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726건 검색되었습니다.
'저탄고지' 키토제닉 다이어트…남성 비만에 효과 더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쥐 실험을 통해 확인할 결과 고지방 식단은 뇌의 신경세포를 흥분시켜 미각을 느끼는
신호
전달체계 효율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용 쥐는 고지방 식단을 지속할수록 칼로리 섭취량에 둔감해지고 과식을 하는 모습이 관찰됐다. 브라우닝 교수는 "고지방 식단은 일시적으로 과식을 ... ...
제2의 스페이스X 탄생 조짐...로켓랩, 美서 첫 로켓 쐈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개발한 위성 3개를 성공적으로 궤도에 배치했다. 호크아이360은 지상 무선주파수(RF)
신호
를 위성으로 수신해 지구를 분석하는 스타트업이다. 이번 위성을 포함해 총 12개 위성을 궤도에 올렸으며 60개 군집 위성을 구축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우주발사체 기업들과 계약을 맺고 위성을 순차적으로 ... ...
제16회 아산의학상에 전장수·강윤구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성과를 인정받았다. 전 교수는 미국 매사추세츠 주립대와 하버드대 의대에서 세포의
신호
전달계를 연구했다. 2000년 GIST 생명과학부 교수로 부임해 퇴행성 관절염의 발병 기전, 발생 억제 표적 도출, 발생 억제 물질 발굴에 이르기까지 퇴행성 관절염 연구의 발전을 선도하고 있다. 그는 퇴행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칼륨 섭취 많을수록 건강...생물체에서 나트륨은 '조연'
2023.01.25
농도차에 따라 이동하면서 순간적으로 전압이 바뀌는 과정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면서
신호
가 전달된다. 그 뒤 펌프가 작동해 이온 농도가 원래 상태로 돌아가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 이 밖에도 나트륨 이온은 동물에서 중요한 많은 역할을 맡고 있다. 예를 들어 신장 세뇨관의 포도당은 고농도의 ... ...
100원도 안되는 센서...소변에 빛 쏘아 암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후 재발 모니터링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소변 내 대사체 광
신호
증폭을 위한 스트립형 소변 센서와 현장 암 진단 기술의 모식도. 한국재료연구원 제공 ... ...
쓰고 버린 마스크가 나노플라스틱으로..."폐 손상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25
노출된 인간 A549 세포에서는 미토콘드리아의 손상이 확인됐으며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신호
전달경로를 통해 세포 손상 및 염증이 나타났다. 이규홍 KIT 인체유해인자 흡입독성연구단 단장은 “이번 연구를 통해 PP 나노플라스틱 흡입 노출에 따른 인체 유해성을 확인함으로써 명확한 흡입 ... ...
[잠깐과학] 62년 전 영장류 최초로 우주 간 침팬지 햄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1.21
뉴멕시코의 홀로만 공군기지에 머물렀습니다. 그곳에서 오랫동안 의자에 앉아 있고,
신호
에 반응해 우주선을 조종하는 레버를 작동하도록 훈련을 받았습니다. 훈련에 성공하면 맛있는 간식을, 실패하면 발에 전기 충격을 받는 훈련이었습니다. ‘실험체 65호’로 불리던 햄은 혈기왕성하고 기분이 ... ...
제임스웹보다 강력한 차세대 우주망원경...지구 닮은꼴 행성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20
동일한 거울이 HWO에도 필요하다. JWST는 18개의 육각형 거울로 천체 현상에서 나오는 전파
신호
를 잡아낸다. 18개의 거울들이 오밀조밀 움직이며 관측 대상 천체를 관측한다. HWO는 JWST보다 더 엄격한 거울 제어기술이 필요하다. JWST가 나노미터 (nm·1nm는 10억분의 1m) 수준의 제어 기술이 필요하다면 HWO는 ... ...
간편해지는 알츠하이머병 진단…스마트패치로 무혈검사
동아사이언스
l
2023.01.18
알츠하이머병이 의심되는 환자에게 냄새를 맡게 한 다음 fNIRS로 전전두엽에서 나타나는
신호
를 측정하면 다른 사람보다 후각 기능이 떨어졌는지 정량적으로 알아낼 수 있다. 후각 기능 평가를 통해 '인지기능 정상'과 '인지기능 장애', '알츠하이머병'을 구분하는 방식이다. 연구 결과는 지난해 3월 ... ...
KAIST 대학원생 4명, 반도체 설계 국제학술대회서 최우수 논문상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이퀄라이저를 설계해 주목을 받았다. 신태인 학생은 차세대 뉴로모픽 컴퓨팅 시스템의
신호
무결성 모델링과 설계 및 분석 방법론을 제안했다. 끝으로 김혜연 학생은 반도체 설계 문제 중 노이즈 제거와 관련해 ‘디커플링 캐패시터’ 배치 문제를 조합 최적화 문제로 정의하고 오프라인 학습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