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위
활동
행실
실행
동작
소행
태도
스페셜
"
행동
"(으)로 총 1,164건 검색되었습니다.
서머타임, 생체리듬이냐 에너지 절약이냐
KISTI
l
2015.04.14
수면을 제대로 취하지 못할 경우 배우자 및 파트너와 싸울 확률이 높아지며 이기적으로
행동
하는 경향이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대방의 감정에 공감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서머타임이 심장마비 가능성을 촉발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연구결과들도 적지 않다. 20 ... ...
후쿠시마 이후 원전 안전대책, 어떻게 바뀌었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14
보고하도록 규정했다. 이에 IAEA 사무국은 회원국과 협의를 통해 원자력 안전을 위한
행동
계획안을 마련, 9월에 공식 채택했다. 채택된 계획안에는 회원국간의 상호 검토를 통해 안전조치를 검증하고 안전 관련 소통과 정보 확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의사소통의 투명성과 효율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 ...
신뢰 회복을 위한 소통의 장 마련해야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4.09
점도 덧붙였다. 한편 과정에 대한 합의의 중요성도 함께 제기됐다. 이헌석 에너지정의
행동
대표는 시나리오 씽킹을 적용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한 합의가 먼저 이루어져야 의미 있는 시나리오가 나올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의 원자력 발전단가 변화를 예로 들었는데, ... ...
공감 능력이 없는 반사회성 인격장애, 어떻게 봐야 할까?
KISTI
l
2015.03.31
생각하는 지에 대해 관심이 없기 때문에 쉽게 피해를 끼치거나 스스럼없이 무시하는
행동
을 하게 된다. 공감에 기초한 양육을 받아본 적이 없기 때문에 발달하지 않은 공감 회로가 반사회성 인격 장애의 후천적 요인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반사회성 인격 장애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 ...
멍 때려야 뇌가 쌩쌩해진다?!
KISTI
l
2015.03.03
시각 때문에 다소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졌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면 멍 때리는
행동
에서 세상을 바꾼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이 나온 때가 많다.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 아르키메데스는 헤론 왕으로부터 자신의 왕관이 정말 순금으로 만들어졌는지 조사해달라는 부탁을 받고 고민에 빠졌다. 그러다 ... ...
국내 최고령 ‘생쥐 장수촌’에 가다
2015.02.27
태어나서 늙어가는 과정 전체를 추적하기 위해 생쥐 전용 컴퓨터단층촬영(CT) 장치와
행동
분석기도 구비했다. 문 부장은 “전라남도는 고령자 비율이 21.4%로 전국에서 가장 높다”면서 “AFAS도 이곳에 위치한 만큼 노화와 퇴행성질환 연구의 메카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 ...
[생활 속의 기술] 로봇에게 윤리를 가르칠 수 있을까
KOITA
l
2015.02.16
있다. 무인카는 사고를 피하기 위해 교통 법규를 위반해야 할 수도 있는데, 이 때 자신의
행동
이 다른 차에 미치는 위험을 비교해 융통성 있게 결정할 수 있다. ● 터미네이터의 악몽에서 벗어나려면 일부 로봇 전문가는 윤리적 소프트웨어나 로봇윤리 로드맵(박스 기사 참조)에 거부감을 느끼기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발표했다. 이처럼 포식자의
행동
이 생태계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을 ‘
행동
연쇄가설(behavioural-cascade hypothesis)’라고 부른다. 필자가 보기에도 꽤 그럴듯한 설명 같다. 그런데 2010년 이런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결과가 학술지 ‘생태학’에 실렸다. 미국 와이오밍주 어류 및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아닐까. 즉 산업로봇은 대부분 프로그램화된 반복동작을 수행하는 반면 소셜로봇은
행동
의 예측불가능성이 크기 때문에(바로 생물의 특징이다) 사람들의 정서를 건드리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라 권리와 책임이라는 윤리적 문제가 떠오르게 된 것. 즉 반복적으로 주형을 찍어대는 로봇 근처에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포함된다. 두프 역시 새의 노래와 사람의 말 사이의 유사성에 주목했다. 즉 두
행동
모두 모방학습에 의존하고 정상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발달시키기 위해서는 청각을 통한 피드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1993년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에 자리를 잡은 두프는 조류생물학실험실을 운영하며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