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가
재초
전가
d라이브러리
"
개가
"(으)로 총 29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도 과학의 오랜 친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1
반사’ 라고 하고,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반사를‘무조건 반사’라고 해요.
개가
먹이를 먹을 때 침이 나오는 것은 무조건 반사이고, 파블로프 박사의 실험처럼 밥을 먹을 때마다 종소리를 들려 주어 종소리만 들어도 침이 나오게 되는 반사가 바로 조건 반사예요 ... ...
닭이 가니
개가
오네~! 십이지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4
이제 2006년 새해가 시작될 날도 며칠 남지 않았는데, 새해 맞을 준비들은 잘 하고 있나요? 모두들 새해에 대한 기대가 클 테지만, 왠지 내년에 열세 살이 되는 친구들은 그 기대가 더 클 것 같아요. 왜냐구요? 내년이 바로 개의 해기 때문이죠. (^_^)태어난 해에 따라 가지게 되는 열두 가지 동물의‘십 ... ...
3. 생명은 빛보다 빠르다
과학동아
l
200510
개는 몇 초 만에 통로를 통과할까. 바로 100만분의 1초다. 눈 깜박할 사이(0.1초)에 이온 10만
개가
이온 채널 하나를 통과한다. 이렇게 빠르지 않았다면 생명체는 지구에서 목숨을 부지하기 어려웠을 것이다.생명현상이 번개처럼 빠르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과학자들은 찰나의 현상을 직접 보고 ... ...
테이프처럼 벗겨 만드는 탄소나노튜브
과학동아
l
200509
포스트잇 같은 끈끈한 판을 대고 살살 잡아당겼다. 그 결과 탄소나노튜브 수백만
개가
일렬로 모인 얇은 리본 모양으로 벗겨져 나온 것. 이를 에탄올로 씻어내면 종이 한 장보다 2000배 얇은 탄소나노튜브 리본이 완성된다.탄소 원자6
개가
서로 연결돼 지름이 수~수십 나노미터인 관 모양을 이루고 ... ...
1. 황우석, 세상을 감동시키다
과학동아
l
200509
개가
워낙 독특하게 생겨 복제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연구팀은 제왕절개 수술로
개가
태어날 때 검은 털을 보고 당장 복제 성공을 알 수 있었다(대리모 개는 갈색이다).두번째 이유는 체세포를 제공한 원래 개 ‘타이’가 태어난 뒤로 성장 기록이 잘 갖춰져 있기 때문이다. 황 교수는 타이의 ... ...
나는 무엇에 이끌려 행동할까
과학동아
l
200509
그 뒤 20세기에 이르러 뇌의 신비가 하나둘씩 밝혀지면서 오늘날 우리는 뇌에 1000억
개가
넘는 뉴런들이 신경교세포(glia cell)와 어우러져 질서정연한 배열을 하고 있으며, 이들은 시냅스에 의해 서로 연결돼 회로를 이룬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시냅스는 뉴런과 뉴런을 기능적으로 연결하는 ... ...
4. 공포는 바로 이 맛이야
과학동아
l
200508
사람은 어떻게 다를까. 공포문화의 속내를 들여다보자.이 공포와 저 공포는 다르다
개가
영화 ‘링’을 보면서 무서워할까? 아닐 거다. 하지만 롤러코스터를 타면 개도 무섭다고 느낄지 모른다. 공포영화를 보면서 느끼는 공포는 상당히 인지적인 감정이다. 반면 놀이기구를 타면서 느끼는 공포는 ... ...
PART 01. 되살아난 인간 사냥꾼
과학동아
l
200506
사람은 두 명 뿐이었지만, 개를 안 길러도 개회충에 걸릴 수 있다. 어떻게?개회충에 걸린
개가
공원 같은 곳에 변을 보면 개회충의 알이 흙 속으로 들어간다. 그 알들이 흙장난 같은 경로를 통해 사람 입으로 들어가면 망막박리 같은 심각한 증상이 일어날 수 있다. 전남 광주 시내 초등학교 운동장 3 ... ...
03. 빠른 비트에 몸을 맡겨라
과학동아
l
200506
때 여기에는 2300개의 트랜지스터가 들어있었다. 2000년 개발된 펜티엄4에는 약 4000만
개가
들어있었다. 집적도가 무려 1만7000배가량 늘었다. 트랜지스터의 집적도가 2년에 2배씩 증가한다는 무어의 법칙을 적용하면 거의 맞아 떨어진다.그런데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연산단위는 1971년 4비트에서 2000년 3 ... ...
2 내가 나일 수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05
있다. 개에게 종소리를 들려주고 먹이를 주는 것을 반복하면 나중에는 종소리만 듣고도
개가
침을 흘린다는 것. 이를 변형시킨 모델이‘공포조건화’로 소리와 먹이 대신 소리와 전기충격을 연관시키는 방법이다.학습은 신경세포 자극 과정쥐는 전기충격을 받으면 무서워서 얼어붙은 것처럼 ... ...
이전
6
7
8
9
10
11
12
13
14
다음
공지사항