” 예시답안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후쿠시마 발전소의 원자로 냉각장치가 멈추면서 내부의 열이 높아져 원자로 노심이 녹아버리는 ... ...
- 수학동아 열혈독자를 만나다! 2013 최연소 서울과학고 합격생 정재훈수학동아 l2012년 10호
- 과학영재학교로 전환한다는 소식을 들었어요. 바로 도전해 봐야겠다고 생각했죠!중학교 1학년인데, 어떻게 ‘고등학교 입시 전형’에 응시할 수 있었나요?사실 올해는 경험을 쌓기 위해 지원했어요. 지원자들의 분위기나 시험 난이도를 알고 싶었거든요. 중학생이 영재고에 일찍 진학하려면 ... ...
- [정보] 최고의 수학자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역사 속 ‘최고의 수학자’를 꼽으라면 누가 있을까? 아마도 가우스, 오일러, 페르마와 같은 수학자가 떠오를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나라 최고의 수학자는? 2012년 호암상 수상의 주인공이자, 세계적인 명문 옥스퍼드대와 포스텍을 오가며 강의와 연구를 하고 있는 김민형 교수가 있다. 수학동아에 ... ...
- 목표 없이 멈추거나, 휩쓸리거나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될 만한 것, 네가 살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이 뭔지 생각해보렴.” 고등학교 1학년이면 자신의 진로에 대해서 진지하게 생각해야하는 때다. 불과 2년 후 이맘때쯤에는 원서를 쓴다. 전공을 선택하려면 자기 자신을 한번쯤 진지하게 돌아봐야 한다. “친구는 좀 많은 편이야?” “아…. 별로 많고 ... ...
- 지능형 자동차 IT 연구센터 똑똑한 자동차가 온다!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영화에서처럼 목적지만 말하면 알아서 척척 도착지까지 안전하게 이동하는 자동차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운전면허증 없이도 차를 움직이고, 운전하면서 밥을 먹거나 누워서 텔레비전을 봐도 문제없으니 말이다. 그런데 이렇게 꿈에 그리는 자동차를 만드는 곳이 있다. 바로 서울대에 위치한 ... ...
- “산업계의 주춧돌=정밀공학”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인연을 맺은 것은 서울대 4학년 1994년 봄, 학부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 대학원 실험실을 소개받고 선택하는 자리였다. 전공필수 과목인 기계공작법에 대한 주종남 교수님의 명강의가 인상 깊었다. 게다가 직접 가공기계를 꾸미거나 공작기계(일반기계 및 설비를 가공하는 기계)를 이용해 다양한 ... ...
이전1051061071081091101111121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